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prosthetic approach and principle for an collapsed VDO ; A clinical case of pseudo Class III patient

저위교합환자의 보철적 접근법과 이론 : Pseudo Class III 교합환자 증례

  • Kwon, Kung-Rock (Department of Prosthodontics, College of Dentistry, Kyung Hee University) ;
  • Choi, Dae-Gyun (Department of Prosthodontics, College of Dentistry, Kyung Hee University)
  • Published : 2004.12.30

Abstract

This article describes a clinical protocol for the conventional rehabilitation of patient diagnosed with partial anodontia. A combined dental therapy approach was used and included endodontic therapy and root capping on the maxillary central incisors, fabrication of a maxillary overdenture, and fabrication of mandibular konus overdenture supported by 3 konus abutments. Within this protocol, tooth-supported overdenture prostheses are used for 2 purposes: first, to obtain the most rigid retention and function at an established maxillary-mandibular relationship; and second, to continuously maintain function and esthetic appearance applying immediate dentures after teeth extraction. The idea behind this protocol and its associated clinical procedures is presented along with a discussion compared with implant therapy. In the case introduced, and after 7 years of observation, the therapy can be seen as a success. We increased the occlusal vertical height in this case, but it would be more appropriate to see this as recovering the occlusal vertical height that was lost. The process of increasing the occlusal vertical height, that is restoration of the face, modification of the extrinsic occlusion of the incisors, and retraction of the mandible is very difficult and important. Ultimately, class III malocclusion is fixed, adequate occlusal vertical height is gained, and the retracted posterior anodontial portion is restored by prosthodontic dentures based on the rigid support theory. The result of the therapy done on the later-achieved malocclusion with partial anodontia on the posterior portion must consider the following in order to maintain the safety of the esthetics of the tooth and face for a period of time: 1) occlusal restoration with an ideal occlusal vertical height, 2) allowance of the final occlusion induced by the functional relationship of the upper and lower jaw, 3)final occlusion functionally induced by the lip competence limit.

진단과 치료과정을 통해서 후천적으로 습득된 부정교합을 가진 부분무치악자 성인에게서, 교합고경을 회복해 줌으로써 3급 부정교합 안모에서 정상교합상태의 안모와 기능을 부여할 수 있었다. 대부분의 부분무치악자에서 치조골의 위축, 그리고 감소된 교합고경 인해 이루어진 부정교합자에게서 교합고경의 수복은 매우 어려운 작업이다. 적절한 안모의 심미는 대체로 interlabial gap이 약 0-2mm일 때 얻어진다. 이것과 함께, 제한된 입술 지지도(lip competence)가 교합고경 수복과 적절한 안모의 심미를 위한 지표로 사용될 수 있다. 소개된 증례의 경우는, 7년 이상의 계속 관찰 결과, 성공적인 치료였다고 판단된다. 교합고경을 증가시킨 경우이긴 하지만, 사실은 원래의 정상 교합고경으로 회복 시켜주었다고 하는 것이 더욱 옳은 표현일 것 같다. 교합고경을 증가시키는 작업은 안모의 수복, 절치부의 외상성 교합을 수정하고 하악을 후퇴시키는데 매우 어렵고도 중요한 일이다. 최종적으로, 3급 부정교합이 수정되고, 적절한 교합고경을 가지게 되었으며, 위축된 구치 무치악부가 rigid support 개념으로 제작된 가철성 의치로 수복되었다. 부분 무치악부를 가진 후천적 부정교합자의 치료의 결과로 획득한 치아 및 안모의 심미와 이것의 장기간 안정성은 다음의 관계를 잘 고려함으로써 지속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1) 이상적인 교합고경에서의 교합수복, 2) 상,하악골 관계에서 기능적으로 유도되는 최종 교합의 허용, 3) lip competence (입술 적응) 한계 내에서 기능적으로 유도되는 최종교합.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