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기평가에 대한 피드백 유형이 중학교 학생들의 과학 개념 이해와 과학 관련 태도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Feedback Types in Self Assessment on the Students' Science Concept Understanding and Science-Related Attitudes in the Middle School Science

  • 발행 : 2004.06.30

초록

이 연구는 중학교 과학 수업에서 자기평가를 실시한 후 학생의 학습 과정에 대한 여러 유형의 피드백을 제공하는것이 학생의 과학 개념에 대한 이해와 과학 관련 태도에 있어서 어떤 효과가 있는가를 알아보기 위하여 실시하였다. 이 연구를 위하여 대도시에 소재한 여자중학교 3학년 10개 반 중에서 5개 반은 실험집단, 다른 5개 반은 비교집단으로 하였다. 실험집단 5개 반 중에서 1개 반은 평가지에 교사가 자세한 조언을 적어주고(실험집단 A), 2개 반은 정오식 피드백을 주었으며(실험집단 B), 나머지 2개 반은 평가문항에 대한 교사의 강의식 집단 피드백(실험집단 C)을 제공하였다. 연구에 사용된 검사도구는 과학개념 이해 검사지와 과학 관련 태도 검사지를 사용하였다. 연구결과, 자기평가에 대한 피드백을 제공한 집단이 과학개념 이해도 검사(p<.05)와 과학 관련 태도 검사(p<.01)에서 비교집단에 비해 더 향상된 결과를 보여주었다. 자기평가에 대한 피드백을 제공한 집단 내에서 피드백의 유형에 따라 과학개념의 이해도의 측면에서는 집단간 유의미한 차이(p>.05)를 나타내지 않은 반면, 과학 관련 태도 측면에서는 강의식 집단 피드백을 제공한 실험집단 C의 학생들이 자기평가지에 교사가 자세한 조언을 적어준 실험집단 A에 비해 과학 관련 태도 측면에서 보다 향상된 결과(p<.05)를 보여 주었다. 자기평가에 대한 피드백을 제공한 집단 내에서 자기평가와 피드백의 유형에 대한 학생들의 인식은 대체적으로 긍정적인 반응을 보였다. 즉 자기평가와 피드백이 개념이해와 복습의 측면에서 도움을 준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또 학생들이 메타 인지적 사고과정을 가지게 되고, 아직은 소수에 불과하지만 자기 주도적인 학습을 시도하는 학생도 있음을 알 수 있었다. 그러나 실험집단 A는 실험집단 B와 C에 비해 다소 부정적인 인식을 가진 학생들이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중학교 과학 수업에서 학생들이 자기평가를 할 때 그 유형에 관계없이 피드백을 제공하는 것이 과학개념 이해와 과학 관련 태도개선에 있어서 긍정적인 결과를 가져온다는 것을 시사한다.

In this study, the effects of feedback types in self-assessment on the students' science concept understanding and science-related attitudes were investigated. Student's perceptions towards the self-assessment and the feedback provided were also examined. Ten classes from a middle school were chosen. Five of those classes were assigned to the comparative group that any type of feedback was not provided and the other five classes were assigned to the experimental group which feedback was provided. The experimental group was further divided into three groups for implement of three types of feedback. Experimental group A was given feedback in the form of written comments and experimental group B was provided feedback through correct-wrong response to the students answer. Experimental group C was provided oral feedback to the whole class. The tests of science-related attitudes were administered before and after the instruction period. The science concepts understanding test was done only after the instruction.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experimental group and comparative group in understanding of scientific concepts. The enhancement of science-related attitudes was also significantly higher for the experimental group.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experimental groups in science-related attitudes. However,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understanding of scientific concepts in relation to the types of feedback in experiment groups. Interviews with the students of the experimental groups showed that students had positive attitudes towards self-assessment and the types of feedback. And they regarded self-assessment and feedback as helping them understand the science concepts. In conclusion, it was acknowledged that providing feedback in self-assessment showed considerably positive influences on the improvement of the understanding of scientific concepts and science-related attitudes.

키워드

참고문헌

  1. 김성조(1998). 학습에 대한 피드백 유형이 학습자의 개념 수준에 따라 학업 성취에 미치는 효과.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 박영희(1991). 학습자 인지양식에 따른 피드백 제공시기가 학업성취에 미치는 영향. 고려대학교 석사학위논문
  3. 박종국(1998). 소집단 과정에서의 교사주도. 아동주도 피드백이 아동의 도움행동 태도에 미치는 효과. 한국교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4. 박희묵(2000). 포트폴리오 명가 피드백이 초등학생의 과학 지식 및 탐구 능력에 미치는 효과. 한국교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5. 윤동영(1999). 수행평가피드백이 아동의 학업성취 및 학습 태도에 미치는 효과, 한국교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6. 이경숙(2000). 자기주도학습이 자아효능감 및 학업성취에 미치는 효과. 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논문,2000
  7. 이영미(1986). 교수-학습 과정에서 피드백이 학습성취에 미치는 영향.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8. 이현주, 최경희, 남정희(2001). 형성명가의 피드백 유형이 학생들의 학업 성취 몇 교사-학생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0(3), 479-490
  9. 임영란(1993). 피드백 유형이 내적 동기 및 학업성취에 미치는 효과. 중앙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0. 장흥실(1996). 피드백 유형이 학습자의 학업성취도 및 창의력에 미치는 효과. 한국교원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11. 정완호, 권재술, 정진우, 김효남, 최병순, 허명(1997). 과학과 수업모형. 서울: 교육과학사
  12. 최종학(1996). 평가결과의 피드백 방법이 학업성취에 미치는 영향. 고려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3. Arthur, H.(1995). Student self-evaluations-how useful-how valid, Intsrnational Journal of Nursing Studies, 32. 271-276 https://doi.org/10.1016/0020-7489(94)00043-J
  14. Black, H.(1994). Assessment: a Scottish model in Fairbrother, B., Black, P. J.: Gill, P. Assessing Pupils: Teachers assessing pupils- lesson from science classroom.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London
  15. Black, P.(1998). Testing: Friend or Foe? The Theory and Practice of Assessment and Testing: Falmer Press: London
  16. Gorden, S. & Gipps, C.(1997). Assessment: A teacher?s guide to the issues assessment for learning: Hodder & Stoughton Press: London
  17. Herman, J. L., Archbacher, P. R & Winters, L. (1992). A Practical Guide to Alternative Assessment. Association for Supervision and Curriculum Development, Alexandria, Virginia
  18. Smith, P. L.(1988). Toward. a Textonomy of Feedback: Content and Scheduling. ERIC Document Reproduction Service No. ED 295-665
  19. Millar, R & Osborne, J.(1998). Beyond 2000: Science Education for the future. King' s College, London
  20. Tamir, P.(1999). Self-assessment: the use of selfreport knowledge and opportunity to learn inventories, International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21(4), 401-412 https://doi.org/10.1080/0950069992906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