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주거용 건물에서 창호의 결로방지성능 검토를 위한 Mockup Test

  • Published : 2004.09.01

Abstract

Keywords

References

  1. 대림산업(주) 기술연구소, J 프로젝트 건축환경설비 적용기술, 2000. 5
  2. 대림산업 기술연구부, "아파트 결로방지 단열재 개선방안 연구", 1999. 5.
  3. 이성복, 고진수, 팽효원, "공동주택의 주요하자 원인분석 및 방지대책 - 창호 및 결로하자를 중심으로", 대한주택공사, 2001.
  4. 건설교통부, "건축물 에너지절약 설계기준", 2001. 6.
  5. 조수 외 4명, "유리조합에 따른 창호시스템의 열성능에 관한 연구", 대한설비공학회 2002년 동계학술발표대회 논문집, 2002. 11.
  6. 이승언, "건축물에서의 결로발생 유형과 대책", 그린빌딩 4권 2호, 2003. 6.
  7. 김지선, "외단열 마감 시스템의 하자사례 분석 및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한양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1. 6.
  8. 이영근, 건축물의 부위별 결로현상 분석 및 그 대책에 관한연구, 서울대학교 박사학위 논문, 1990.
  9. ASTM. ASTM Standard E779-87. Standard Test Method for Determining Air Leakage Rate by Fan Pressurization, American Society for Testing and Materials, 1987.
  10. ASHRAE, ASHRAE Standard 62-1989, Ventilation for Acceptable Indoor Air Quality, American Society of Heating, Refrigerating and Air-Conditioning Engineers, Inc., 1989.
  11. ASHRAE Fundamental, "Thermal and water vapor transmission data", ASHRAE, 1997.
  12. Melton, B. S., P. Mulroney, T. Scott and K. W. Childs, "Building envelope thermal anomaly analysis", ORNL/Sub/85-00294/1, OakRidge National Laboratory Energy Division, 1987.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