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Development of Students' Scientific Perspectives on Historical Heritages through the Science Field Trip of Hwasong Fortress

수원 화성 과학 탐방을 통한 문화재에 대한 과학적 안목 형성 지도

  • Published : 2004.10.30

Abstract

Science field trip on historical heritages in Korea has developed since 1998. There are a few discussion of effectiveness of science field trip on historical heritages. In this research, the aim of science field trip on historical heritages was discussed in view of developing scientific perspectives on historical heritages with cases of science field trip of Hwasong fortress. Material for science field trip of Hwasong fortress was developed and instructional strategy was designed. The material contained convergent and divergent scientific inquiry activities. The goal of the activity was to help students to build scientific perspectives on the historical heritage, so they can evaluate the scientific excellency of historical heritage. The subjects were ten ninth grade students of middle school science club in Seoul. A questionnaire, "evaluation of scientific excellency of historical heritage" was administered before and after the field trip. From the analysis of a change in perspective by field trip, it was investigated how the scientific perspective on historical heritages was developed. The first draft of material for science field trip of Hwasong fortress was developed based on science education experts' discussion. The material has three parts; activities before the trip, activities during the trip and activities after trip. Instructor's guide has the same structure. Before the field trip, students watched the videotape and learned the short history lesson about Hwasong fortress to develop familiarity. During the trip, there were exploring stage and intensive inquiring stage. These activities were designed to develop scientific perspective on historical heritage. After the field trip, evaluation activity about scientific value of Hwasong was done based on the activities done during the trip. After the science field trip of Hwasong fortress, most of students showed positive changes. Some of them reflected on their previous thoughts. Some recognized the necessity of the proper criteria for scientific excellency of historical heritage. All changed in their perspective on evaluating scientific aspects on historical heritage, such as considering the social environment, scientific principles and the influence of science and technology of that age on the society, when the fortress was built. These results show that the science field trip focused on the criteria for evaluating the scientific excellency of historical heritage was significant in helping students to develop the scientific perspective on historical heritage.

한국 역사 속 과학탐방은 1998년부터 개발, 시행되고 있다. 한국 역사 속 과학 탐방의 효과에 대해서는 일부 논의가 있었으나, 실질적인 연구는 부족하였다. 이 연구에서는 한국 역사 속 과학탐방의 목적을 문화재에 대한 과학적 안목 형성 관점에서 화성 과학탐방의 사례와 함께 논의하였다. 문화재의 과학적 우수성 평가 준거를 고려하여 연구자의 안내된 질문과 수렴적 및 발산적 과학 탐구로 구성된 화성(華城) 과학 탐방 자료가 개발되고 지도 방략이 구안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문화재의 과학적 우수성 평가 준거를 고려한 화성 과학 탐방을 지도하여 중학생들이 문화재의 과학적 우수성을 올바로 평가할 수 있는 분별 능력, 즉 문화재에 대한 과학적 안목을 형성하는지 여부를 조사 하고자 하였다. 서울 지역 중학교 과학 특별활동반 10명을 연구 대상으로 하였다. 탐방 전과 후에 실시된 '문화재의 과학적 우수성 평가하기' 설문과 탐방 후 면담을 통해 탐방을 통한 관점 변화를 분석하여 과학 탐방 활동으로 문화재에 대한 과학적 안목 형성 여부를 연구하였다. 과학교육 전문가들의 화성 과학 탐방 활동과 토의 과정을 바탕으로 '화성 과학 탐방' 자료 개발 초고 작성 후 과학교육 전문가들의 논의를 거쳐 학생들에게 적합한 과제를 포함하여 탐방 전 활동, 현지 탐방 활동, 그리고 탐방 후 활동으로 자료를 구성하였다. 실제 탐방 지도 계획도 탐방 전 활동과 현지 탐방 활동 그리고 탐방 후 활동을 위한 내용으로 하였다. 구체적 지도 방략으로 탐방 전 활동에서 학생들이 장소에 대한 생소함을 줄여줄 수 있도록 비디오 시청과 장소에 대한 간단한 안내가 있었으며, 현지 탐방 활동에서는 문화재에 대한 과학적 안목 지도를 위하여 문화재의 과학적 우수성 판단 준거를 고려한 탐색 단계와 집중 탐구 단계가 있도록 하였고, 탐방 후에는 현지 과학 탐방 활동을 바탕으로 화성의 과학적 가치 평가 활동이 있었다. 탐방 후 학생들의 설문과 면담을 분석한 결과, 대부분의 학생이 긍정적 변화를 보였다. 화성 과학 탐방 활동을 통해 학생들은 기존에 자신들이 가지고 있었던 문화재에 대한 관점에 반성적으로 사고하고, 문화재의 과학적 우수성을 판단하기 위한 올바른 평가 준거의 필요성을 알며, 우리 조상들의 지혜와 과학 기술이 당시 사회에 어떤 영향을 주었는지, 그리고 문화재가 만들어질 당시의 시대적 상황 및 문화재의 과학적 목적과 원리를 새롭게 고려하는 등 탐방 전과는 다른 관점에서 문화재의 과학성을 평가하였다. 이와 같은 결과들은 문화재의 과학적 우수성 평가 준거를 고려한 교사의 안내된 질문과 수렴적 및 발산적 과학 탐구로 구성된 화성 과학 탐방 지도가 학생들의 문화재에 대한 과학적 안목 형성에 있어 의미 있었다는 것을 보여준다.

Keywords

References

  1. 교육부(1997). 과학과 교육과정 (교육부 고시 제 1997-15호 [별책 9]). 교육부
  2. 박성래 (1991). 민족과학의 뿌리를 찾아서. 동아출판사
  3. 박성래 (1993). 한국인의 과학정선. 평민사
  4. 박성래 (1998). 한국사에도 과학이 있는가. 교보 문고
  5. 박승재(1998). 한국 역사 속 과학 탐방의 교육적 논의. 과학 교육자 큰 모임. 한국과학교육단체총연합회
  6. 윤혜경(1998). 한국 역사 속 과학 탐방의 실제 지도 방안. 과학 교육자 큰 모임. 한국과학교육단체총연합회
  7. 이면우(1998). 한국 과학사와 과학교육. 과학 교육자 큰모임. 한국과학교육단체총연합회
  8. 최재혁(1998a). 화성(華城) 과학 탐방의 자료 개발의 계획과 과정. 과학 교육자 큰 모임. 한국과학교육단체총연합회
  9. 최재혁(1998b). 화성(華城) 과학 탐방 지도 방법과 학습활동의 실제. 한국 역사 속 과학 탐방 교육. 한국과학 교육단체총연합회
  10. 최재혁, 박승재(1998a). 화성(華城) 과학 탐방. 과학문화교육연구회
  11. Boyd, W. E.(1996). The significance of significance in cultural heritage studies: a role for cultural analogues in applied geography teaching. Journal of Geography in Higher Education, 20(3), pp. 295-304 https://doi.org/10.1080/03098269608709374
  12. Falk, J. H. & Balling, J. D.(1982). The field trip milieu: learning and behavior as a function of contextual events. Journal of Educational Research, 76, pp. 22-28 https://doi.org/10.1080/00220671.1982.10885418
  13. Falk, J. H., Martin, W. W., & Balling,J. D.(1978). The novel field trip phenomenon: adjustment to novel settings interferes with task learning. Joum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15, pp. 127-134 https://doi.org/10.1002/tea.3660150207
  14. Layton, D.(1991). Science and praxis: the relationship of school science to practical action. Studies and in Science Education, 19, pp. 43-79 https://doi.org/10.1080/03057269108559992
  15. Orion, N.(1993). A model for the development and implementation of field trips as an integral Part of the science curriculum. School Science and Mathematics, 93(6), pp. 325-331 https://doi.org/10.1111/j.1949-8594.1993.tb12254.x
  16. Orion, N. & Hofstein, A.(1991a). The measurement of students' attitudes towards scientific field trips. Science Education, 75, pp. 513-523 https://doi.org/10.1002/sce.3730750503
  17. Osborne, J.(1998). Thinking the unthinkable-science education without laboratory?. The 1st British-Korean Science Education Seminar Proceeding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