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VELOPMENT OF KOREAN ADOLESCENT FORM OF SUICIDAL IDEATION QUESTIONNAIRE

한국형 청소년 자살사고 설문 개발

  • Suh, Dong-Soo (Department of psychiatry, Seoul Metropolitan Children's Hospital) ;
  • Yang, Suk-Hoon (Department of Neuropsychiatry, College of Medicine, Chung-Ang University) ;
  • Lee, Kil-Hong (Department of Neuropsychiatry, College of Medicine, Chung-Ang University) ;
  • Lee, Young-Sik (Department of Neuropsychiatry, College of Medicine, Chung-Ang University)
  • 서동수 (서울특별시립아동병원) ;
  • 양석훈 (중앙대학교 의과대학 신경정신과학교실) ;
  • 이길홍 (중앙대학교 의과대학 신경정신과학교실) ;
  • 이영식 (중앙대학교 의과대학 신경정신과학교실)
  • Published : 2004.12.31

Abstract

Objectives : This study was done to develop Korean form of Reynolds' SIQ-JR(Suicidal Ideational Questionnaire-Junior). Through this study we evaluated reliability and validity of Korean form SIQ-JR. Methods : Subjects were 1,160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and 114 adolescent psychiatric patients. SIQ-JR and 8 self-reporting scales highly related with suicidal ideation and suicide behaviors were applied to them. Results : In reliability aspect of Korean form of SIQ-JR, internal consistency, test-retest reliability and item-total correlation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results. In factor analysis, concerning about other person was extracted as a indepenedent factor. This results reflect our cultural characteristics. There were statistical differences of SIQ-JR scores in groups by sex and age. Clinical group showed significantly(P<0.01) higher scores than general population. Among the 8 suicidal relating scales, depression(r=0.42), aggression(r=0.36), trait anxiety(r=0.35), and anger-in(r=0.31) were highly related with suicidal ideation but impulsivity and hopelessness were not significantly related with suicidal ideation. Conclusion : Korean form of SIQ-JR was useful instrument in reliability and validity. We hope that this instrument widely used in school mental health, community psychiatry and clinical setting for screening tool.

연구목적:자살사고에 관한 1차 선별검사 도구를 개발하고자 현재 세계적으로 널리 사용되고 있는 Reynolds의 자가보고형 청소년 자살사고 설문(SIQ-JR)을 번안하여 우리나라 청소년에 적용하여 한국판 SIQ-JR 척도에 대한 신뢰도 및 타당도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방 법:서울시내 남녀 중고등학생 총 1,160명과, 정신과에 내원한 청소년 임상환자 114명을 연구대상으로 하였다. 연구도구로는 SIQ-JR 이외에, 자살관련 8가지 국내 표준화된 척도(분노, 우울, 불안, 절망감, 공격성, 충동성, 내외통제, 자아평가)를 시행하였다. 결 과:전체 SIQ-JR 총점 평균은 여자가 남자 보다 높았고, 고등학생이 중학생 보다 높았지만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지 않았다. 임상군의 경우 일반 학생군과 높은 변별력(p<0.01)을 보였다. SIQ-JR의 내적일관성을 나타내주는 신뢰도계수는 0.92-0.94, 검사-재검사 상관계수는 0.68-0.78, 항목-전체 상관계수는 0.59-0.82로 모두 높은신뢰도를 보였다. 요인분석 결과 타인에 대한 고려가 독립된 요인으로 추출되었는데 이는 서구의 개인주의와 다른 우리나라의 문화적 배경을 반영한다고 여겨졌다. 공존 타당도 분석결과 자살사고와 자아평가척도와 분노조절척도 점수와는 역상관관계였으며 나머지 6개 척도와는 정상관관계였다. 전체대상의 자살사고 점수와 가장 연관이 높은 척도는 우울척도(r=0.42), 공격성 척도(r=0.36), 특성불안척도(r=0.35), 분노척도의 하위척도인 내재화된 분노(r=0.31) 순이었다. 남자와 고등학생의 경우 공격성(r=0.37)이 가장 자살사고와 관련이 높은 척도였다. 그러나 절망감척도와 충동성척도는 자살사고와 낮은 상관관계를 보였다. 결 론:이상을 살펴볼 때 한국판 자살사고 척도는 만족할만한 신뢰도와 타당도를 얻었다고 여겨지는바 학교, 지역사회, 임상현장에서 1차적 자살사고 선별검사 도구로서의 활용이 기대된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