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The Incidence and Distribution of Viral Diseases in Barley Fields in Korea

국내 맥류재배지의 바이러스병 발생과 분포

  • 박종철 (작물과학원 호남농업연구소) ;
  • 서재환 (작물과학원 호남농업연구소) ;
  • 최민경 (전북대학교 생물자원과학부) ;
  • 이귀재 (전북대학교 생물자원과학부) ;
  • 김형무 (전북대학교 생물자원과학부)
  • Published : 2004.09.01

Abstract

The symptom expressions such as yellowish and mosaic spots in overwintering barley have been considered to be a damage by cold or water. However, it had revealed that the symptom expressions were caused by viruses throughout three year nationwide surveys. Barley yellow mosaic virus (BaYMV), Barley mild mosaic virus (BaMMV), and Soil-borne wheat mosaic virus (SBWMV) was detected in 2001-2003 and Barley yellow dwarf virus-MA V (BYDV -MA V) from field samples collected on March in 2003. The results of investigation showed that the incidence of BaYMV was more than 70% and that of BaMMV and SBWMV was 15.7-37.4% and 0.7-10.1 % in three year surveys, respectively. The incidence of BYDV-MAV was approximately 1 % in 2003 only. The distribution of BaYMV was relatively uniform throughout barley fields in Korea, but the incidence of the virus in Gyunggi Province was as low as 19% compared to 65-85% in the rest of regions. On the other hand, 70% of BaMMV was found to be in the west south regions of Korea, Jeonbuk and Jeonnam Provinces. Taken together, both BaYMV and BaMMV were thought to be dominant casual agents in overwintering barley by either single or mixed infections. Previous survey data for BaYMV from 1994 to 1996 indicated that the incidence of the virus was approximately 40% in Jeonbuk, Jeonnam, and Gyungnam Provinces. Thus, comparing with the results from the recent nationwide survey, the incidence of BaYMV had been rapidly increasing in overwintering barley fields in the southern part of Korea.

월동 후 맥류 재배지에서 나타나는 이상 증상으로는 주로 잎에 황화등의 변색과 모자이크성 반점 등이 나타난 것으로 조사되었다. 2001년부터 3개년간 이들 증상엽을 조사한 결과 전국 평균 70% 이상이 바이러스에 의해 감염이 되어 나타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는 월동 후 맥류 재배지에서 나타나는 황화나 변색 등의 이상 증상이 바이러스의 감염에 주로 의해 발생하게 되는 결과를 보였다. 전국일원의 맥류 재배지에서 2001년부터 2003년까지 3개년간 BaYMV, BaMMY, SBWMV와 BYDV-MAV(2003년) 등 4종의 바이러스의 발생율을 조사한 결과 대상 바이러스 중 BaYMV가 가장 높은 감염율을 나타냈다. BaYMV는 조사 3개년 동안 전국 평균 발생율이 각각 75.1%, 71.7% 및 71.1%로 큰 차이 없이 가장 높은 발생율을 보였다. 다음으로는 BaMMV가 20.5%, 37.4%와 15.7%를 보인 반면, SBWMV는 0.7%, 10.1% 및 2.5%의 낮은 발생율을 보였다. BYDV-MAV는 1.1%의 발생율을 보였다 지역별로 조사한 결과 BaYMV가 19.0%의 경기도를 제외하고는 65.5∼85.7%로 전국적으로 우점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BaMMV는 전남북 지역에서만 전체 지역 발생율의 약 73%를 차지하여 전남북 지역이 주 발생지로 나타났다. BaYMV의 연차간 변화를 분석하였다. 그결과 '96 이후 최근까지 감염율이 계속 증가하는 것으로 확인이 되었다. 본 시험 결과 국내 맥류 재배지에서 BaYMV가 월동 후 보리의 황화의 주원인이 되며, 또한 전국적으로 가장 우점하는 병해로 확인되었다. 그리고 BaYMV는 최근까지 연차간 발생율이 계속 증가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저장기간이 길어질수록 점차 증가하여 제조 당일에 2.67에서 저장 17일에 2.99로 높아졌다. 7. 키위드레싱의 저장에 따른 색도를 살펴보면 명도(L값)는 저장 3일에 가장 낮은 값을 보였고 녹색도(a값)는 저장기간이 경과함에 따라 오히려 증가하여 더 짙은 녹색을 띄었으며 황색도(b값)는 저장기간이 길어질수록 감소되었다. 이상의 결과로 볼 때 키위드레싱은 기름으로 올리브유를 사용하고, 기름의 양은 전체 드레싱의 32%를 첨가하며, 산은 레몬즙만 12%를 사용하고, 양파즙은 12%를 첨가하여 제조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고 여겨지며 저장 10일까지의 품질 변화는 일어나지 않았다.데 효과가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대인관계 4개의 측정항목에서 높은 증가율을 보여 치료효과가 큰 것으로 판단된다. 원예 치료 실시 후의 자체설문지 평가결과 원예 활동을 통해서 달라진 점은 개인적으로 가족, 이웃 간의 긍정적인 변화를 이끌어내고 있다는 것을 발견할 수 있었고 다양한 원예프로그램이 인상깊었다고 하였으며 다음진행에 추가적으로 야외에서 진행할 프로그램에 대한 욕구가 표출되었다. 이것을 통해 개인적 치료경험과 가족, 이웃 간의 지지망 형성이 중요하며 긍정적인 영향을 주었다는 것을 볼 수 있었다. 또한 다양한 원예치료프로그램의 적용과 야외 활동을 조화롭게 적용한다면 성공적인 프로그램 진행에 도움을 될 것으로 판단된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하면 정신지체장애인에게 원예치료 프로그램을 실시한 이후에 원예에 대한 관심이 높고 자아존중 감이 향상되었으며 원예치료 프로그램에 대한 높은 만족도를 보였고 원예치료에 대한 참가성, 흥미성, 지속성, 대인관계성에서 높은 증가율을 보여 치료프로그램의 개입이 유의미한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Keywords

References

  1. Abbott, D., Wang, M. B. and Waterhouse, P. 2002. A single copy of vinis derived, transgenic encoding hairpin RNA confers BYDV immunity. Barley Yellow Dwarf Diseae symposium proceeding:22-26pp. CIMMYT. Mexico. 139pp
  2. Adams, M. J., Antoniw, J. F. and Mullins, J. G. 2001. Plant virus transmission by plsmodiophorid fungi is associated with distinctive transmembrane regions of virus encoded proteins. Arch. Virol. 146: 1139-1153 https://doi.org/10.1007/s007050170111
  3. Barr, D. J. S. and Slykhuis, J. T. 1976. Further observation on zoosporic fungi associated with wheat spindle streak mosaic. Can. Plant Dis. 556:77-81
  4. Chen, J., Swaby, A. G., Adams, M. J. and Ruan, Y. 1991. Barley mild mosaic virus inside its fungal vector, PoIymyxa graminis. Ann. Appl. Biol. 118: 615-621 https://doi.org/10.1111/j.1744-7348.1991.tb05351.x
  5. Frahm, J. H. 1989. Reduced yield caused by BaYMV in Lippe, Westphalia an analysis of causal factors, Gesunde PfIanzen 41: 45-46
  6. Jensen, S. G. 1973. Systemic movement of barley yellow dwarf virus in small grains. Phytopathology 63: 854-856 https://doi.org/10.1094/Phyto-63-854
  7. 김양길. 1997. 파종시기에 따른 보리호위축병 발생이 맥주보리의 수량 및 품질에 미치는 영향. 윈광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34pp
  8. Kojima, M., Matsubara, A., Yanase, S. and Toriyama, S. 1983. The occurrence of barley yellow dwarf disease in Japan. Ann. Phytopath. Soc. Japan 49: 338-346 https://doi.org/10.3186/jjphytopath.49.338
  9. 이귀재. 1997. 한국에 발생하는 보리마일드모자이크 바이러스(BaMMV)의 특성 및 유선자구조. 전북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17pp
  10. 이귀재, 박종철, 이왕휴. 2002. 보리호위축바이러스의 genome 구조와 병원성; 보리호위축병 저항성 육종의 분자생물학적접근. 71-80. 호남농업시험장 152
  11. 이순형, 1981. 한국의 주요 작물 바이러스병에 관한 연구. 농시보고 . 23: 62-74
  12. Lister, R. M. and Ranier, R. 1995. Distribution and economic importance of barley yellow dwarf virus, In: D'Arcy, C. J. and Burnett, P, A.(eds.). Barley Yellow Dwarf: 40 years of Progress. The American Phytopathological Society. Minnesota 29-53pp
  13. Lundsgaard,T.1976.Routine seed health testing for barley stripe mosaic virus in barley seeds using the latex test. J. of plant Disease and protection. 278-283pp
  14. 村山大記,蘆耀村.1965.北地ムギモサイク病に關する硏究.日植病報 30: 86p
  15. 나용준,박양수.1979.혈청학적 방법에 의한 보리와 밀 종자의 보리줄무늬모자이크바이러스 감염상 조사. 한국식물보호학회지 18 :29-33
  16. 박종철,서재환,김형무,이귀재,박상래,서득룡.2003.기상요인이 보리호위축병(BaYMV)발생에 미치는 영향. 한국작물학회지 48: 156-159
  17. 박종철,이재동,서재환,김양길,정선기,김형무.2004.보리호위축병(Barley yellow mosaic Virus)에 의한 보리의 생육 피해 및 세포학적 변화. 식물병연구 10(1): 34-38
  18. 齊藤康夫, 高梨和雄, 岩田吉人, 岡本弘. 1953. 土壤傳染性ムギウイルス病に關すろ硏究 1. 病原ウイルスの諸性質. 農林硏報告C l7: 19-25
  19. Singh, R. P, Singh, U. S. and Kohmoto, K. 1995. Pathogenicity and host specificity in plant disease; Histopathological, biochemical, genetic and molecular bases; Vol. III: Viruses and Viroids. 1-18. Elsevier Science Ltd. The Boulevard,Langford Lane, Kidington, Oxpord U. K. 417
  20. 소인영 , 정성수, 이귀재, 오양호. 1991. 보리호위축바이러스(BaYMV)의 매개체 검정 및 방제법에 관한 연구(II). 농시논문집 34: 75-83
  21. 소인영 , 이귀재, 전길형 , 서재환. 1997. 남부지방에 발생하는 보리호위축바이러스(BaYMV) 및 보리마일드모자이크바이러스(BaMMV)의 분포와 저항성 품종 선발. 한국식물병리학회지 13: 118-124
  22. 우미옥. 2000. Barley yellow dwarf virus의 분자학적 동정 및 밀계통별 저항성 유전자원 탐색. 서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30pp
  23. 하용웅. 2000. 보리. '제 6장 병해충 및 기상재해 . 275-292pp.'하용웅 박사 정년기념집 발간 위원회 . 505pp

Cited by

  1. Effects on Growth and Yield Whole-crop Barley by Soil-borne Virus Infection vol.32, pp.3, 2012, https://doi.org/10.5333/KGFS.2012.32.3.237
  2. L.) Variety, 'Cheongmyeong' With High Anthocyanin Content and Green Aleurone Layer vol.50, pp.2, 2018, https://doi.org/10.9787/KJBS.2018.50.2.13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