낙동강 하류역 강하먼지의 화학적 조성 특성

Chemical Composition Characteristics of Dustfall in Nakdong River Area

  • 전병일 (신라대학교 환경공학과) ;
  • 황용식 (인제대학교 산업의학연구소 및 부산백병원 산업의학교실)
  • Jeon, Byung-Il (Department of Environmental Engineering, Silla University) ;
  • Hwang, Yong-Sik (Institute of Industrial Medicine, Department of Occupational and Environmental Medicine, Busan Paik Hospital, Inje University)
  • 발행 : 2004.08.30

초록

본 연구는 낙동강 하류역 강하먼지의 조성 특성을 파악하기 위하여, 광구병형 Dust jar를 사용하여 2002년 6월부터 2003년 5월까지 1년간 낙동강 하류역의 5개 지점에서 시료를 채취하였다. 채취된 강하먼지에 함유된 불용성 성분(Al, Ca, Cd, Cr, Cu, Fe, K, Mg, Mn, Na, Ni, Pb, Si, V, Zn) 및 수용성 성분($Cl^-$, $NO_3^-$, $SO_4^{2-}$, $NH_4^+$, $Ca^{2+}$, $K^+$, $MG^{2+}$)들은 ICP/AES, AAS, IC 및 UV를 이용하여 정량하었다. 성분에 대한 지각농축계수를 지역별로 비교한 결과 인위적인 오염원인 Cd, Cu, Pb, Zn에서 10 이상의 높은 값을 보였다. 특히 Pb는 감전동, 원동, 신라대, 삼랑진 및 물금 지점 순으로 감소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계절별 토양입자의 기여율은 겨울철에 16.3 %로서 가장 높았으며, 1년간 평균 기여율은 11.2%이었다. 계절별[$SO_4^{2-}/NO_3^-$] 당량비는 겨울철(5.12)이 가장 높았고, 가을철(3.30)이 가장 낮게 나타났다. 지역별로는 신라대, 감전동, 물금, 원동 및 삼랑진 순으로, 특히 도심에 인접한 지점의 경우가 높게 나타났으며, 평균 당량비는 4.28이었다. 총 강하먼지에 대한 수용성 이온성분의 총 침적량의 비율은 봄철(71.6%), 여름(61.2%), 가을(49.2%) 및 겨울철(48.6%)의 순으로 나타났으며, 평균은 57.6%이었다. 해염입자의 지역별 기여율 분포는 신라대(34.5%), 감전동(28.3%), 원동(17.3%), 삼랑진(17.2%) 및 물금(13.8%)의 순으로 나타났으며, 평균 기여율은 22.1%로 나타났다.

Dustfall samples were collected by the modified American dust jar (bulk type) at 5 sampling sites in the Nakdong river area from lune 2002 to May 2003. Nineteen chemical species (Al, Ca, Cd, Cr, Cu, Fe, K, Mg, Mn, Na, Ni, Pb, Si, V, Zn, $Cl^-$, $NO_3^-$, $SO_4^{2-}$, and $NH_4^+$) were analyzed via the combination of ICP/AES, AAS, IC and UV.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qualitatively evaluate the chemical composition of dustfalls by examining their regional and seasonal distribution patterns. Computation of the enrichment factor showed that well-defined anthropogenic sources, particularly in Pb were found in the order Gamjeondong (industrial area), Wondong, Silla University, Samrangiin and Mulgum. The seasonal mean of soil contribution showed its highest value (16.3%) during the winter with an annual mean of 11.2%. The concentration ratio of [$SO_4^{2-}/NO_3^-$] was found to be highest (5.12) during the winter, while the lowest ratio value (3.30) was seen during the all. fall, Also regional equivalent ratios of [$SO_4^{2-}/NO_3^-$] were found in the order: Silla University (6.78), Gamjeondong (4.98), Mulgum (3.95), Wondong (3.85), and Samrangjin (2.87). Seasonal distribution of water soluble components for total dustfall were found in the order: spring (71.6%), summer (61.2%), fall (49.2%) and winter (48.6%) with a mean ratio of 57.6%. Regional contribution of sea salts of water soluble ions were found in the order: Silla university (34.5%), Gamjeondong (28.3%), Wondong (17.3%), Samrangiin (17.2%) and Mulgum (13.8%), the total mean contribution rate was 22.1%. As for the chemical composition of dustftll on the lower Nakdong river, there is a decreased influence of sea salt and artificial anthropogenic sources and increased influence of soil particle inland. Also, the total amount of deposition on the lower Nakdong river has decreased, with the river's surface serving as a confounding factor in resuspending dusts.

키워드

참고문헌

  1. 강병욱, 강공언, 김민영, 1992, 서울시 강하분진 중 수용성 성분의 강하량. 한국대기보전학회지, 8 (4), 240-246
  2. 김동술, 김희강, 김신도, 김태오, 1990, 수용모델을 이용한 강하분진의 농도분포에 관한 연구. 대한환경공학회지, 12 (1), 1-9
  3. 김성천, 1999, 서해 도시지역 군산의 강하분진 및 금속원소 침착량 연구. 한국대기환경학회지, 15 (3), 291-303
  4. 김성천, 2000, 군산지역의 강하분진 및 금속원소의 침착속도 추정. 한국대기환경학회지, 16 (5), 431-443
  5. 김유근, 박종길, 문덕환, 황용식, 2001, 부산지역 강하먼지와 불용성 성분의 침적량에 관한 연구. 한국환경과학회지, 10 (3), 209-216
  6. 김은경, 옥곤, 김영섭, 1996, 부산지역 대기 중 강하분진의 특성에 관한 연구. 한국환경과학회지, 5 (4), 463-471
  7. 김현섭, 허정숙, 김동술, 1998, 강하분진의 화학적 특성파악을 위한 통계적 해석. 한국대기보전학회지, 14 (6), 631-641
  8. 대기오염연구회. 2000, 환경분석을 위한 대기환경시험법. 동화기술, 514 p
  9. 신대윤, 조선희, 문옥란, 임철수, 강공언, 1996, 광주시 강하분진 중 수용성 이온성분의 강하량에 관한 연구. 한국환경위생학회지, 22 (2), 124-129
  10. 윤훈주, 김동술, 1997, GIS를 이용한 강하분진 중 금속원소의 공간분포 특성. 한국대기보전학회지, 13 (6), 463-474
  11. 이기호, 허철구, 1999, 제주지역 강하먼지의 조성에 관하여: 2. 오염원 추정. 한국대기환경학회지, 15 (2), 101-111
  12. 이기호, 허철구, 송문호, 박용이, 1999, 제주지역 강하먼지의 조성에 관하여: 15 (1), 12-22
  13. 전병일, 2003,2002년 부산지역 봄철 황사/비황사시 PM10 중의 중금속 농도 특성. 환경영향평가, 12 (2), 99-108
  14. 정충영, 최이규, 1998, SPSSWIN을 이용한 통계분석, 제3판. 무역경영사, 서울, 518 p
  15. 최재천, 김 산, 이민영, 이선기, 1995, 제주도와 울릉도의 강하분진 중 수용성 성분에 관한 연구. 한국대기보전학회지, 11 (4), 331-337
  16. 황용식, 2003, 부산지역 강하먼지의 화학적 조성과 대기환경적 특성. 부산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50 p
  17. 玉置元則, 1990, 地球規模大氣汚染に關聯되する簡易測定法. 環境技術, 19 (4), 218-231
  18. American Industrial Hygiene Association (AlHA), 1988, Quality assurance manual for industrial hygiene chemistry. 11-50
  19. Garcia-Rodeja, E., Femandez-Sanjurjo, M.J., and Fernan-dez-Vega, v., 1998, Input-output ion fluxes in the river Sor catchment (Galicia, NW Spain). Chemosphere, 36 (4-5),1107-1112 https://doi.org/10.1016/S0045-6535(97)10180-1
  20. IPCC, 1995, 'Climate Change', The IPCC Scientific Assessment. WMOIUNEP, 572pp
  21. Kaiser, H.F, 1958, The varimax criterion for analytic rota-tion in factor analysis. Psychometrika 23, 187-200 https://doi.org/10.1007/BF02289233
  22. Kaya, G. and TunceI, G., 1997, Trace element and major ion composition of wet and dry deposition in Ankara, Turkey. Atmospheric Environment. 31 (23), 3985-3998 https://doi.org/10.1016/S1352-2310(97)00221-5
  23. Lodge, J.P., 1989, Methods of Air Sampling and Analysis. 3rd ed., Lewis Publishers, New York, 440-445
  24. Mason, B., 1966, Principle of Geochemistry. 3rd ed., Wiley, New York, 21-24
  25. Probst, A., Probst, J.L., Massabuau, J.e., and Fritz, B., 1995b, Surface water acidification in the Vosges Moun-tains: Relation to bedrock and vegetation cover. In: Landmann, G. and Bonneau, M., (eds.), Forest decline and air pollution effects in the Frecch mountains, New York, NY: Springer Verlag
  26. Sinha, S. and Banerjee, S.P., 1997, Characterization of haul road dust in indian opencast iron ore mine. Atmo-spheric Environment, 31 (7), 2809-2814 https://doi.org/10.1016/S1352-2310(97)00095-2
  27. Wu, Z.Y., Han, M., Lin, Z.C, and Ondov, J.M., 1994, CBAD Study, Year 1: Sources and Dry deposition of selected elements in Aerosol particles. Atmospheric Environment, 28 (8), 1471-1486 https://doi.org/10.1016/1352-2310(94)90208-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