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tterns of Designing Tools Experiments with Types of Force Conceptions in Elementary School Students

초등학생의 힘 개념에 따른 연모 실험 설계의 유형

  • Published : 2004.06.30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whether the elementary school students force conceptions may influence on designing tools experiments. Four questions with multiple choices and reasons for those choices were asked to identify scientific/alternative force conception. Also four tasks for tools experiments matched to each force conceptions were developed into open questions in hypothesizing. controlling variables and methods of experiments. Forty elementary students were selected from 4 classes in sixth grade of a school in Daegu city. The major findings of this study were that the types of force conceptions can be classified into scientific and alternative conceptions. The patterns of designing experiments could be identified with types of hypothesis, controlling variables and methods of experiments in each four tools experiments. But students those who had scientific force conception did not better in hypothesis, methods of controlling variables and results for simple experiment than those who had alternative force conceptions. These results imply that students' force conception did not influence on designing tools experiments. The assumption that scientific conception could improve designing experiments was not guaranteed by this results.

본 연구의 목적은 초등학생들의 힘에 대한 개념이 연모 실험을 설계하는 과정에 영향을 끼치고 있는 가를 탐색적으로 분석하는 것이다. 초등학교 6학년 학생 40명을 대상으로 힘에 대한 개념을 4개의 선다형 문항을 실시하여 응답 유형을 구분하였다. 힘 개념을 조사하는 문항과 짝을 이루도록 개발된 연모 실험의 4가지 과제를 동일한 학생들에게 해결하도록 하여 실험 설계 능력 중 가설 설정, 변인 통제 및 실험 방법의 요인으로 구분하여 조사하였다. 연구의 분석 결과 초등학생들을 힘에 대한 개념을 과학적 개념과 대안적 개념 집단으로 구별될 수 있었으며, 그 개념에 따라서 실험 설계 능력 중 가설 설정과 변인 통제 및 실험 방법에서 어떤 유형으로 구별되는 가를 분석하였는데, 과학적인 힘 개념을 가진 학생들이 연모 실험의 가설 설정과 변인 통제 및 실험 방법에서 차이를 보이지 못하였다. 이런 결과는 초등학생들의 힘 개념이 연모 실험을 설계하는데 아무런 영향을 주지 못하며, 결국 과학 개념이 실험을 설계하는데 긍정적인 역할을 하도록 한다는 가정이 유지되기 어렵다는 점을 시사받을 수 있었다.

Keywords

References

  1. 권재술(1989). 과학개념 형성의 한 인지적 모형. 물리교육, 7(1), 1-9. 한국물리학회
  2. 권재술, 김범기(1993). 과학 오개념 편람. 한국교원대학교 물리교육 연구실
  3. 김주훈, 이양락(1984). 국민학교 자연과 명가의 원리와 실제. 한국교육개발원 연구 보고, TR 84-7
  4. 물리학습연구실 (1993). 학생의 물리 개념: 물리교육 자료. 서울대학교 물리학습연구실
  5. 박승재, 조희형(1994). 과학론과 과학교육. 교육과학사.
  6. 박종두(1999). 힘 개념 유형에 따른 연모 실험 설계. 대구 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7. 선우종철(1987). 중력과 운동에 대한 중학생의 개념 분석. 서울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8. 이범홍, 김영민(1983). 과학과 수업과정 모형 및 평가방법 개선 연구 -초등학교 자연과를 중심으로. 한국교육개발원 연구보고, RR 83-7
  9. 이영직(1992). 뉴턴 운동법칙에 관한 학생들의 오개념의 견고성.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10. 이항로(1991). 고등학생의 과학 탐구능력 측정을 위한 평가도구 개발-지구과학을 중심으로.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석사학위 논문
  11. 조희형(1988). 선입관의 철학적 배경 및 오인과 과학학습의 관계. 한국과학교육학회지, 4(1), 34-43
  12. Driver, R.(1985). Children's ideas in science. Milton Keynes; .Open University Press
  13. Duit, R.(1991) Students' conceptual frameworks: consequences for learning science. In Shawn M. Glynn, Russell H. Yeany, and Bruce K. Britton, (Eds.) The Psychology of Learning Science. Lawrence Erlbaum Associates.
  14. 권성기, 임청환 역(2000). 구성주의적 과학학습심리학. 시그마프레스
  15. Fraser, B. J.(1980).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a test of enquiry skills.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17(1), 7-16 https://doi.org/10.1002/tea.3660170103
  16. Frost, J.(1997). Creativity in primary science. Open University Press
  17. Gott, R. and Mashiter, J.(1994). Practical work in science: A task-based approach? In Ralph Levinson (Ed.) Teaching Science, 178-189, Routledge
  18. Gunstone, R. F.(1986). Student understanding in mechanics: A large population survey. American Journal of Physics, 55(8), 691-696 https://doi.org/10.1119/1.15058
  19. Qualter, A.(1996). Differentiated primary science. Open University Press
  20. Sjoberg, S. and Ekeland P. R.(1984). Ideas in mechanics a Norwegian study. In P.L. Lijnse (Ed.) The many faces of teaching and learning mechanics. Utrecht
  21. White, B.(1984). Difficulties in understanding Newtonian dynamics, In P.L. Lijnse (Ed.) The many faces of teaching and learning mechanics. Utrec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