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한국 전통 김치에 대한 중국인들의 기호도와 소비행태에 관한 연구

Preference and Eating Activities of Chinese for Traditional Korean Kimchi

  • 발행 : 2004.12.01

초록

본 조사연구는 중국인의 한국 김치에 대한 기호도와 중국 시장에서의 김치의 개선점, 중국 식생활에서 김치활용방법 등을 조사하여, 중국인의 식생활에 부합하여 한국 김치의 소비량을 증진시키는 방안과 김치의 현지화 방안을 조사하고자 실시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조사 대상 중국인들 중 한국김치를 시식한 경험이 있는 사람이 89.9%, 시식해 본 경험이 없는 사람이 10.1%로, 조사 대상자의 대부분이 김치를 시식한 경험이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배추김치에 대한 성별에 따른 기호도는 남자(M=3.61)가 여자(M=3.58)보다도 좋은 것으로 나타났으나 남녀간의 유의적 차이는 없었다. 김치의 전체적인 기호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는 맛(p<0.001), 외관(p<0.001), 조직감(p<0.05) 순으로 나타났다. 김치 시식후의 맛에 대해서는 "매운맛(34.3%)", "신맛(31.8%)이 느껴진다" 순으로, 조직감에 대해서는 "아삭거림(73.8%)", "질김(22.8%)", 향미에 대해서는 "매운 냄새(38.9%)", "신냄새(38.1%)"순으로 김치색에 대해서는 "빨간색(43.0%)", "노란색(25.6%)이 느껴진다"순으로 조사되었다. 한국 김치의 좋은 점에 대한 성별에 따른 차이는 남자의 경우 군덕내(22.4%)가 좋다. 건강식품이어서 좋다(22.4%), 매운맛이 좋다(20.7%)로 조사되었으며 여자의 경우 씹는 식감이 좋다(24.6%)로 가장 많고 군덕내가 좋다(23.4%)와 매운맛이 좋다(21.6%)로 남자와 비슷한 결과를 보였다. 반면 김치에 대한 개선점으로 질긴 질감의 저하(24.9%), 매운맛의 감소(20.5%), 군덕내의 저하(19.3%)로 조사되었다. 중국 음식 중에서 김치와 비슷한 음식으로 성채(xian cil)(23.2%), 작채(zha cai)(15.2%), 산채(Suan cai)(15.2%), 월채(12.8%), 사천포채(si chuan pao cil)(12.8%)라 응답하였고 기타 의견으로 한국 김치와 비슷한 것이 없다(8.8%)로 조사되었다. 중국 음식에 김치를 활용하였을 때 중국인들이 생각하는 김치의 용도는 고기 요리와 함께 섭취(31.7%), 밥, 국밥, 죽 등과 함께 섭취(29.9%), 요리의 부재료로 사용(18.5%)으로 조사되었으며 김치를 중국 요리의 부재료로 사용했을 시 적당한 중국 요리에 대한 조사에서는 죽(21.7%), 국밥(21.7%), 볶음밥(11.3%) 등으로 조사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investigate Chinese's preference and directions for improvement of Kimchi by sensory evaluation, and utilize Kimchi for the China eating habit by survey. Self administered questionnaires were collected 149 Chinese (16~25 yr) residing in Shanghai. About 89.9% of all the participants had eaten Kimchi before the survey. Overall preference about Kimchi was 3.59$\pm$0.62 (5 point: Lickertis scale) and affecting factors for overall preference were taste, appearance, texture, in that order. Chinese answered that tough texture (24.9%), spicy taste (20.5%) and fermented odor (18.1%) were the most important factors in improved quality of Kimchi. They answered that applications of Kimchi with Chinese cuisine are 'side dish with meat cuisine', 'eat with cooked rice, rice-mixed-in-soup, gruel' and 'use ingredients of cook', as similar to Korean's.

키워드

참고문헌

  1. Yoon SS. 1992. History of Korean Kimchi. Science and Industry of Kimchi 1: 34-42
  2. Son KH. 1991. Application and species of Kimchi. Korean J Dietary Cutture 6: 503-520
  3. Kim JS. 2002. Strategies for Kimchi. Food Distribution Research 19: 91-101
  4. Kim SH, Kim JO. 2002. A study on the strategy to promote export for Korean Kimchi business to Japan. Collection of treatises, Mokwon University 42: 313-340
  5. Choe HS. 2003. Biogenic components and physiological function of Kimchi. Science and Technology of Kimchi 9: 85-92
  6. Jang MH. 2001. A study on the export of Korean Kimchi. MS Thesis. Changwon National Univ. p 37-38
  7. Oh MS. 1998. Comparative criteria for the quality charac teristics of Kimchi between Korean focus and American focus group. Korean J Soc Food Sci 14: 338-393
  8. Hong JH. 2000. A study on Chinese university student's perception and preference for Korean Kimchi. MS Thesis. Yeungnam Univ. p 24-32
  9. Moon SJ, Shon KH, Lee YM, Ahn KM. 1986. Food Pre-ferences of foreigners residing in Korea. J Kor Home Econo Associ 24: 67-73
  10. Key SH, Yoon SI. 1998. Food preferences of foreign athletes in Korean traditional foods. Korean J Dietary Culture 3:78-87
  11. 오가와. 1997. 채소 발효 식품. 서울 외국 서적 , 서울. p 342-353
  12. 조재선. 2000. 김치의 연구. 유림문화사, 경기도

피인용 문헌

  1. Comparative Study on Awareness, Preference and Sensory Evaluation of Kimchi in Chinese and Korean Students Residing in Korea vol.28, pp.2, 2013, https://doi.org/10.7318/KJFC/2013.28.2.158
  2. A Literature Study on the Amount of Red Pepper in Cabbage Kimchi between the Decades from 1920 to 2010 in Cookbooks, Newspapers and Magazines vol.30, pp.5, 2015, https://doi.org/10.7318/KJFC/2015.30.5.576
  3. A Study on the Kimchi Consumption of Korean Adults:Using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2010~2012) vol.30, pp.4, 2015, https://doi.org/10.7318/KJFC/2015.30.4.4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