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The Study on 'characters made by Empress Wu Zetian' through The Avatamsaka-Sutra in ink on the white paper of the Shilla Period

신라(新羅) 백지묵서(白紙墨書) 화엄경(華嚴經)과 칙천무후자(則天武后字) 고찰(考察)

  • 박상국 (국립문화재연구소 예능민속연구실)
  • Published : 2004.12.20

Abstract

The Avatamsaka Sutra copied in ink on the white paper of Shilla Period is the oldest manuscript in korea. This Avatamsaka Sutra is volume 1-10 and 44-50 of the 80 volume's transcription. According to the postscript, written with 528 letters at the end of the volume 10 and 50, this sutra is made during A.D. 754-755, for six months by the order Master Yon-gi(綠起 法師) who founded Hwaumsa Temple(華嚴寺.) It explains the procedure of the ritual and production method of the sutra-copying, and also shows the 19 participants with their name, address, official title, and etc. When the sutra was founded, volume 1-10 were so congealed that we could not open the volumes. And volume 44-50 was prohibited to take photograph for preservation. According to the recent examination, it proved that this sutra is the treasure for the study of the characters made by Empress Wu Zetian(則天武后.) The characters made by Empress Wu Zetian(A.D. 625-705) are new shape of chinese characters which is different from the traditional characters. After the demise of the Queen, the characters were not used any more officially, but privately some people used the characters for personal tastes and interest. The characters in the sutra includes 512 characters of 13 kinds of Empress We Zetians'. Compared to the Tun-huang version of the sutra, this is far better treasure for the study of Empress We Zetians' characters in terms of the number of the character and the their use of frequency. The Avatamsaka Sutra of Shoso-in(正倉院) in japan copied in A.D. 768 does not use the Empress We Zetians' characters. In this respect, this Shilla Avatamsaka-Sutra is a unique one preserves the original forms of Chinese translation at that time.

신라(新羅) 백지묵서(白紙墨書) 대방광불화엄경(大方廣佛華嚴經)은 국보 196호로 지정된 한국에서 가장 오랜 사경(寫經)이다. 이 사경(寫經)은 당의 실차난타(實叉難陀)가 699년에 한역(漢譯)한 주본(周本) "화엄경(華嚴經)" 80권(卷) 가운데 권 제1~10과 권 제 44~50이다. 권10과 권50의 말미에 발문(跋文)(528자(字))이 있는데, 이 발문에 의하면 화엄사 창건자인 황룡사의 연기(緣起)법사가 발원하여 754년에서 755년에 걸쳐 약 6개월이 걸려 완성된 사경임을 알 수 있다. 이 발문은 사경제작에 따른 의식절차(儀式節次)와 제작방법(製作方法)이 기록되어 있고, 사경 제작에 참여한 필사자(筆寫者)와 부처님과 보살(菩薩)을 그린 화사(畵師) 등 사경(寫經)에 관계한 19명에 대한 거주지(居住地), 인명(人名), 관명(官名) 등(等)의 순서로 기록되어 있는 우리나라 최고의 고문서이기도 하다. 이 사경은 발견되었을 당시 권1-10은 응고되어 펼쳐볼 수가 없는 상태였고 권44~50도 보존을 염려하여 사진 촬영이 금지되었다. 최근에 내용에 대한 실태조사가 이루어져 이 사경이 칙천무후자(則天武后字) 연구의 보고임을 알 수 있게 되었다. 칙천무후자(則天武后字)는 당(唐) 고종(高宗)의 황후(皇后)로 고종(高宗)의 사후(死後) 스스로 황제가 된 칙천무후(則天武后)(684~704재위(在位)) 가 만든 일종의 이체자(異體字)이다. 칙천무후자(則天武后字)는 무후(武后)의 치세(治世)에만 쓰이고 그의 사후에 폐지되었지만, 그 후에도 취미와 호기심에 따라 사용하기도 하였던 글자이다. 이 신라 사경에 나타난 칙천무후자(則天武后字)는 초(初), 년(年), 월(月), 일(日), 성(星), 정(正), 천(天), 지(地), 수(授), 증(證), 성(聖), 국(國), 인(人)의 자(字) 등 13종 512자로, 칙천무후(則天武后) 재위 당시에 제작된 돈황(敦煌) 사경(寫經)과 비교해 볼 때 사용된 칙천무후자(則天武后字)의 숫자나 사용 빈도에서 돈황(敦煌) 사경(寫經)보다 뛰어난 칙천무후자(則天武后字)의 보고(寶庫)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리고 그동안 현존 최고(最古)의 화엄경 사경(寫經)으로 알려진 일본(日本) 정창원(正倉院)의 화엄경(華嚴經) 사경(寫經)(768)에는 칙천무후자(則天武后字)가 나타나지 않는다는 사실에서 볼 때, 신라 사경(寫經)은 한역(漢譯) 당시의 모습을 그대로 간직하고 있는 화엄 사경임을 알 수 있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