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구운동 중심 태양계 실험 모형이 초등 예비교사와 초등학교 교사의 천문개념 변화에 미치는 효과

The Changes of Preservice and Inservice Elementary School Teachers' Concepts of the Solar System Based upon Their Exposure to the Earth Motion Centric Solar System Model

  • 발행 : 2004.10.30

초록

본 연구는 새롭게 고안된 "지구중심운동 태양계 실험 모형"이라는 실험모형을 통해서 초등 예비교사와 초등학교 교사의 "천문개념 변화"에 초점을 맞추었다. 전주에 소재하고 있는 전주교육대학 졸업반 학생 31명과 전북에서 근무하는 초등교사 30명을 연구 대상으로 하였다. 먼저 학생들의 사전개념을 조사하고, 이 실험 모형을 활용한 수업전후에 개념검사를 실시하였다. 검사도구는 모두 10문항으로 내행성의 운동, 내행성의 위상과 크기, 외행성의 운동, 혜성의 운동으로 구성되었다. 분석 방법은 사전 검사에서 천문개념에 대한 유년적 개념을 확인하고, 사후 검사에서 초등 예비교사와 초등학교 교사의 개념이 어떻게 변화되었는지를 조사하였다. 결과적으로 지구 운동 중심 태양계 모형이 내행성의 운동과 내행성의 위상과 크기변화, 외행성의 운동에 관한 내용에서는 올바른 과학적 개념 형성에 효과가 있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ocument the changes in astronomical concepts for preservice and inservice elementary school teachers after being presented with the newly devised Earth Motions Centric Solar System Model. The subjects of the study were 31 preservice and 30 inservice elementary schools teachers in the Jeonbuk Province. First, the author investigated the naive theories of the subjects, and then, compared that data to the data obtained after their exposure to the model. The total number of items on the instrument for this study was 10. These items included questions about the motion of interior planets, the phases and sizes of interior planets, and the motion of exterior planets and comets. After analyzing the answers to the items before the experiment, the author was able to confirm the existence of the naive theories regarding astronomical phenomena. Also, after the experiment, the author was able to observe the conceptual change in thought of the preservice and inservice elementary school teachers. Results showed that learning through the new model had positive effects on the preservice and inservice elementary school teachers' conceptualization of the interior planets' motion, phases and sizes, and the exterior planets' motion.

키워드

참고문헌

  1. 고재근(1994). 천체관측 자료의 활용을 통한 탐구력 신장방안. 현장교육 연구논문 발표대회 연구 보고서, 1-46
  2. 구자옥, 안희수(1996). 중학교 지구과학 학습에서 개념도를 바탕으로 한 컴퓨터 보조수업이 학업성취도와 태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지구과학회지, 17(2), 183-191
  3. 권성기, 임청환(역)(2002). 구성주의적 과화학습심리학. 시그마프레스
  4. 김현빈, 유계혜(1997). 고등학교 지구과학 교과서 'III. 우주' 단원의 개념도 작성. 한국과학교육화회지, 17(4), 461-480
  5. 류주현, 유계화(1997). 고등학교 과학 I (하) 천문영역에 대한 STS프로그램 적용이 학생들의 과학적 태도와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효과. 한국지구과화회지, 18(6),473-479
  6. 민준규(1991). 중학교 및 지구과학교사의 지구와 달의 운동에 관한 개념. 한국교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7. 정남식, 우종옥, 정진우(1995). 중등 학생들의 천문개념의 유형별 분석. 한국지구과학회지, 16, 188-193
  8. 정남식, 우종옥, 정진우(1996). 소집단 역할놀이와 토의를 통한 고등학생들의 천문개념 이해. 한국과학교육학회지, 16(1), 61-76
  9. 채동현(1997). 초등학교 자연과 내용에 대한 컴퓨터 보조수업 (CAI)이 과학 성취도와 과학적 태도에 미치는 효과,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지, 16(2), 225-241
  10. 채동현(2000). 천체관측을 통한 학습이 천문성취도, 천문 교수효농에 대한 신념, 과학적 태도에 미치는 효과. 한국 초등 과학교육학회지, 19(1), 47-5
  11. 채동현, 하정훈(2002). 새로운 태양계 실험모형이 초등예비교사의 개념 변화에 미치는 효과. 한국 초등 과학교육학회지, 21(1), 43-60
  12. Berr, S.(1994). Experiencing the eclipse. The Science Teacher, 29-33
  13. Dudley, J. S.(1998). The Relation between drawing three-dimensional forms and understanding earth motions diagrams.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The State University of New York at Buffalo
  14. Gunstone, R, & Northfield, D. J.(1986). Learnersteachers-researchers: Consistency in implementing conceptual change. Paper presented at annual meeting of the American Educational Research Association, San Francisco
  15. Matthews, C., Campbell, T., & Craig, J.(1995). Mooning in the middle schoo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