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지갈등 해소 지연이 중학생의 과학 개념변화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 of the Delayed Resolution of Cognitive Conflict on Middle School Students' Conceptual Change in Science

  • 발행 : 2004.04.30

초록

이 연구는 인지갈등전략을 사용한 중학생들의 작용과 반작용에 관한 수업에서 인지갈등 해소 지연에 따른 학생들의 개념변화의 차이를 알아보았다. 인지갈등이 일어나고 있는 동안 학습자는 의식적 무의식적으로 인지갈등을 해소하기 위해 여러 정신 과정과 육체적인 활동이 이루어지리라 생각할 수 있다. 그러나 아직까지 이에 대한 연구는 별로 이루어진 바가 없었다. 이 연구에서는 인지갈등을 유발한 후 어느 정도의 시간이 경과한 다음 인지갈등을 해소하는 것이 개념변화에 효과적인가를 알아보기 위해 연구대상을 즉시해소 집단, 2일지연해소 집단, 7일지연해소 집단으로 나누었다. 세 집단에 대해서 작용과 반작용에 관한 문항으로 사전개념검사와 해소직전개념검사, 사후개념검사, 지연개념검사를 실시하였으며, 설문조사를 통해 지연해소 집단의 학생들이 인지갈등 해소를 지연하는 기간 동안 인지갈등 해소를 위해 어떠한 활동을 하였는지 알아보았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즉시해소 집단이 지연해소 집단보다 개념변화 정도가 유의미하게 큰 것으로 나타났다. 즉, 즉시해소 집단이 2일지연해소 집단과 7일지연해소 집단보다 사전개념검사에서 오개념을 가졌던 학생들이 지연개념검사에서 과학적 개념으로 더 많이 바뀌었다. 둘째, 지연해소 집단의 학생들은 인지갈등 해소를 위해 동료와의 상호작용을 통한 방법을 가장 많이 사용하였다. 셋째, 지연해소 집단 내에서 인지갈등 해소를 위해 시간을 소모한 학생이 그렇지 않은 학생보다 개념변화가 유의미하게 큰 것으로 냐타났다. 위의 연구결과를 볼 때, 인지갈등전략을 사용한 중학생의 과학수업에서 인지갈등 해소를 지연시키는 것보다 불일치 상황을 인지하고 있는 상태에서 즉시 해소기키려고 하는 것이 개념변화에 더 효과적임을 알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the delayed resolution of cognitive conflict on middle school students' conceptual change in learning the concept of the action and reaction with cognitive conflict strategy. The subjects were divided into 3 groups according to the time in which teacher tried to resolve cognitive conflict: instant resolution group, 2-day delay resolution group, and 7-day delay resolution group. Pretest, just before test, posttest, and delayed posttest were examined to measure the degree of conceptual change. Delay resolution groups' students answered the questionnaire asking what they had done to resolve cognitive conflict during the period which had been delayed resolution of cognitive conflict.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instant resolution group showed significantly more scientific conceptual change than delay resolution groups. Secondly, most of delay resolution groups' students who tried to resolve cognitive conflict interacted with their peers. Also, delayed resolution of cognitive conflict was not helpful to resolve cognitive conflict. Thirdly, in delay resolution groups, we found the tendency that students who spent more than 30 minutes trying to resolve cognitive conflict altered their preconceptions into scientific concepts more easily than the others did.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is study, instant resolution of cognitive conflict is more effective on scientific conceptual change than delayed resolution of cognitive conflict.

키워드

참고문헌

  1. 권난주(2000). 인지갈등에 의한 중학생의 과학 개념변화에서 학습자특성의 영향. 한국교원 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 권재술(1989). 과학개념의 한 인지적 모형. 물리교육, 7,1-9
  3. 권재술(1992). 과학 개념 학습을 위한 수업 절차와 전략. 한국과학교육학회지, 12, 19-29
  4. 권재술, 이경호, 김연수(2003). 인지갈등과 개념변화의 필요조건과 충분조건.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3, 574-591
  5. 김범기, 권재술(1995). 과학개념과 인지적 갈등의 유형이 학생들의 개념변화에 미치는 영향. 한국과학교육학회지, 15, 472-486
  6. 김지나, 이영직, 권재술(2000). 갈등상황 제시 유형에 따른 학생 개개인의 물리 개념변화 경로 분석.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0, 77-87
  7. 김지나, 최혁준, 권재술(2002). 정량적 현상제시와 정성적 현상제시에 의한 학생들의 인지갈등 정도.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2, 12-21
  8. 노태희, 강석진, 임희연(2001). 성과 나이에 따른 인지 갈등 유발 및 개념 변화의 비교.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1, 634-641
  9. 이영직(1992). 뉴턴 운동법칙에 관한 학생들의 오개념 견고성. 한국교원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10. 이채은, 이경호, 김지나, 권재술(2001). 인지갈등 상황 제시유형에 따른 고등학생들의 역학 개념변화.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1, 697-709
  11. 임이숙, 이영직, 권재술(1998). 뉴턴 운동법칙에 관한 문제에서 갈등상황의 유형이 학생들의 인지적 갈등 유발에 미치는 영향. 한국과학교육학회지, 18, 473-484
  12. Hashweh, M. Z.(1986). Toward an explanation of conceptual change. European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8, 229-249 https://doi.org/10.1080/0140528860080301
  13. McDermott, L.(1984). Research on Conceptual Understanding in Mechanics. Physics Today, 37, 24-32
  14. Pines, A., & West, L.(1986). Conceptual understanding and science learning: An interpretation of research within a sources-of-knowledge framework. Science Education, 70, 583-604 https://doi.org/10.1002/sce.3730700510
  15. Pintrich, P. R., Mark, R. W., & Boyle, R. A.(1993). Beyond cold conceptual change: The role of motivational beliefs and classroom contextual factors in the process of conceptual change. Review of Educational Research, 63, 167-199 https://doi.org/10.3102/00346543063002167
  16. Posner, G., Strike, K., Hewson, P., & Gertzog, W. (1982). Accommodation of a scientific conception: Toward a theory of conceptual change. Science Education, 66, 211-227 https://doi.org/10.1002/sce.3730660207
  17. Strike, K. A., & Posner, G. J.(1992). A revisionist theory of conceptual change. In R. A. Duschl & R. J. Hamilton (Eds.), Philosophy of science, cognitive psychology, and educational theory and practice (pp. 147-176). New York: State University of New York Pres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