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릉 남대천 하구역의 1997년 9월중 대형저서동물의 분포패턴

Notes on the Benthic Macrofauna During September 1997 Namdaecheon Estuary, Gangneung, Korea

  • 발행 : 2004.06.01

초록

본 연구는 동해안에 위치하는 강릉 남대천 하구역의 대형저서생물상을 파악하기 위하여 1997년 9월 22일에 총 15개 정점을 대상으로 현장조사를 실시하였다. 채집된 저서동물은 총 50종, 5,664개체, 312g WWt의 생물량을 나타냈다. 중요 우점종은 빈모류에 속하는 Oligochaeta unid., 다모류의 Hediste japonica, Rhynchospio Glutaea, Poecilochaetus trilobatus, Scoloplos armiger, Spiophanes bombyx, 단각류의 Platorohestia crassicornis 등이었다. 한편, 정점간 및 종간 유사도 분석 결과에서는 각각 두 개의 그룹으로 나뉘었다. 정점간 분석에서는 하구역 정점군과 해양역 점정군으로, 종간에서는 해양성 종군과 기수-담수성 종군으로 구분되었다. 염분농도 구배에 따른 조하대 저서동물의 분포 양상을 보면, 저서동물의 출현 종 수는 하구역의 12개 정점에서는 총 13종이 출현한 반면, 해양역의 3개 정점에서는 총 43종이 출현하였다. 개체수와 생물량도 해양역이 하구역과 비교해 높았다. 생태학적 지수로써 다양도는 하구역에서 1 이하로 낮았고, 해양역에서 2 이상으로 높았다. 결론적으로, 강릉 남대천 하구역 저서동물의 분포는 하구역 입구부분에 위치한 모래톱을 경계로 염분농도가 급격하게 변화하였으며, 이것을 경계로 두 개의 정점군과 종군으로 나뉘는 특징이 있었다.

We examined estuarine macrobenthos in Namdaecheon estuary, Gangneung, Korea, September 22, 1997. A total of 56 species were found together with an abundance of 378 individuals $m^{-2}$/ and a biomass of 20.79 gWWt $m^{-2}$. The major dominant species were unidentified oligochaete followed by different species of polychaetes Hediste japonica, Rhynchospio glutaea, Poecilochaetus trilobatus, Scoloplos armiger, Spiophanes bombyx and a talitrid amphipod Platorchestia crassicornis. The study area was divided into two different groups of stations and species, based on the q -mode and r-mode clustering analysis. In case of q-mode, there are two groups: one is a marine station group and the other is estuarine group. The r-mode clustering analysis showed the two main communities as follows; 1) Marine species group occurred only at station 7, 8 and 9 and 2) Estuarine species group composed of the species present at station 1 to 6 and 10 to 15. In the number of species, the estuarine station group includes 13 species, whereas 43 species were presented in the marine station group. Total macrofaunal abundance and total biomass were higher in the marine station group than those in the estuarine group. The species diversity index was also high in the marine group (> 2), whereas it was less than ca. 1 in the estuarine group.

키워드

참고문헌

  1. 강릉시 하수종말처리장 건설사업 환경영향평가서 강릉시
  2. 한국육수학회지 v.21 no.2 낙동강 하구에 있어서 저질과 저서성 대형 무척추동물 군집의 특성에 관한 연구 배경석;윤일병
  3. 한국해양학회지 v.27 no.1 영일만 다모류 군집의 계절별, 공간적 변화 신현출;최성순;고철환
  4. 대한환경공학회지 v.20 no.8 강릉 남대천 수계의 중금속 분포 및 거동특성 연구 윤이용;김경태
  5. 대한환경공학회지 v.21 no.11 강릉 남대천 하류의 오염물질 정체현상과 강릉수력 발전방류수의 영향 윤이용;김대현;이승목
  6. 한국수산학회지 v.31 no.3 영산강 하구역의 연성저질에 서식하는 저서동물 군집-2. 여름철 빈산소 수괴의 출현과 저서동물 분포 임현식;박경양
  7. 한국해양학회지 바다 v.5 no.4 동해 강릉 연안의 사질 퇴적물에 서식하는 대형 저서무척추 동물의 분포 양상 최진우;제종길;이재학;임현식
  8. 한국수산학회지 v.33 no.3 양양 남대천 하수구역의 여름철 대형 저서동물 군집의 생태학적 특성 홍재상;서인수;이창근;윤상필;정래홍
  9. Korean J. Limnol v.22 no.4 Ecological studies of benthic macroinvertbrates in Nakdong Estuary, Korea Bae KS;IB Yoon
  10. Ecol. Monogr. v.27 An ordination of the upland forest communities of Southern Wisconsin Bray JR;JT Curtis https://doi.org/10.2307/1942268
  11. J. Korea Soc. Oceanogr. v.29 no.3 Macrobenthos community in Keum-Mankyung-Dongjin estuaries and its adjacent coastal region, Korea Choi JW;CH Koh
  12. J. Sed. Pet. v.27 Brazos river bar: A study in the significance of grain-size prarmeters Folk RL;WC Ward https://doi.org/10.1306/74D70646-2B21-11D7-8648000102C1865D
  13. J. Korea Soc. Oceanogr v.31 no.4 Salinity and sediment type as sources of variability in the distribution of the benthic macrofauna in Han Estuary and Kyonggi Bay, Korea Hong JS;JW Yoo
  14. Mar. Biol. v.2 Some peculiar features of the hydrochemical regime and the fauna of mesohaline waters Khlebovich VV https://doi.org/10.1007/BF00351637
  15. The Estuarine Ecosystem McLusky DS
  16. Ecological Diversity Pielou EC
  17. Estuaries v.83 What is an estuary: Physical viewpoint Pritchard DW;Lauff GH(ed.)
  18. Die biologie des brackwassers Remane A;C Schlieper
  19. The estuary as a filter The estuary as a filter : an introduction Schubel JR.;Kennedy VS(ed.)
  20. The mathematical theory of Communication Shannon CE;W Weave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