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eochemical Approach to Define the Fracture Bone Affected by the Ubo Fault at the Northern Part of the Hwabuk Dam

화북댐 상류지역을 통과하는 우보단층 파쇄대 영향분석을 위한 지화학적 접근

  • Published : 2004.12.01

Abstract

The Ubo fault Bone, which cross over the northwestern to southeastern direction at the Hwabuk damsite in Hakseongri, Gunwigun, Gyeongsangbukdo Province, has length about 20km. The Ubo fault zone in this area is segmented to several small faults and makes a gentle slope and hill along the right side of the drainage in the Hwabuk dam. In the storage area of Hwabuk dam, 2 pairs of faults occur and the width of fracture zones are about 2m. To define the fracture Bone using the geochemical data, the samples were collected at 0.5m, 1m, 2m, 4m, 8m, 16m and 32m apart from the center of the main fracture Bone toward north and south, respectively, and analyzed for major elements and mineral content Approaching the fracture Bone, Fe$_2$O$_3$, MgO, K$_2$O, quartz, muscovite and chlorite are increasing and Na$_2$O, CaO, plagioclase and biotite are decreasing, respectively. Based on the rock chemistry and mineral content, the range of the main fracture zone affected by the Ubo fault at Hakseongri is 2m width in total, the secondary deformed zone is 8m width in total. Finally the maximum affected range by the Ubo fault is inferred to 16m width in total.

경북 군위군 학성리 화북댐 건설예정지 북측 1km지점을 북서-남동방향으로 통과하는 우보단층은 20km 내외의 연장을 가지는 대단층이다. 이 지역에서 우보단층은 소규모의 단층들로 분절되며 인접 지역에 비해 단층의 영향이 적고 낮은 구릉형 지형을 형성하며 화북댐 우안의 분수령을 통과한다. 저수유역내에 2매의 단층이 통과하며 파쇄대의 영향범위는 2m 내외로 관찰된다. 지화학분석을 통해 파쇄대 영향범위를 평가하기 위해 주단층면을 중심으로 남북방향으로 각각 0.5m, 1m, 2m, 4m, 8m, 16m, 32m구간에서 시료를 채취하여 주성분원소와 광물함량비를 분석하였다. 파쇄대에 근접할수록 Fe$_2$O$_3$, MgO, $K_2$O, 석영, 백운모, 녹니석은 증가하는 경향을 보이며, $Na_2$O, CaO, 사장석, 흑운모는 감소하는 경향을 보인다. 화학조성과 광물함량비를 기초로 학성리일대를 통과하는 우보단층의 파쇄대 영향범위는 중심지역이 총 2m의 폭을 보이며 2차 영향대는 총 8m의 폭을 이룬다. 우보단층의 최대 영향범위는 총 16m의 폭을 가지는 것으로 추정하였다.

Keywords

References

  1. 김봉균, 정창희, 김수진, 양승영, 1981, 1:50,000 지질도 대율도폭, 29
  2. 석동우, 도성재, 1994, 의성지역에 분포하는 백악기 화산암류에 대한 대자율 이방성연구. 자원환경지질학회지, 27, 4, 411-420
  3. 윤성효, 1988, 화산 환상화성암복합체의 발달사 및 콜드론구조. 지질학회지, 24, 3, 267-288
  4. 원종관, 윤선, 소칠섭, 1980, 1:50,000 지질도 신령도폭, 21
  5. 이병주, 황재하, 1997, 경상분지 북동부에서의 가음단층과 양산단층의 관계. 지질학회지, 33, 1, 1-8
  6. 장기홍, 이유대, 이영길, 서승조, 오규영, 이창훈, 1984, 경상속 유천층군 기저의 부정합. 지질학회지, 20, 1, 41-50
  7. 최범영, 이승렬, 최현일, 2000, '가음단층계'의 분포와 운동특성에 대하여. 대한지질학회, 대한자원환경지질학회, 한국석유지질학회, 한국암석학회 2000년도 추계공동학술발표회 초록집, 62
  8. Choi, P., Lee, S.R., Choi, H., Hwang, J., Kwon, S., Ko, I. and An, G., 2002, Movement history of the Andong Fault System: Geometric and tectonic approaches. Geosciences Journal, 6, 2, 91-1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