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velopment of Homogeneous Road Section Determination and Outlier Filter Algorithm

국도의 동질구간 선정과 이상치 제거 방법에 관한 연구

  • Published : 2004.12.31

Abstract

The homogeneous road section is defined as one consisted of similar traffic characteristics focused on demand and supply. The criteria, in the aspect of demand, are the diverging rate and the ratio of green time to cycle time at signalized intersection, and distance between the signalized intersections. The criteria, in that or supply, are the traffic patterns such as traffic volume and its speed. In this study, the effective method to generate valuable data, pointing out the problems of removal method of obscure data, is proposed using data collected from Gonjiam IC to Jangji IC on the national highway No.3. Travel times are collected with licence matching method and traffic volume and speed are collected from detectors. Futhermore, the method of selecting homogeneous road section is proposed considering demand and supply aspect simultaneously. This method using outlier filtering algorithm can be applied to generate the travel time forecasting model and to revise the obscured of missing data transmitting from detectors. The point and link data collected at the same time on the rational highway can be used as a basis predicting the travel time and revising the obscured data in the future.

국도의 단속교통류의 특성을 고려한 교통량 동질구간이란 도로의 공급측면에서 주요 신호교차로의 분기, g/C 비율, 신호교차로간 거리등으로 분할할 수 있으며, 교통수요측면에서는 교통량 변화 패턴곡 서로 유사하면서 정량적인 교통특성(예를 들어, 교통량의 크기나 속도의 범위 등)이 거의 같은 인근 검지기들로 이루어진 구간을 말한다. 본 연구에서는 국도 3호선의 곤지암 IC에서 장지 IC간의 10.72km를 대상으로 수집한 구간통행시간 자료와 검지기에서 수집한 지점 교통량과 속도 자료를 이용하여 기존의 이상치 제거방법에서의 문제점을 제시하고 참조자료를 활용한 새로운 유효 데이터 확보방안을 제시한다. 나아가, 향후 통행시간 추정모형 제작 및 검지기 자료의 이상치 및 결측 자료의 보정을 위한 동질구간의 선정방법을 KHCM 방식에 의한 공급자 측면과 교통류의 특성을 고려한 수요자 측면을 동시에 고려하여 제시하였다. 이러한 구간자료와 지점자료를 공유한 국도 구간의 교통류 특성에 관한 연구는 향후 소요시간 추정과 결측 및 데이터 보정에 필요한 기초 자료로 활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Keywords

References

  1. 강진기. 손영태. 윤여환. 변상철(2002), 비매설식 자동차량인식장치를 이용한 구간교통정보 산출방법 연구, 한국 ITS학회 논문집, pp.22-32
  2. 김영찬. 김태용(2001), 검지자료합성을 통한 도시간선도로 실시간 통행시간 추정모형, 대한교통학회지 제19권 제6호, 대한교통학회, pp.171-182
  3. 김주현. 도명식. 정재은(2002), 국도 기능분류를 위한 그룹핑 방법론에 관한 연구, 대한교통학회지 제20권 제4D, pp.523-533
  4. 대한교통학회(2004), 도로용량편람, pp.133-163
  5. 도명식. 김성현. 문학룡. 김명수(2004), 국도구간의 동질성 결정을 위한 방법에 관한 연구, 대한토목학회논문집, 제24권 제4D, pp.523-533
  6. 서울지방국토관리청(2001), 수도권 국도교통관리시스템 운영.관리 업무대행사업최종보고서
  7. 이지연. 도명식. 김성현. 류승기(2003), 교통량 데이터의 실시간 보정로직-국도 3호선을 중심으로, 응용통계연구 제16권 제2호, pp.203-215
  8. 장진환(2004), 자동차량인식장치 자료 필터링 알고리즘 개발, 서울시립대학 석사학위논문
  9. 최윤혁(2003), 택시 GPS Probe 자료의 실시간 이상치 제거 알고리즘 개발, 아주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0. 한국건설기술연구원(2001), 통행시간 추정과 통계자료보정을 위한 결측데이터보정모형제작 최종보고서
  11. 한국건설기술연구원(2000), 도로포장 관리시스템 최종보고서
  12. SPSS 아카데미(1999), 통계자료분석을 위한 한글 SPSS, 고려정보산업
  13. 安井一産.池之慶一郞(1995), 街路における旅行時 間豫測, 交通工學, Vol.30, No.6, pp.9-19
  14. Dion, F. and Rakha, H.(2003), Estimation spacial travel time using automatic vehicle identification data, TRB Annual Meeting
  15. FHWA(2001), 'Traffic Monitoring Guide', U.S. DOT
  16. Okutani, I., Sephanedes, Y.J.(1984), Dynamic prediction of traffic volume through Kalman filtering theory, Transportation Research 18B, pp.1-11
  17. Spath, H.(1980), 'Cluster analysis algorithms for data reduction and classification of objects', John Willy & Sons
  18. Washington, S.P., Karlaftis, M.S. and Mannering, F.L.(2003), Statistical and econometric mathods for transportation data analysis, Chapman & Hall/CRC