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상분지 화강암류에서 발견되는 엔클레이브(포유암)에 대한 암석기재적 연구

Petrographical study for the enclaves of the granitic rocks, in the Gyeongsang Basin, Korea

  • 김종선 (부산대학교 지질환경과학전공) ;
  • 김건기 (경상대학교 지구환경과학과) ;
  • 좌용주 (경상대학교 지구환경과학과) ;
  • 이준동 (부산대학교 지질환경과학전공)
  • 발행 : 2004.03.01

초록

이 연구에서는 화강암 내에 산출되는‘엔클레이브’를 ‘포유암’으로 번역할 것을 제안한다. 그리고 경상분지 화강암 내에 산출되는 심성암, 화산암, 퇴적암의 포획암과 염기성 미립 포유암의 암석기재학적 연구를 통하여 포유암의 종류를 쉽게 구별할 수 있는 수단을 제공하고자 한다. 염기성 미립 포유암의 색깔은 짙은 회록색-암회색으로 입자크기는 세립의 등립질이며, 외형은 대체로 타원형이 우세하고, 분포는 화강암체의 전반에 분포하며, 접촉변성작용의 흔적이 관찰되지 않는다. 그러나 포획암은 각진 형태가 보편적이며, 주변에 포획암의 모암이 존재하고, 관입접촉부에 집중적으로 분포하며, 접촉변성작용을 받았을 가능성이 있다. 심성암의 포획암인 경우에는 야외에서 각진 외형, 조립의 입자크기 등에서 염기성 미립 포유암과 뚜렷한 차이를 보이고 있었으며, 경하관찰에 의하면 접촉변성 작용의 흔적이 관찰되지 않는다. 그리고 응회암의 포획암인 경우에도 야외에서 각진 외형과 반상조직을 보이고, 경하에서 화산쇄설암의 조직을 그대로 유지하고 있었다. 한편, 퇴적암의 포획암인 경우에는, 포획암의 크기가 큰 경우에는 화강암이 층리면을 따라 주입되어 층리가 남아 있는 경우가 많으나, 크기가 작은 경우에는 염기성 미립 포유암과 구별이 어려운 경우가 많다. 그러나 경하관찰에 의하면, 접촉변성작용에 의한 변성광물의 출현과 더불어 퇴적암의 조직이 날아 있는 경우가 많다. 따라서 포획암은 일반적으로 색깔, 외형, 입자크기, 구조 등으로부터 야외에서 염기성 미립 포유암과 쉽게 구별이 가능하며, 작은 크기의 퇴적암인 경우에는 변성광물 조합과 조직의 현미경관찰로 염기성 미립 포유암과 구별이 가능하다.

In this study we propose that the ‘enclaves’ which occur in the granites should be translated into ‘Po-yu-am’in Korean. Also we suggest some criteria to discriminate the mafic microgranular enclaves (MME) of igneous origin from the xenoliths, which possibly come from the plutonic, volcanic and sedimentary country rocks. The color of the MME is gray green∼dark gray and the mineral grains are fine and equigranular. The MME are generally of ellipsoidal shape and can be easily found within the granites. They do not show any evidence of contact metamorphism by granite host. On the other hand. the xenoliths are generally of angular shape and are of the same mineral assemblage and texture as the country rocks around the granites. The distribution of the xenoliths is mostly concentrated along the intruding plane of the granites near the country rocks. The xenoliths were partly metamorphosed by the granite intrusion. The xenoliths from the plutonic rocks are easily distinguished from the MME in terms of their angular shape and coarser grain size, but they do not have any metamorphic mineral assemblage and texture. The xenoliths from the tuffaceous rocks show angular shape and porphyritic and pyroclastic textures. Large size xenoliths from the sedimentary rocks specifically preserve bedding structure which are indicative of the sedimentary strata. However, the sedimentary xenoliths of small size are often difficult to distinguish from the MME. Metamorphic minerals and texture are a useful key to discriminate the small-sized sedimentary xenoliths from the MME. In summary the xenoliths in the granites can be megascopic ally distinguished from the MME by comparing their color, shape, grain size and remnant original structure like bedding. Additionally the metamorphic mineral assemblage and texture are microscopic discriminators between the xenoliths and the MME in the granites.

키워드

참고문헌

  1. 부산대학교 박사 학위논문 경상분지내 남산 A-형 화강암과 경주 I-형 화강암류에 대한 광물학적, 지화학적 및 Sr-Nd 동위원소 연구 고정선
  2. 한국지질도 1:5만 현풍 지질도폭 및 설명서 김기완;여상철
  3. 부산대학교 석사 학위논문 거제도의 화강암질암에 관한 암석학적 연구: 마그마 혼합에 관한 고찰 김종선
  4. 부산대학교 박사 학위논문 경상분지 남부 지역의 화강암류에 산출되는 포유체의 암석학적 연구: 마그마 불균질 혼합에 관한 고찰 김종선
  5. 지질학회지 v.36 거제도의 화강암질의 지화학적 특성에 의한 마그마 불균질혼합 증거 김종선;이준동
  6. 지질학회지 v.36 울산 방어진일대 화강암내에 산출되는 포획암의 암석학적 연구 김종선;이준동;김인수;백인성;최보심
  7. 지질학회지 v.34 거제도 화강암질암의 마그마 불균질혼합 증거: 1. 그 기재적 특성 김종선;이준동;윤성효
  8. 자원환경지질학회지 v.32 경남양산 원동칼데라 중앙부의 각섬석-흑운모 화강암에 나타나는 포획암의 기원: 1. 암석기재학적 및 고자기학적 연구 김춘식;김성욱;김근수;김국락;손문;김종선
  9. 부산대학교 석사 학위논문 청도-밀양 일대에 분포하는 유천화강암에 대한 암석학적 연구: 염기성-산성 마그마의 상호작용에 관한 고찰 신기철
  10. 지질학사전 양승영
  11. 한국지질도(1:5만), 거제-율포지질도폭 및 설명서 원종관;지정만;김수진;윤선;소칠섭;김형식
  12. 암석학회지 v.6 거제도 화산암의 암석학적 연구 윤성효;이준동;이상원;고정선;서윤지
  13. 한국지구과학회지 v.11 경주 남산일대의 화강암의 암석학 및 지구화학의 특성 윤성효;황인호
  14. 지질학회지 v.31 경주지역의 A-형 알카리장석 화강암에 대한 광물학 및 주성분원소 지구화학 이미정;이종익;이민성
  15. 한국지구과학회지 v.18 경상분지 중동부 울산-경주 지역의 화강암체에 대한 K-Ar연대 측정 이종익;이미정;두경택;이민성;Keisuke Nagao
  16. 한국지구과학회지 v.20 경주 남산-토함산 일원의 화강암류에 관한 암석학적 연구 이준동;황병훈
  17. 한국지구과학회지 v.20 거제도에 분포하는 화강암류에 대한 암석학 및 암석화학적 연구 이춘희;이상원
  18. 지질학회지 v.30 남한의 중생대 화강암에 대한 각섬석 지압계와 지각 두께의 진화 조등룡;권성택
  19. 암석학회지 v.9 의성분지 보현산 일대 화강암류와 포획암에 대한 암석학적 연구 좌용주;김건기
  20. 암석학회지 v.9 양산시 원효산 화강암에 산출되는 포획암에 대한 암석학적 연구 진미정;김종선;이준동;김인수;백인성
  21. 지질학용어사전 홍영국
  22. 부산대학교 박사 학위논문 경상분지 남주지역의 화강암질암에 대한 암석학, 동위원소 및 성인 황병훈
  23. 지질학회지 v.38 안동저반의 암상과 다상 정치 황상구;장태우;김정민;안웅산;이보현
  24. Canadian Journal of Earth Science v.25 Field evidence for succesive mixing and mingling between the Piolard Diorite and the Saint-Julien-la-Vetre Monzogranite (Nord-Forez. Massif Central. France) Barbarin,B.
  25. Earth Sciences v.83 Genesis and evolution of mafic microgranular enclaves through various types of interaction between coexistng fesic and mafic magmas, Transactions of the Royal Society of Edinburgh Barbarin,B.;Didier,J.
  26. Journal of Geological Society of Australia v.25 Granitoids from the Moonbi District, New England Batholith, Easten Australia Chappell,B.W.
  27. Chappell, B.W., White, A.J.R. and Wyborn, D., 1987, The importance of residual source material(restite) in granite petrogenesis. Journal of Petrology, 28, 1111-1138
  28. Journal of Petrology v.28 The importance of residual source material(restite) in granite petrogenesis Chappell,B.W.;White,A.J.R.;Wyborn,D.
  29. Journal of Petrology v.30 Inclusion in three S-type granites from Southeastern Australia Chen,Y.D.;Price,R.C.;White,A.J.R.
  30. Journal of Geophysical Research v.95 Mafic inclusion from the Glenborg and Blue Gum Granite Suites, southeastern Australia Chen,Y.D.;Price,R.C.;White,A.J.R.;Chappell,B.W.
  31. Lithos v.21 Controls on the mineralogy of S-type volcanic and plutonic rocks Clemens,J.D.;Wall,V.J.
  32. Development in Petrology v.3 Granites and their enclaves: The bearing of Enclaves on the Origin of Granites Didier,J.
  33. Enclaves and Granite Petrology Didier,J.;Barbarin,B.
  34. Enclaves and Granite Petrology The different types of enclave in granites- Nomenclature Didier,J.;Barbarin,B.;J.Didier(ed.);B.Barbarin(ed.)
  35. Journal of Geophysical Research v.95 Some additional observations on inclusions in the granitic rocks of the Sierra Navada Dodge,F.C.W.;Kistler,R.W.
  36. Lithos v.38 Evidence of isotopic equilibration between microgranitoid enclaves and host granodiorite, Warburton Granodiorite, Lachlan Fold Belt, Australia Elburg,M.A.
  37. Geological Society of America Bulletin v.48 Criteria of origin of inclusions in plutonic rocks Grout,F.F.
  38. Petrography to Petrogenesis Hibbard,M.J.
  39. Nature v.330 Neodymium and strontium isotope content of microdiorite enclaves points to mantle input to granitoid production Holden,P.;Halliday,A.N.;Stephens,W.E.
  40. Chemical Geology v.92 Chemical and isotopic evidence for major mass transfer between mafic enclaves and fesic magma Holden,P.;Halliday,A.N.;Stephens,W.E.;Henney,P.J.
  41. The Theory of the Earth, with Proofs and Illustrations Hutton,J.
  42. Geoscience Journal v.6 Petrographical study on the Yucheon granite and its enclaves Kim,J.S.;Shin,K.C.;Lee,J.D.
  43. Bull. Serv. Carte Geol. Fr. v.2 Sur les enclaves acides des roches volcaniques d'Auvergne Lacroix,A.
  44. Journal of Petrology v.38 Igneous and metamorphic enclaves in the S-type Deddick Granodiorite, Lachlan Fold Belt, SE Australia: petrographic, geochemical and Nd-Sr isotopic evidence for crustal melting and magma mixing Mass,R.;Nicholls,I.A.;Legg,C.
  45. Canadian Mineralogist v.19 Petrology of the Strathbogie Batholith: a codierite-bearing granite Phillips,G.N.;Wall,V.J.;Clemens,J.D.
  46. Journal of Petrology v.32 Model for the origin and significance of microgranular enclaves in calc-alkaline granitoids Poli,G.E.;Tommasini,S.
  47. Earth and Planetary Science Letters v.66 Magma mixing in granitic rocks of the central Sierra Nevada, California Reid,J.R.;Evans,O.C.;Fates,D.G.
  48. Nature v.309 Microgranitoid enclave in granites-globules of hybrid magma quenched in plutonic environment Vernon,R.H.
  49. Journal of Geophysical Research v.95 Crystallization and hybridism in microgranitoid enclave magamas: Microstructural evidence Vernon,R.H.
  50. Contribution to Mineralogy and Petrology v.137 Origin an interaction of mafic and felsic magmas in an evolving late orogenic setting : the Early Paleozoic Terra Nova Intrusive Complex, Antarctica Vincenzo, Gianfranco Di;Rocchi, Sergio
  51. Tectonophysics v.43 Ultrametamorphism and granitoid genesis White,A.J.R.;Chappell,B.W.