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Study on the period of the Mireuk Temple stone pagoda plane type

미륵사지석탑(彌勒寺址石塔) 평면형식(平面形式) 시대위치(時代位置)

  • 김덕문 (국립문화재연구소 건조물연구실)
  • Published : 2004.12.20

Abstract

The Mireuk Temple Stone pagoda is the largest scale of the existing Stone Pagoda in Korea. A research until now postulates that the Stone pagoda at Mireuk Temple site is composed of nine stories total. However it does not have any records of the detail, dimension, and related methods, etc, even though it is a tectonically large scale building. Only one source of the description is based upon a story which is a sort of Korean myth or traditional story (Samkukyousa, Mu dynasty), although a historical description from a myth or a story is a polemical issue and still needed research in order to prove the truth. One of the ways to make a proof of the truth is an architectural research from the typology of the plane. The types of the plane are differentiated from each era. Therefore, the typology of the plane presents a reason or a proof for the age of the pagoda. Furthermore, the typology of the plane is crucial part in the research of the historical style and it could help the historical style of the Mireuk temple stone pagoda. Research until now shows that the Mireuk temple stone pagoda is the genesis of the stone pagoda shaped after wooden one. It is impossible to find any previous one from the stone pagoda at Mireuk Temple site in Korea. So it is easier to find any previous example from the history of China because Buddhist pagoda-most pagodas are something to do with Buddhism-in Korea is introduced by India via China. This research presents the periodical variation of stone and brick pagoda in both countries. It concludes that the Mireuk temple stone pagoda has $7^{th}$ century's plane type.

미륵사지 서탑은 현존하는 국내 최대 규모의 석탑이다. 현재까지 연구 진행된 결과에 따르면 미륵사지 서탑은 9층 석탑으로 추정되고 있다. 대규모의 건축물임에도 불구하고 이 탑에 대한 직접적인 창건 기록이 아직 발견되지 않은 상태다. 다만 미륵사의 창건기사가 "삼국유사(三國遺事), 무왕조(武王條)"에 연기설화로 나타나 있을 뿐이다. 설화적인 역사의 기록은 사실성에 대한 규명에 있어 다양한 분야에서의 연구가 필요하다. 건축사적 측면에서 평면형식의 시대 위치에 대한 고찰은 탑의 창건 연대 규명에 하나의 가시적 근거를 제공할 수 있다. 나아가서 미륵사지 서탑의 양식과 계통사 연구에 근간이 된다고 판단하여 수행코자 한다. 목조번안 석탑으로도 유명한 미륵사지 서탑은 우리나라 석탑의 시원적인 성격을 지니고 있다고 그동안의 연구에서 밝혀져 있다. 우리나라 불탑은 인도에서 발생되어 중국을 거쳐 도입되었다. 국내에서는 미륵사지 서탑보다 앞선 시기의 유례를 볼 수 없는 상태이므로 중국의 실 예를 참고하여 접근해 보고자 했다. 본 고에서는 한국(韓國)과 중국(中國)의 전석탑(塼石塔) 평면의 시대별 변천과정을 고찰하여 미륵사지 서탑의 평면형식이 7세기 초에 위치함을 결론으로 도출하였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