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n Analysis on Residents' Attitudes on Ecotourism of Less Favored Mountainous Area - Focused on the Bonghwa-gun, Gyongbuk Province -

조건불리 산촌지역 생태관광에 대한 주민의식 조사 분석 - 경북 봉화군을 대상으로 -

  • Eom, Boong-Hoon (Dept. of Landscape Architecture, Catholic Univ. of Daegu)
  • 엄붕훈 (대구가톨릭 대학교 환경정보학부 조경학)
  • Published : 2004.08.25

Abstract

As a supplier of ecotourism, local people are vital for its successful development of ecotourism in Less Favored Mountainous Area(LFMA). A survey was carried on to investigate the residents' attitudes toward ecotourism development. In addition, an Importance-Performance Analysis(IPA) of resources for ecotourism was carried out. Major results are: First, cognition of residents fur environmentally friendly approach in tourism development, was very high (76.1 %). And appreciations of residents towards ecotourism were also high(more than 50%), Recently, the understanding of ecotourism is highly increasing. Second, ecotourism development was highly accepted(63%) as a desirable tourism development. And 65% of respondents showed willingness of participation to ecotourism development. Third, valleys were cognized as major ecotourism resources, and as a result of IPA, (unique) plant community, eco-villages, and habitats of wildlifes were in the category of 'Concentrate Here'.

Keywords

References

  1. 강미희, 1999, 생태관광객의 여행 동기 및 태도, 서울대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137
  2. 김대권, 김영태, 1998, 생태관광에 관한 이론적 고찰, 한국관광정책학회지 4(1) : 21-39
  3. 김사영, 1992, 생태관광과 인접유사개념에 관한 연구, 한국관광연구학회지 2 : 203-221
  4. 김석출, 2000, 생태관광 개발전략에 관한 이론적 고찰, 경주대학교 관광학논총, 62-79
  5. 김선희, 2003, 한국의 생태관광 개발방안에 관한 연구, 한국관광정보학회 관광정보연구 14 : 49-69
  6. 김성일, 2000, 특집 : 지역관광개발사업의 발전방향 3. 생태관광 ; 지속가능관광의 가능성, 국토연구원 국토 263 : 31-39
  7. 김용근, 조중현, 1998, 생태관광성향에 관한 조사연구, 한국환경생태학회지 12(2) : 156-162
  8. 김홍운, 1998, 한국생태관광의 실태와 활성화에 관한 연구, 한양대사회과학논총 17 : 579-617
  9. 농촌경제연구원, 1998. 조건불리지역 및 환경보전에 대한 직접지불제도 조사연구
  10. 박석희, 2000, 생태관광의 개념에 관한 고찰, 한국 관광산업학회 관광연구 14 : 67-89
  11. 박선희, 김영선, 2001, 생태관광에 관한 관광자의 인식에 관한 연구, 한국관광연구학회 15 : 91-114
  12. 안영면, 1997, 생태관광과 유사개념에 관한 연구, 대한관광경영학회 관광연구 8 : 251-266
  13. 엄기철, 1994, 특정낙후지역 개발제도 개선방안, 농어촌발전위원회 발표자료집 : 125-144
  14. 엄서호, 박창규, 2000, 대안관광으로서 생태관광의적용, 경기대 소성관광종합연구소논문집 4 : 83-104
  15. 오정준, 2003, 생태관광지의 지속가능성에 관한 연구, 대한지리학회지 38(4) : 610-629
  16. 유기준, 최인묵, 1999, 자연지향적 집단의 생태관광 행동특성에 관한 연구, 한국환경생태학회지 13(2) : 167-175
  17. 유병림 외, 1996, 정주공간 구성을 위한 커뮤니티 설계 모형 연구 : 조건불리지역 산촌을 중심으로, 농촌계획 2(2) : 67-80
  18. 윤여창, 유순호, 1995, 농산촌 정주환경 조성과 국토활용 제고에 관한 연구, 농촌계획 1(2) : 103-122
  19. 이경재 외, 1997, 농촌마을 생태관광지 기본계획, 농림부 농특과제연구보고서
  20. 조용기, 1999, 생태관광의 발전과정과 생태관광자 특성에 관한 연구, 경주대학교 녹지환경논총 2 : 127-147
  21. 최혜경, 1998, 생태관광지 개발 활성화에 관한 연구, 관광품질시스템학회 관광품질시스템연구 4(7) : 279-295
  22. 한국관광공사, 1996, 생태관광 개발방향과 전망
  23. 한상겸, 2000, 생태관광 활성화 방안에 관한 연구, 남서울대학교논문집 6 : 135-147
  24. Crossley, J. and B. K. Lee, 1994, Ecotourists and Mass Tourists: A Difference in ‘Benefit Sought’, Travel and Tourism Research Association Proceedings, Oct. : 22-30
  25. Eagles, P.F.J., 1992, The trave1 Motivation of Canadian Ecotourists. Jour. of Travel Research 31(3) : 64-66
  26. Fennel, A.D. and P. Eagles, 1990, Ecotourism in Cos-tarica: A Conceptual Framework, Jour. of Park and Recreation Administration 8(1) : 22-34
  27. Kretchman, J.A. and P. Eagles, 1990, An Analysis of the Motives of Ecotourists in Comparison to the Generl Canadian Population, Society and Leisure 13 499-508
  28. Martilla, J.A. and J.C. James, 1977, Importance-Performance Analysis, Jour. of Marketing 41(1) : 77-79
  29. Wallace, D.R., 1992, Ecotourism, Landscape Architecture 82(2) : 36-39
  30. Wathern, P., 1992, Less Favored and Environmentally Sensitive Areas: a Europian dimension to rural environment, In Howarth and Rogers(eds.), Agriculture, Conservation and Land Use-Law and Policy Issues in Rural Areas. Univ. of Wales Press, Cardiff
  31. Western, D., 1993, Defining Ecotourism. Lindberg, K. & Hawkins(eds.) Ecotourism: A Guide for Planners and Managers, The Ecotourism Society 7-11
  32. Wilson, M.A., 1987, Nature Oriented Tourism in Educator: Assessment of Industry Structure and Development needs, FPEI Working Paper 20 : 1-3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