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tudy on Quantitative Models for Evaluating Interactivity in Cyber Learning

사이버 교수-학습과정에서 상호작용성 평가방법에 관한 탐색적 연구

  • 김미량 (성균관대학교 컴퓨터교육과) ;
  • 장정무 (성균관대학교 경영학부) ;
  • 한광현 (성균관대학교 경영학부)
  • Received : 2003.12.12
  • Accepted : 2004.01.15
  • Published : 2004.01.30

Abstract

Since computer integrated technology was introduced to the field of education, it has offered an expanding range of interactive possibilities which are remarkably powerful and helpful for the learners, especially constructing the cyber learning environments. Interactivity, the critical element in cyber learning, is categorized into three dimensions: student-to-contents, student-to-student and student-to-instructors. Six surrogate variables are introduced, and two quantitative model are developed for evaluating the degree of interactivity. The first model, which is called Data Envelopment Analysis model, is a linear programming based technique for measuring the relative performance of organizational units where the presence of multiple inputs and outputs makes comparison difficult. DEA model allows each unit to adopt a set of weight that shows it in the most favorable light in comparison to the other unit. The Second model employes the weighted average of standardized input variables for evaluation. Actual data have been collected from the Cyber IT university and these two models are applied for comparison. The analysis shows that the results from these two models are very much similar to each other, and are highly correlated to the level of class satisfaction.

사이버 교수-학습환경이 활성화되면서 그 교육 과정의 핵심 요소로 상호작용의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다. 그럼에도 사이버 학습에서의 상호작용성의 중요성을 강조한 연구는 쉽게 찾아볼 수 있으나 상호작용성의 특성상, 그 과정 자체를 확인하고 평가하는 방법에 대해서는 별다른 진전이 없었고 또 이를 계량적으로 평가하는데 어려움이 있었다. 이에, 본 연구는 이러한 추상적인 상호작용의 과정을 평가하고자 사이버 체제의 교수-학습과정에서 나타나는 상호작용 과정을 확인할 수 있는 정량적 데이터를 수집하였다. 이 데이터를 기초로 DEA기법과 가중치 적용기법의 두 가지 방법을 이용하여 상호작용서의 수준을 계량적으로 평가해 보았다. 이 두 가지 정량적 평가모형을 월별로 적용한 결과간의 상관계수와 서열상관계수를 살펴본 결과, 이 두 모형의 결과에는 큰 차이가 없음을 확인 할 수 있었다. 추상적인 상호작용의 과정을 정량적 접근을 통해 평가해 봄으로써 학습과정에서 발생하는 상호작용성의 정도를 검증할 수 있는 방법론을 제안하였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