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ositive Study of How Green Zones in the City Effect the Relief of Micro-Climate Control

도시녹지가 미기상조절에 미치는 실증적 연구

  • 윤용한 (건국대학교 자연과학대학 산림과학과)
  • Published : 2004.06.01

Abstract

This study observed the temperature and humidity within the green zone to understand the effect that land coverage and the structure of forests have on the relief of micro-climate control. Based on this set of data, this study interpreted, through the regression analysis, the relevance of land coverage of the green zone with temperature and distribution of humidity, as well as the amount of green with the relief of microclimate control. The results of the study demonstrated that high temperature regions were formed in barren areas, and low temperature regions in forests or near the water. In particular, low temperature was found in areas covered with tall and small trees, the water surrounded by forests and areas enclosing small rivers. Furthermore, mechanisms causing low temperature were, among others, the ratio of land coverage (forest, grassland, water). In fact, the temperature reduction effect varied in accordance with the types and ratios of the land coverage. Humidity also showed a close correlation with the distribution of temperature high temperature areas had low humidity and low temperature areas had high humidity. Such a phenomenon.

본 연구는 토지피복현황과 수림의 층위구조 등이 다양한 도시녹지를 대상으로 미기상 조절에 미치는 영향을 정성 및 정량적으로 파악하기 위해 녹지내의 기온 및 습도를 관측하였다. 그 데이터를 바탕으로 녹지내의 토지피복 현황과 그 비율, 녹적량과 기온 및 습도와의 관련성을 회귀분석 등에 의해 해석하였다. 그 결과 고온역은 포장면과 나지 주변에서, 저온역은 수림지 및 수면 주변에서 형성되었다. 또한, 수림(교목+소교목)으로 둘러싸인 수면, 소하천 주변에도 저온을 나타냈다. 습도는 기온분포에 거의 대응하는 형태로 고온역이 저습역이고, 저온역이 고습역으로 나타났다. 녹지가 미기상조절효과를 갖는 메커니즘은 토지피복비율의 종류,그 비율의 차이에 따라 미기상조절효과의 정도가 서로 달랐다. 더욱이 각 녹적량의 증가는 수고에 관계없이 모두 기온은 떨어뜨리고 습도는 상승시키는 효과를 보였다. 그 효과의 효율은 교목, 소교목, 관목의 순이다. 지금까지의 실증결과로부터 고온완화에는 수림지, 수면,초지의 순으로, 그 비율을 증가해서 배치하면 효과가 커지고, 같은 방법으로 습도의 상승에는 수면, 수림지, 초지의 순으로 그 비율을 증가해서 배치하면 효과가 높아진다. 그 효율성을 고려하면 수면, 소하천을 핵으로 그 주변은 교목 중심의 수림이 좋고, 그 층위구조는 단층림보다는 2∼3층의 혼효림이 미기상조절에 미치는 효과가 크다.

Keywords

References

  1. 環境情報科學論文集 v.11 公園綠地內におけゐ氣溫およぴ相對濕度分布と 土地被覆狀態との關聯性につぃて 尹龍漢;丸田賴一;柳井重人
  2. 日本造園學會志 v.61 no.5 都市における公園內外氣溫分布特性 について 尹龍漢;丸田賴一;本條 毅;柳井重人
  3. 大韓國土${\cdot}$都市 計劃學會志 日本 市川市 綠地의 配置가 氣溫에 미치는 영향 尹龍漢
  4. 한국조경학회지 v.27 no.4 도시녹지에 의한 미기후개선의 기능 조현길;안태원
  5. 심포지움<都市의 氣候變化와 制御>講演論文集 都市의 水文學 日野幹雄
  6. 심포지움<都市의 氣候變化와 制御>講演論文集 植生에 의한 都市氣候의 制御 本條 毅
  7. 심포지움<都市의 氣候變化와 制御>講演論文集 都市의 大氣境界層 木村富士男
  8. 심포지움<都市의 氣候變化와 制御>講演論文集 都市의 溫暖化와 에너지 消費 尾島敏雄
  9. 農業氣象 v.37 no.2 日射の測定法 內嶋善兵衛
  10. 建築家のための造園設計資料集 豊田莘夫
  11. 日本建築學會大會學術講演潗 都市における 土地利用と氣溫分布に關する調査硏 北山廣樹;片山忠久;林 撤夫;籃月義隆;古川太郞;土橋英久
  12. 造園雜誌 v.46 no.3 水木, 芝生の微氣象調節效果に關する實證的 硏究 近藤三雄;間仁田和行;浜田容三;小澤和雄
  13. 環境情報科學 v.20 no.2 林地と芝生における熟收支の比較 淸田 新;北宅善昭;原菌 芳信;失吹万壽
  14. 綠と居住環境 田畑貞壽;井手久登;田代順孝
  15. 庭木と/綠化樹 1 飯島 亮
  16. 造園雜誌 v.37 no.5 公園綠地內の氣象 丸田賴一
  17. Urban climate Landsberg. H. 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