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TTACHMENT-BASED INTERVENTION

애착장애의 치료

  • Noh, Kyung-Sun (Department of Psychiatry, College of Medicine, Kangbuk Samsung Hospital, Sungkyunkwan University) ;
  • Lee, So-Hee (Department of Psychiatry, National Medical Center)
  • 노경선 (성균관대학교 의과대학 강북삼성병원 정신과학교실) ;
  • 이소희 (국립의료원 정신과)
  • Published : 2004.12.31

Abstract

We reviewed four types of Attachment intervention, 1) programs that seek to enhance sensitivity, 2) programs designed to alter parents' representations, 3) programs that provide and enhance social support, and 4) programs designed to enhance maternal mental health and well-being, and Project STEEP(Steps Toward Effective and Enjoyable Parenting). We have learned from the these studies that the emotional sensitivity and responsivity are very important factors for the development and treatment of Attachment relationships and the needs of the parents should also be addressed. Our recommendation for future attachment intervention is to design programs 1) that have the flexibility to meet participants' needs, 2) that involve other important people in the participants' lives, 3) that focus on fostering individual strengths, 4) that begin early, and 5) that are intensive and sufficiently long.

주 양육자와 어린자녀사이에 발생한 여러 애착의 문제들을 애착이론에 근거하여 치료한 네가지의 방법을 검토하였다. 첫째, 부모의 민감도를 증진시키는 방안. 둘째, 부모의 내적표상 및 작동모델(Parent's Representation과 Internal Working Model)을 변화시키는 방법. 셋째, 사회적인 지지를 증진시키는 방법. 넷째, 어머니의 정신건강과 Well-being을 도와주는 방법과 Project STEEP(Steps Toward Effective and Enjoyable Parenting)를 기술하였다. 이러한 리뷰를 통하여 주 양육자의 정서적 반응에 민감성과 반응성이 애착의 발달과 치료의 중요한 요인임을 알게 되었다. 향후 애착문제의 치료시 하기 사항을 특별히 고려하여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첫째, 참가자의 요구를 충분히 고려할 수 있는 유연성. 둘째, 참가자 주위의 중요한 사람들을 참여 시킬 것. 셋째, 각 개인의 장점을 충분히 살릴 것. 넷째, 가능한 어렸을때 빨리 치료할 것. 다섯째, 장시간에 걸쳐 집중적으로 철저히 치료할 것.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