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Studies on the Usage of Compound Flavorings in Korea

국내의 조합향료 사용실태 조사

  • Published : 2004.10.01

Abstract

This study was performed to investigate the usage and management of flavorings inside or outside (Europe, Japan, JECFA and USA) for that establish a legislation about the flavoring management in Korea. Also, this study contributed to prevent confusion when manufacturers produce flavorings used in food industry. 6,434 among 8,386 flavorings authorized by Korea Food and Drug administration are compound flavorings, and 618 among 6,434 compound flavorings are synthetic flavorings. Many other substances except for flavorings are using as solvent in flavoring manufacture. Flavorings used in food industries of Korea are listed at least one among FEMA, JECFA, CoE and JFFMA except for isooctyl acetate and tricyclene. 493 items out of total 618 synthetic flavorings have completed safety evaluation by JECFA. 106 synthetic flavorings out of the rest listed FEMA as GRAS and 20 synthetic flavorings used in Japan. The replier answered that the most frequently used flavorings are strawberry, grape, orange, plum, lemon and vanilla flavor and that the usage of flavoring added to foodstuffs is less than 0.5%.

본 연구는 식품의약품안전청의 착향료 제조품목허가대장 조사 및 향료제조업체를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를 통하여 조합향료를 구성하고 있는 합성화학물질의 국내 사용실태 및 안전성 평가 여부를 파악하였으며 다음과 같다. 식품의약품안전청의 착향료 제조품목허가대장을 조사한 결과, 총 8,386개 중 6,434개의 조합향료를 구성하고 있는 합성화학물질은 618개였으며, 에스테르류에 속하는 합성화학물질이 가장 많았고, 다음으로 케톤류, 지방족알콜류의 순으로 나타났다. 실제 개별품목의 사용빈도 또한 에스테르류가 가장 많았다. 또한 조향 시 부원료로 사용되는 착향료는 용제로 가장 많이 사용되었다. 조사된 개별품목은 isooctyl acetate, tricyclene을 제외하고는 FEMA, JECFA, CoE, JFFMA의 한 목록 이상에 모두 등재되어 관리되는 것으로 나타났고 이들을 포함한 총 618품목 중 490품목은 JECFA에 의해 안전성평가가 완료되었고 나머지 128품목 중 106품목은 FEMA에서 관리되어 실질적으로 GRAS 물질로 인정되고 있으며 20품목은 일본에서 사용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식품을 제조하는 52개 업체를 대상으로 착향료 사용실태 및 관리현황에 대한 설문조사를 실시한 결과, 제품 제조 시 가장 많이 사용하는 착향료는 딸기향, 포도향, 오렌지향, 매실향, 레몬향, 바닐라향이었으며, 가장 많이 사용하는 개별품목은 딸기향은 ethyl butyrate, 포도향은 methyl anthranilate, 오렌지향과 레몬향은 citral, 매실향과 바닐라향은 vanillin이었다. 착향료의 사용수준에 대한 조사 결과, 착향료를 사용하는 대부분의 업체가 0.5% 미만의 미량을 사용하고 있었으며, 1%이상을 사용한다고 응답한 업체는 9.8%로 사용수준이 높지 않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최종제품에 대한 착향료 사용 표시사항여부는 다류를 생산하는 업체와 어육제품인 게맛살을 제조하는 업체를 제외하고는 원재료 5가지 내에 착향료가 들어가면 표시를 하나 그렇지 않으면 표시하지 않는다고 응답하였다. 또한 생산하는 제품의 특성에 따라 조금씩의 차이는 있었으나 소비자들이 주로 딸기향, 바나나향, 사과향, 초코향을 선호한다고 답하였다.

Keywords

References

  1. The Council of the European Communities. 1988. Council Directive of 22 June 1988 on the approximation of the laws of the Member States relating to flavourings for use in foodstuffs and to source materials for their production. Vol 388, p 2-4
  2. Song JC, Park HJ. 1998. Flavoring. In Food additives. 1st ed. JeeSung Publishing, Seoul. p 188
  3. Munro IC, Kennepohl E. 2001. Comparison of estimated daily per capita intakes of flavouring substances with no-observed-effect levels from animal studies. Food Chem Toxicol 39: 331-354 https://doi.org/10.1016/S0278-6915(00)00145-9
  4. Smith RL, Doull J, Feron VJ, Goodman JI, Munro IC, Newberne PM, Portoghese PS, Waddell WJ, Wagner BM, Adams TB, McGowen MM. 2001. GRAS flavoring substances. Food Technol 55: 34-55
  5. Japan Flavor and Fragrance Materials Association. 1994. International list of food flavorings. Food chemical news
  6. Korea Food and Drug Administration. 2002. Korea Food Additives Code
  7. Codex alimentarius commission. 1993. Codex alimentarius. Codex alimentarius commission
  8. Shin KE. 1997. Material and classification of food flavorings. Food Sci Indus 30: 36-43
  9. Kim HY, Kim JH. 2003. General trends of food flavors. Food Sci Indus 36: 79-84
  10. Munro IC, Kennepohl E, Kroes R. 1999. A procedure for the safety evaluation of flavoring substances. Joint FAO/ WHO Expert Committee on Food Additives. Food Chem Toxicol 37: 207-232 https://doi.org/10.1016/S0278-6915(98)00112-4
  11. SCF. 1999. Opinion on a programme for the evaluation of flavouring substances. SCF/CS/FLAV/TASKF/11 Final 6/ 12
  12. Smith RL, Doull J, Feron VJ, Goodman JI, Munro IC, Newberne PM, Portoghese PS, Waddell WJ, Wagner BM, Adams TB, McGowen MM. 2001. GRAS flavoring substances. Food Technol 55: 34-5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