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usehold Characteristics and Changes in Income Class: 1998~2001

가구특성에 따른 소득계층 변화

  • 김진욱 (건국대학교 상경대학 경상학부 경제학전공) ;
  • 정의철 (건국대학교 정치대학 부동산학과)
  • Received : 2004.06.12
  • Accepted : 2004.08.09
  • Published : 2004.08.31

Abstract

Based on household characteristics, this study analyzes the sources of changes in income class. Using KLI panel data in 1998 and 2001, household equivalent income is calculated and households whose income class is changed are identified. Various household characteristics are examined to understand which characteristics are influential in income class changes. Empirical estimations are carried out by employing an ordered probit model. Region of residence, age of household head, education level of the head, the number of employed family members in 1998, and a change in the number of employed family members are shown to be statistically significant. Calculation of marginal probability based on the ordered probit estimation results show that the probability of upward movement in income class decreases as a household lives in rural areas, while the probability of upward movement increases as the household's head is better educated, the number of employed family members are higher and there is a higher increase in the number of employed family members. Age of the head has mixed results; while the probability of upward movement in income class decreases as the head gets older for the households in middle and high income classes, that probability increases as the head is in the range of the 40s and the 50s in low income class households.

본 연구에서는 한국노동패널의 1998년과 2001년 자료를 이용하여 가구별 균등화된 소득에 따른 소득계층을 구분하고 가구특성이 소득계층의 변화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소득계층은 저소득층, 중산층, 고소득층으로 구분하였으며 소득계층의 변화는 4년 동안 계층 하락, 계층 유지, 계층 상승 등 3가지 변화와, 가장 하락, 하락, 유지, 상승, 가장 상승 등 5가지 변화로 구분하여 순위 프로빗모형을 이용하여 실증 분석하였다. 또한 1998년 저소득층의 가구특성이 계층 상승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기 위해 1998년 저소득층과 설명변수의 상호작용을 고려하였다. 순위 프로빗모형의 추정 결과 1998년 거주지, 가구주 연령, 가구주 교육수준, 가구내 취업자수와 1998년과 2001년 사이의 가구내 취업자수의 변화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나타났다. 설명변수별 한계효과를 추정한 결과 1998년의 가구주 교육수준이 높을수록, 1998년의 가구내 취업자수가 많고 2001년까지 취업자수가 증가할수록 소득계층이 상승할 확률이 더 높아진다는 결과를 얻었다. 가구주 연령에 있어서는 중산층 및 고소득층의 경우 연령이 증가할수록 소득계층 상승 확률은 감소하나 저소득층의 경우 40대와 50대는 소득계층 상승 확률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