Discourse on ‘Wise Mother and Good Wife’ in the 1920′s-1930′s Women′s Ambivalence about the Roles of Wise Mother and Good Wife -

1920-30년대 현모양처에 관한 연구 -현모양처의 두 얼굴, 되어야만 하는 ‘현모’ 되고 싶은 ‘양처’

  • 전미경 (동국대학교 사범대학 가정교육과)
  • Published : 2004.06.01

Abstract

This study examined discourses on “wise-mother and good-wife” in the 1920s - 1930s by analyzing the magazine “Shinyeosung.” This study found the following: 1 “Wise-mother and good-wife” was the ideal type for the “new women” during the colonial period. Hut the role of a mother was far more important than that of a wife. 2. The dominant discourse at the time was that the “genuine” new woman was defined by her motherhood, and she could not have a job because raising children was the most Important task for her. Hut in fact, new women wanted to be a wife through free love and marriage. They wished to be a good-wife in the “new (modern) family” for their loving husbands. 3. The Ideas of “wise-mother” and “good-wife” arose from disparate backgrounds. A woman had to nurture her maternal aptitudes; but had to suppress her passion for free love and marriage. Although she had to learn Western methods of bringing up children instead of the traditional one, she was expected to practice traditional virtues of a wife, not Western attitudes. The role of a mother was decided by experts, but that of a wife was decided by husbands. The function of a good-wife was merely a clever handling of her husband, whereas the function of a mother was considered to require professional knowledge. 4. New women could differentiate themselves from “old women” through the roles of wise-mother and good-wife; nonetheless, those roles were forced by society. They did not have any other viable choices.

Keywords

References

  1. 서울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조선과 일본에서의 현모양처 사상에 관한 비교연구: 개화기로부터 1940년대 전반을 중심으로 가와모토 아야
  2. 연애의 시대 권보드래
  3. 한국민족운동사연구 v.18 1920-30년대 신여성과 사회주이 : 신여성에서 프로 여성으로 권희영
  4. 사회와 역사 v.54 한국 근대 사회의 형성에서 전통과 근대 : 가족과 여성 관념을 중심으로 김경일
  5. 사회와 역사 v.59 식민지 여성교육과 지식의 식민지성 : 식민권력과 근대성의 각축 김경일
  6. 여성과 사회 v.11 신여성 열려있는 과거 멎어 있는 현재로서의 역사쓰기 김수진
  7. 서울대학교 박사학위 논문 1920년대 여성담론 형성에 관한 연구 : 신여성의 주체형성 과정을 중심으로 김미영
  8. 서울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개항기 개신교 의료선교와 몸에 대한 인식틀의 근대적 전환 김윤성
  9. 이화여자대학교 박사학위 논문 일제하 '어린이기'의 형성과 가족변화에 관한 연구 김혜경
  10. 한국여성학 v.15 no.1 가사노동담론과 한국근대가족 김혜경
  11. 한국사회사학회 식민지 시기 가족에 대한 계보학적 연구:어린이 모성 형성을 중심으로 김혜경
  12. 여성학연구 v.7 no.1 여성운동과 모성담론 문소정
  13. 신여성 문옥표외
  14. 여성 1920년대 신여성 연구: 『신여자』와『신여성』을 중심으로 박용옥
  15. 여성과 사회 v.11 초기 '신여성'의 사회진출과 여성교육 : 1910-1920년대 초반 여자 일본유학생을 중심으로 박정애
  16. 한양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일제 식민지시기 조선의 출산통제 담론의 연구 소현숙
  17. 신여성 조선 '신여성'의 내셔널리즘과 젠더 송연옥;문옥표외
  18. 성신여자대학교 박사학위 논문 일제하 모성에 관한 연구 : 전시체제와 모서의 식민화를 중심으로 안태윤
  19. 가부장제와 자본주의 우에노 치즈코(지음);이승희(옮김)
  20. 신여성 조선 '신여성'의 연애관과 결혼관의 변혁 이노우에 가즈에;문옥표외
  21. 인천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근대 계몽기 서사물에 나타난 '신체'인식과 그 형상화에 관한 연구 이승원
  22. 굽높흔 저 여자가 누구뇨(가제) 이희경 (외)
  23. 한국가정관리학회지 v.20 no.1 개화기 '남녀동등' 담론에 나타난 여성에 대한 계몽의 시각 전미경
  24. 서강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일제하 '신여성' 담론에 관한 분석: 여성주체 형성과정을 중심으로 전은정
  25. 광복 50주년 기념 논문집 v.8 일제하 '신여성'과 가부장제 : 근대성과 여성성에 대한 식민담론의 재조명 조은;윤택림
  26. 서울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일제시대 한국에서의 의료체계의 변화와 그 사회적 성격 조형근
  27. 아동의 탄생;'청탑'과 1920-30년대 한국 여성 문학론 여성문화의 새로운 시각 필립 아리에스(지음);문지영(옮김);최혜실;김진영
  28. 서울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식민지 여성교육 사례연구 : 경성여자고등보통학교를 중심으로 현경미
  29. 한양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일제시기 조선의 현모양처 여성관의 연구 홍양희
  30. 搖らぐ家族神話 <靑탑>を讀む 岡野幸江
  31. <戀愛 と 結婚>(エレン · ケイ)と セクンロジ一 <靑탑>を讀む 吉川豊子
  32. 良妻賢母という規範 小山靜子
  33. <新じい女>の探求 <靑탑>を讀む 岡野幸江