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부 농촌지역 노인들의 낙상발생과 관련된 요인

Falls among Community Dwelling Elderly People: Prevalence and Associated Factors

  • 조영채 (충남대학교 의과대학 예방의학교실) ;
  • 윤현숙 (충남대학교 대학원 보건학과)
  • Cho, Young-Chae (Department of Preventive Medicine and Public Health. College of Medicine, Chungnam National University) ;
  • Yoon, Hyun-Suk (Department of Public Health, Graduate School of Chungnam National University)
  • 발행 : 2004.12.30

초록

본 연구는 지역에 대한 고령자의 낙상 발생 상태를 알아보고 이에 관련된 요인을 조사하여 향후 노인의 낙상 예방프로그램에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충청남도 일부 농촌지역의 65세 이상 노인들을 대상으로 낙상에 관한 조사를 시행하였다. 조사대상자는 460명이었으며, 대상자 전원에게 낙상 경험 유무 및 그의 관련요인에 때해 면접조사를 실시하였다. 분석결과를 다음과 같이 요약하였다. 1. 전체 대상자의 악상 경험률은 35.0%이었으며, 성별로는 여자가 42.1%, 남자가 25.1%로 여자가 남자보다 높은 비율이었고 통계적으로도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000). 연령별로는 65 69세 군이 30.5%, 70 74세 군이 29.1%, 75세 이상 군이 40.4%를 차지하였으며 통계적으로도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008). 2. 조사대상자의 건강상태에 따른 낙상 경험률에서는 시력과 청력에 이상이 있는 군이 정상군보다 유의하게 높은 비율을 보였으며, 자각증상 유무별로는 "자각증상이 있다"는 경우가 37.9%로 "자각증상이 없다" 18.8% 보다 유의하게 높은비율을 보였다(p=0.004). 자각증상의 내용별로는 "전신권태", "불면", "두통", "요통", "무릎 통증" 및 "몸의 불균형"항목에서 증상이 있는 경우가 없는 경우보다 유의하게 높은 비율이었다. 3. 낙상 경험자들의 낙상발생은 전체 낙상자의 53.4%가 실외에서, 46.6%가 실내에서 발생하여 실내보다 실외에서 더 많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실내에서는 "거실"과 "계단"에서, 실외에서는 "마당"과 "도로"에서 낙상이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4. 낙상경험의 시기는 "겨울"이 39.1%로 가장 높은 비율이었으며, 다음은 "봄" 24.8%, "가을" 19.9%, "여름" 16.1%의 순위였으며, 낙상경험의 시간대는 "저녁"이 37.9%로 가장 높았으며, 다음은 "오후" 32.3%, "오전" 23.0%, "심야" 6.8%의 순위로 나타났다. 5. 낙상의 원인에 대해서는 "바닥이 미끄러웠다"가 30.5%로 가장 많았고, 다음은 "발이 걸려서 넘어졌다"가 23.5%로 환경적 요인에 의한 낙상의 비율이 높았다. 반면에 신체적인 문제로 보이는 원인으로는 "초조하였다"와 "다른 생각을 하였다"가 각각 11.3%, 10.8%의 비율을 보였다. 낙상 당시의 동작상태로는 "보행중"이 64.0%로 가장 많았고, 다음은 "계단을 오르내리던 중"과 "앉았다 일어나려고 함"이 각각 14.3%로 높은 비율을 차지하였다. 6. 낙상경험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로는 성별, 연령, 비만도 및 자각증상 유무 등이었으며 자각증상을 경험할 교차비는 남자에 비해 여자에서 2.19배, 60대보다 70대 이상에서 2.01배, BMI가 정상인 군보다 비정상인 군에서 3.68배, 자각증상이 없는 경우보다 있는 경우에 1.94배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과 같은 결과를 볼 때 농촌지역 노인들의 낙상 경험률은 구미 선진국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낙상예방을 위해서는 우선 건강상태의 유지와 일상생활능력이 저하되지 않게 하는 것이 중요하다. 또한 많은 낙상이 외부환경요인에 의해 발생하므로 안전한 생활환경을 위한 주변환경의 정비가 필요하다고 본다.

Objectives: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actual condition of falls among community-dwelling elderly people and its related factors to prepare for the establishment of comprehensive prevention programs of senior population. Methods: The study subjects included 460 home residents over 65 years in a district of Chungnam Province and interviews were given to all of them, asking about experiences of falls and their related factors. The analysis of study results came to the following conclusions. Results: The rate of falls among total subjects was 35.5%. With the percentage by age and sex, over 70's and female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male(p=0.000) and under 69 (p=0.008). The groups with poor visual acuity and hearing ability had higher rate of falls than the normal groups based on their health status. In terms of place they experienced falls, out-door occurrence accounted for 53.4% of total falls, which was higher 46.6% of in-door. By season when falls are experienced, "winter" showed the greatest rate, and by time of the day, evening had the highest rate. By causes of falls, "Slippery ground"accounted for 30.5% and "Tumbled over" 23.5% of total falls, respectively, showing the major role of environmental causes for falls. For individual factors, "Irritability" and "Carelessness" occupied 11.3%, 10.8% of total falls, respectively. The Odds Ratios for falls in women was 2.19 times higher than in men, and those in 70's are 2.01 times higher than in 60's, and those with abnormal BMI was 3.68 times higher than in normal groups, and those with perceived symptoms was 1.94 times higher than those without. Conclusions: It is suggested that more consideration should be directed toward taking comprehensive and systematic prevention measures ranging from setting-up the injury-protective environments to allowing senior citizens to have competence in ADL activity as well as proper general health conditions, considering the higher rate of falls for elderly persons in a rural part of this country than that of western countries and the greater proportion of falls which can be ascribed to environmental factors.

키워드

과제정보

연구 과제 주관 기관 : 충남대학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