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mmunity Survey in Korean Public Libraries: Current States of Performance, Problems and Recommendations

공공도서관의 지역사회조사 수행 현황과 문제점 및 활성화 방안

  • 장혜란 (상명대학교 사회과학부 문헌정보학과) ;
  • 이미영 (성북정보도서관)
  • Received : 2004.11.26
  • Accepted : 2004.12.20
  • Published : 2004.12.01

Abstract

To examine the current states of community survey performance with its contents and methods, a questionnaire survey was made for 92 public libraries in Seoul, Gyeonggi, and Incheon area. 47 libraries(70%) have conducted community survey during last 5 years. The frequency has increased since 2001. Considering the content item as separate entity, the average is 1.7 times per library. The main purpose of the survey was to understand the resident's need and a questionnaire survey method was applied dominantly. Problems involved with the lack of budget, time, and the librarian's ability are identified as obstacles. Based on the analysis, recommendations such as acknowledgement, administrations and financial support, establishment of standards, education and train information are suggested to promote the community survey.

우리나라 공공도서관의 지역사회조사 수행 정도와 내용, 방법 등의 현황을 조사하기 위하여 서울 및 수도권 공립 공공도서관 92개관을 대상으로 지역사회조사 관련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지난 5년 동안 지역사회조사를 수행하였던 도서관은 응답 도서관 전체의 약 70%인 47개관으로 나타났으며, 도서관 당 평균 1.7회 조사하였고, 수행 빈도는 2001년 이후 크게 증가하였다. 그러나 조사내용은 요구조사에 편중되어 있고 방법도 다양하지 못하다. 예산, 시간, 능력 부족 등 수행상의 문제점이 식별되었으며, 활성화 방안으로 공공도서관계 전반의 인식 전환, 행정적, 재정적 지원, 기준 수립, 교육과 훈련, 정보 공유 등을 제안하였다.

Keywords

References

  1. 공공도서관부회. 1970. 한국지역사회 및 공공도서관 실태조사. 서울: 공공도서관 부회.
  2. 김연경. 1990. 지역사회개발을 위한 공공도서관의 역할에 관한 연구. 석사학위논문. 중앙대학교 대학원, 문헌정보학과.
  3. 김환준. 2000. 공공도서관 지역 계획의 필요성과 방법. 시민과도서관, 2(1): 6-18.
  4. 김효숙. 2000. 공공도서관 지역계획에 관한 선행연구조사. 시민과도서관, 2(1): 19-39.
  5. 노경란. 1994. 서울지역 공공도서관의 지역사회정보봉사에 관한 연구. 석사학위논문. 연세대학교 대학원, 문헌정보학과.
  6. 문화관광부. 2003. 도서관및독서진흥법. [Cited 2004. 11. 10].
  7. 문화관광부. 2003. 도서관발전 종합계획 세부계획 수립지침 [Cited 2004. 11. 10].
  8. 서울시립도서관위원회 봉사분과위원회. 1991. 지역사회 문화발전을 위한 공공도서관 봉사활동 확대방안 연구. 도서관연구, 8: 80-96.
  9. 유상덕. 1979. 도서관과 지역사회. 도서관, 34(8): 35-40.
  10. 윤영. 1971. 지역사회에 있어서 공공도서관의 봉사. 도협월보, 12(9): 13-15.
  11. 이경희. 1990. 공공도서관에서의 마아케팅기법 적용에 대한 고찰. 도서관연구, 7: 36-57.
  12. 장인협, 이혜경, 오정수. 2001. 사회복지학. 서울: 서울대학교출판부.
  13. 표갑수. 2003. 지역사회복지론 . 서울: 나남출판.
  14. 한국도서관협회. 2003. 한국도서관기준. 서울: 한국도서관협회.
  15. 한국도서관협회 편. 2003. 도서관정보관리편람. 서울: 한국도서관협회.
  16. 한국도서관협회 편. 2002. 한국도서관통계. 서울: 한국도서관협회.
  17. 행정학용어표준화연구회편. 2001. 행정학용어사전. 서울: 새정보미디어.
  18. Bone, Larry Earl. 1976. Introduction. Library Trends, 24(3): 429-432.
  19. Evans, Charles. 1976. A History of Community Analysis in American Lib rarianship. Library Trends, 24(3): 441-457.
  20. Gill, Philip. 2002. 공공도서관 서비스 개발을 위한 IFLA/UNESCO 가이드라인. 장혜란 역. 서울: 한국도서관협회.
  21. Greer, Roger C. and Martha L. Hale. 1982. Public Librarianship, a Reader. Littleton, Colo.: Libraries Unlimited.
  22. Guerena, Salvador. 1990. Latino Librarianship: A Handbook for Professionals. Jefferson, NC: McFarland.
  23. Harmer, David and Amy Owen. 2002. Standards for Utah Public Libraries. [cited 2004. 11. 10]
  24. Sarling, Jo Haight & Debra S. Van Tassel. 1999. Community Analysis: Research That Matters to a North-central Denver Community. Library & Information Science Research, 21(1): 7-29. https://doi.org/10.1016/S0740-8188(99)80003-6
  25. Wisconsin Department of Public Instruction. 2000. Wisconsin Public Library Standards. [cited 2004. 11.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