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n Analysis of Observations and Hypotheses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on Sedimentary Rocks and Geological Structures in Field Courses

야외 지질 학습장의 퇴적암과 지질 구조에 관한 초등학생들의 관찰 및 가설 분석

  • Published : 2004.10.30

Abstract

This study is the qualitative study in order to discover a direction of field courses by analyzing what elementary school students observe or hypothesis in field courses. The purpose of it is to find any relevancy between the observations and hypotheses generated. The result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most participants have observed mostly based on their vision due to the characteristic of field courses, and the observations of sedimentary layers were mainly generated on the rocks while most hypotheses were on geological structures. Secondly, according to observational descriptions the frequency of the comparative observation was high as well as the cases when two different types of observations were joined together. The last conclusion from this investigation is, according to the standard of observational types, the hypotheses combined with the interpretive observation and comparative observation had the greatest percentage. This shows that many participants tried to rationalize their thoughts by interpreting geological structures and comparing them with other people's cases as well. Scientific explanatory hypotheses were mainly found according to the standard of hypothetical types, which can be constructed that those participants tried to explain and apply established knowledge and preconception.

이 연구는 야외 지질 학습에 대한 관찰 및 가설을 분석하여 야외 지질 학습에 대한 방향을 찾아보고자 하는 기초 연구의 성격을 가진 질적 연구이다. 야외 지질 학습장에서의 학습 내용을 분석함으로써 관찰, 가설의 관련성을 연구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 연구를 통해 얻은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지질학습의 특성상 초등학생들은 대부분 시각에 의존하여 관찰하며, 퇴적 지층 지역의 관찰은 암석 관찰에, 가설은 지질 구조에 관한 가설을 많이 생성하였다. 둘째, 관찰 분류들로 분석 한 결과, 이 연구에서 추가한 관찰 행동 영역인 비교 관찰의 빈도가 높게 나타났으며, 2가지 관찰 행동의 조합으로 나타난 사례의 빈도도 높았다. 셋째, 관찰 유형을 기준으로 보면 해석적 관찰 및 비교 관찰과 조합된 과학적 설명 가설의 비율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이것은 암석과 지질 구조를 해석하고 다른 것과 비교하여 자신의 사고를 합리화 하려는 경향으로 볼 수 있다. 가설 유형을 기준으로 분석한 결과 과학적 설명 가설이 가장 많은 비율을 차지하였고, 사전 지식이나 선개념을 적용하여 해석하고 설명하려는 경향이 있다고 판단된다.

Keywords

References

  1. 권용주, 양일호, 정원우, 2000, 예비 과학교사들의 가설 창안 과정에 대한 탐색적 분석,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0 (1), 29-42
  2. 권용주, 정진수, 강민정, 김영신, 2003, 과학적 가설 지식의 생성 과정에 대한 바탕이론,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3 (5), 458-469
  3. 김해경, 김정길, 장병주, 1994, 초등학교의 야외 현장 학습에 관한 연구,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지, 13 (2). 195-205
  4. 박종원, 김익균, 1999, 과학적 관찰의 의미와 탐구과정에서 학생들의 관찰 행동 분석, 한국과학교육학회지, 19 (3), 487-500
  5. 박진홍, 정진우, 조규성, 이병주, 2000, 중 고등학생을 위한 야외 지질 학습장 개발 및 야외활동 지도 방안, 한국지구과학교육학회지, 21 (1), 13-21
  6. 박진홍, 2001, 야외 지질 학습장에서 고등학교 학생들의 암석과 지질구조 동정 과정 분석,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p 35
  7. 배창호, 김정길, 김해경, 2002, 초등학교 야외 지질학습현장 개발 및 할용방안, 초등과학교육, 21 (2), 214-252
  8. 변흥룡, 조규성, 2002, 야외 지질 학습장 개발과 이의 활용에 따른 학생들의 반응, 한국지구과학교육학회 추계발표회, 610-611
  9. 서동욱, 2004, 야외 지질 학습장의 암석과 지질 구조에 대한 초등학교 예비교사들의 관찰 및 가설분석,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p. 48
  10. 양우헌, 1998, 백악기 음성 분지의 퇴적학적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p.12
  11. 우영균, 김희수, 1992, 초. 중. 고등학교 지구과학 실험의 연계성 분석-지질 분야를 중심으로-, 한국지구과학교육학회지, 298-299
  12. 이종익, 조원식, 1999, 지구과학교육과 야외지질조사 교육 강화 방안에 관한 고찰, 한국지구과학회지, 20 (3), 295-307
  13. 정상원, 김정환, 최영섭, 1999, 음지분석 북부지역 내 백악기 퇴적층의 연필구조, 한국지구과학회지, 20 (5), 497-504
  14. 조규성, 변흥룡, 김정빈, 2002, 야외 지질 학습자의 개발과 활용에 따른 학생들의 과학에 대한 정의적 영역과 학업 성취에 미치는 효과, 한국지구과학교육학회지, 23 (8), 649-658
  15. 최영섭, 1996, 음성분지의 지구조운동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p 7
  16. Lawson, A.E., 1995, Science teaching and the development of thinking, Belmont, CA: Wadsworth Publishing Company
  17. Manner, B.M., 1995, Field studies benefit students and teachers, Journal of Geological Education, 43, 128-131 https://doi.org/10.5408/0022-1368-43.2.128
  18. Miles, M.B. and Huberman, A.M., 1994, Qualitative data anaysis: An expanded sourcebook, London, SAGE Publications
  19. Orion, N. and Hofstein, A., 1994, Factors that influence learning during a scientific field trip in a natural environment, Journal of Research in Scince Teaching, 31 (10), 1097-1119 https://doi.org/10.1002/tea.3660311005
  20. Orion, N., 1989, Development of a highschool geology course based on field trips, Journal of Geological Education, 37, 13-17
  21. Orion, N., 1993, A model for the development and implementation of field trips as an integral part of the science School Science & Mathematics, 93 (6), pp. 325-331 https://doi.org/10.1111/j.1949-8594.1993.tb12254.x
  22. Sorentino, A.V. and Bell, P.E., 1970, A comparison of attituded values with empirically det ermined values of secondary school freld trips. Science Education, 55, 233-23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