거주자 생활사례분석을 통해 본 도시한옥의 생태성에 관한 연구

Ecological Design Characteristics of Urban Traditional Housing Through Residents' Living Experiences

  • 발행 : 2004.09.10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systematize space composition characteristics of urban traditional housing in Bukchon area. Out of 924 existing houses, 106 houses were selected and analyzed based on availability of documents and its function as pure residential living. According to which major rooms were changed, six categorizes were delineated as follows : unchanged type, type with changed Anbang, type with changed Gunnunbang, type with changed Aratbang, type with changed Daichung and totally changed type. Characteristics of each type were systematically analyzed and described. The results showed how traditional culture and contemporary lifestyle coexisted and were integrated.

키워드

참고문헌

  1. 박영순외 8인. 1998. 우리 옛집 이야기 한국 전통주택의 실내 공간. 서울: 열화당
  2. 서울특별시(2001). 북촌가꾸기 기본계획. 서울:서울특별시
  3. 서울시정개발연구원(2000). 북촌 가꾸기 사례연구-마을단위도/시계획 실현 기본방안(2). 서울: 시정개발연구
  4. 송인호(1990). 도시형 한옥의 유형연구: 1930-1960년의 서울을 중심으로. 박사학위 논문, 서울대학교 대학원, 건축학과
  5. 양지민(2002). 도시형 한옥의 개보수 양상과 그 적정모델 설정에 관한 연구. 석사학위 논문, 중앙대학교 대학원, 실내건축학과
  6. 이연숙. 2003. 친환경공간디자인. 서울:연세대학교출판부
  7. 이승복. 2002. 한국 전통민가의 환경조절기법. 한국설비기술협회지 v19 n 2
  8. 이연숙(2000). 실내환경심리행태론. 서울:연세대학교출판부
  9. 최성호. 2004. 한옥으로 다시 읽는 집 이야기. 서울:전우문화사
  10. 네이버.[온라인].[인용일자:2004.4.11].
  11. 한옥문화원.[온라인].[인용일자:2004.4.07].
  12. Franck Karen A. & R. Bianca Lepori(2000). Architecture Inside Out. London:Wiley-Academ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