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xposure Assessment of Korean Farmers While Applying Chlorpyrifos, and Chlorothalonil on Pear and Red Pepper

노지고추 및 배 재배 농업인의 방제작업 중 Chlorpyrifos, Chlorothalonil 노출에 관한 연구

  • 강태선 (농촌진흥청 농촌자원개발연구소) ;
  • 김길중 (용진농민한의원) ;
  • 최인자 (노동환경건강연구소) ;
  • 권영준 (한림대학교 의과대학) ;
  • 김경란 (농촌진흥청 농촌자원개발연구소) ;
  • 이경숙 (농촌진흥청 농촌자원개발연구소)
  • Published : 2004.12.30

Abstract

Objectives: The objectives of the present study were to establish the exposure monitoring method of chlorpyrifos and chlorothalonil application to pear and field red pepper by vehicle-mounted sprayer, hand-held sprayer and to assess the risk. Methods and Results: Chlorpyrifos met all of requirements of sampling and analysis method(U.S. EPA), but chlorothalonil met only dermal patch method. Potential dermal and inhalation exposure was evaluated in 42 farmers. Compared with the hand-held sprayer application, vehicle mounted sprayer demonstrated producing relatively lower dermal exposure levels with statistical significance. In dermal exposure during hand-held application, there i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pear and red pepper. Conclusions: This results show that application method is the main factor of dermal exposure.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each group of respiratory exposure level. The margin of safety (MOS) was calculated to assess the risk of pesticide exposure. All Chlorpyrifos MOS values are lower than 0.2, which mean working conditions are unsafe. In order to protect farmers, big efforts to control exposure are needed.

본 연구에서 시험한 두 가지 농약에 대한 피부노출 측정 및 분석방법을 시험하였고 두 가지 농약에 대한 측정 및 분석방법으로써 모두 적정함을 확인하였다. 두 가지 농약에 대하여 호흡노출의 측정 및 분석법에 관한 타당도를 시험한 결과 본 연구방법으로 chlorpyrifos는 만족하였고 chlorothalonil의 경우 피부노출 측정 및 분석법만 타당하였다. 이와 같이 확정한 노출 측정방법으로 배 방제작업과 노지고추 방제작업시 농약노출량을 측정하였고 여러 가지 요인별로 비교하였나 두 가지 농약에 대하여 각 작목, 살포시기, 노출평가(피부,호흡기)와 작업용 변수로하여 노출평가를 실시하였다. 피부노출량은 과수 동력분무기, 노지고추 동력분무기 > 과수 SS기 > 동력분무기 보조의 순서로 나타났다. 과수 동력분무기와 노지고추 동력분무기 살포간 노출량의 차이는 유의하지 않았다. 과수나 노지고추의 방제만을 볼 때 다른 요인보다는 살포기기가 피부노출에 영향을 주는 주된 요인인 것으로 파악된다. 피부노출에서 작목은 주로 노출부위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평가되었다. 보조작업의 경우 손노출이 66%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호흡기노출량은 각각의 노출이 서로 다르다고 할 수 없었다. 위험도 평가결과 chlorpyrifos 살포작업은 위험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노출농도를 약 1/5 이하로 감소시킬 필요가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