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tudy on monitoring and prediction for the red tide occurrence in the middle coastal area in the South Sea of Korea II.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red tide occurrence and the oceanographic factors

원격탐사를 이용한 한국 남해 중부해역에서의 적조 예찰 연구 II. 적조발생과 해양인자간의 상관성 연구

  • Published : 2004.08.01

Abstra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red tide occurrence and the oceanographic factors in the middle coastal area in the South Sea of Korea, the favorable oceanographic conditions for the red tide formation are considered as follows; the calm weather increases sea water temperature in summer and early-fall which the red tide occurs frequently, and the heavy precipitation brings some riverine water to ween: low salinity, high suspended solid, low phosphorus and high nitrogen, respectively. We decided the potential areas in the coastal zones vulnerable to the red tide occurrence based on the limited factors controlling the growth of phytoplankton. By using GIS through the overlap for three subject figures (phosphorus, nitrogen and suspended solids), it was founded that the potential areas are the Yeosu∼Dolsan coast, the Gamak bay, the Namhae coast, the Narodo coast, the Goheung and Deukryang bay. This result has very well coincided to the results of the satellite and in-situ data.

남해 중부해역에서 적조발생과 관련해서 적조 다발월인 여름과 초가을에 기온과 마찬가지로 높은 수온을 유지한다. 또한 많은 강수량에 의하여 부유물질 및 영양염류가 증가하고 염분이 대체로 떨어지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때 적조의 bloom으로 인하여 대표적인 영양염류인 질소와 인의 값이 떨어진다. 그리고 적조생물의 사후 미생물 분해 작용이 활발하여 산소의 소모가 증가하여 용존산소가 급격히 떨어지고 화학적산소요구량이 높게 나타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때 식물성플랑크톤의 성장 제한인자로 작용하는 부유물질, 인산염, 질산염의 공간분포도를 이용해서 적조발생의 잠재력을 지닌 최적지를 결정하였는데, 최적지로서는 여수∼돌산해역, 가막만 북부지역, 남해 일부해역, 나로도해역, 고흥 남부의 일부 연안, 득량만과 인접한 고흥 서부 해역이었다.

Keywords

References

  1. 이영식, 박종수, 김성수, 전경암, 김영숙, 박중현, 백철인, 1999, 여수 돌산도 동부연안에서 담수유입에 의한 수질변화특성과 규조적조 발생, 국립수산진흥원연구보고, 57, 111-117
  2. 양재목, 장선덕, 강용주, 고관서, 장지원, 김인배, 이웅천, 장수호, 1979. 수산학개론, pp 382
  3. 국립수산진흥원, 1997. 한국 연안의 적조 -최근 적조의 발생원인과 대책-, pp 280
  4. Hahn, S. D., 1998. History of algal records in Korean coastal waters, In Harmful algal blooms in Korea and China(ed. Kim, H. G., S. G. Lee and C.K. Lee), NFRDl, Korea, pp. 34-43
  5. Kim, H. G., 1998. Harmful algal blooms in Korean coastal waters focused on three fish-killing dinoflagellates(ed. Kim, H. G., S. G. Lee and C. K. Lee), NFRDl, Korea, pp. 1-20
  6. Park, J. S., 1991. Red tide occurrence and countermeasure in Korea, In Recent approacher on red tides(ed. Park, J. S. and H. G. Kim), NFRDl, Korea, pp. 1-24
  7. 윤홍주, 김영섭, 윤양호, 김상우, 2002. 원격탐사를 이용한 한국 남해 중부 해역 에서의 적조 예찰 연구, l. 적조발생과 기상인자간의 상관성 연구, 한국해양정보 통신학회, 6권6호, pp. 843-848
  8. 국립수산진흥원, 1996-2001, 연안별 환경조사 연보
  9. Yoon, H. J. and Y. S. Kim, 2003. Satellite monitoring and prediction for the occurrence of the red tide in the Middle Coastal Area in the South Sea of Korea, Korean J. of remote sensing, 19(1), pp. 21-30 https://doi.org/10.7780/kjrs.2003.19.1.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