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Study on the Properties of Recycled Concrete Using Recycled Fine Aggregates with different Removal formulas of Powder In Aggregate

미분 제거방식이 다른 2종의 재생 잔골재가 콘크리트외 특성에 미치는 영향

  • 이문환 (한국건설기술연구원 건축연구부) ;
  • 이세현 (한국건설기술연구원 건축연구부) ;
  • 심종우 (한국건설기술연구원 건축연구부)
  • Published : 2005.02.01

Abstract

The research conducted to study the potential practicability of recycled aggregate concrete by analyzing the characteristics of concretes made of recycled quality aggregates produced by wet and dry process has found the following results. The air content of recycled aggregate concrete increased with increase of the substitut on rate due to mortar included while producing recycled aggregates. However, the concretes with aggregate produced by dry process had relatively low rate of increase in air content. The slump showed generally decreasing trend as the substitution rate of recycled aggregate increased regardless of the wet or dry process. It was assumed that the mortar particles remained in recycled aggregate absorbed the surplus hydration in concrete and decreased fluidity The compressive strength generally decreased as the substitution rate of recycled aggregate increased, however there was an increasing trend as well due to decreasing effect of water-cement ratio when the substitution rate of recycled aggregate reached 25, 50% after mix. This phenomena also appeared in early age, which meant that recycled aggregate concrete should not be retarded in setting when applied in the field. The tensile strength also reached the maximum when wet or dry recycled aggregate replaced with 25%. To conclude, recycled aggregates for concrete produced by wet or dry process are expected to demonstrate essential characteristics of concrete without significant decline in physical or dynamic quality when the substitution rate is below 25% although there are variations subject to water-cement ratio. However, slight differences are expected due to types of recycled aggregate and physical quality.

습식 및 건식 생산방식에 의해 생산된 양질의 재생 잔골재를 사용한 콘크리트의 특성을 분석하여 콘크리트용 재생 잔골재로서의 활용가능성에 대해 연구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재생 잔골재 콘크리트의 공기량은 재생 잔골재의 생산시 포함된 모르타르로 인해 치환률 증가에 따라 공기량이 상승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건식 생산된 잔골재를 사용한 콘크리트의 경우, 공기량의 증가율이 상대적으로 낮았다. 슬럼프는 습식 및 건식 생산공정과는 관계없이 재생 잔골재의 치환율이 증가됨에 따라 전체적으로 감소되는 경향을 보였다. 이는 재생 잔골재에 있는 모르타르 입자가 콘크리트의 잉여수를 흡착하여 유동성을 저하시켰기 때문인 것으로 판단된다. 압축강도는 재생 잔골재 치환율이 증가함에 따라 전반적으로 감소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배합에 따라 재생 잔골재 치환율 25, 50%에서 물시멘트비 감소효과에 의한 부분적 증가 현상도 나타났다. 이러한 현상은 조기재령에서도 동일하게 나타나 재생골재콘크리트의 현장적용시에도 응결지연 등에 대한 우려는 없을 것으로 판단된다. 인장강도 결과 역시, 습식 및 건식 재생 잔골재 혼입률 25% 수준에서 가장 우수한 인장강도를 보였다 이를 종합하면, 재생 잔골재의 종류 및 물리적 성질에 따라 다소 차이는 예상되나, 콘크리트용 골재로서 건식 및 습식 생산된 재생 잔골재를 콘크리트용 골재로서 대체 사용하는 경우, 물시멘트비 등에 따라 다소 차이는 있었으나 전반적으로 치환율 25%이하에서는 물리적 역학적 성질에 심각한 저하 현상 없이 콘크리트의 제성질 발현이 가능한 것으로 판단된다.

Keywords

References

  1. 한국레미콘공업협회, '재생골재콘크리트의 제조기술 및 활용방안', 한국레미콘공업협회, 1998. 4, pp.18-32
  2. 신동인, '폐콘크리트의 품질이 재생콘크리트의 특성에 미치는 영향', 명지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998, pp.57-62
  3. 이세현, '재생골재콘크리트의 성능개선에 관한 연구', 건국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1, p.25
  4. 연세대학교, '폐콘크리트를 이용한 재생골재의 표준화 및 품질평가시스템', 국립기술품질원, 1998, pp.7-17
  5. 한국콘크리트학회, '재생(순환)골재 및 재생(순환)골재 콘크리트 정책 및 세미나', 한국콘크리트학회 재생콘크리트위원회 세미나, 2004, pp.III-24- III-45
  6. 建設業協會建設廢棄物處理再利用委員會, '再生骨材コンクリートに關する硏究報告書', 建設業協會建設廢棄物處理再利用委員會, 1986, pp.89-91
  7. 建設省土木研究所コンクリート研究室, '再生骨材を用いたクンクリートの設計施工指針(案)', 土木研究資料, No. 2418, 1986, pp.73-76
  8. 森田司郎 他 6名, '再生コンクリートについての基礎的硏究,' 第8回生コン技術大會硏究發表論文集, 1995, pp.61-66
  9. 笠井芳夫, 阿部道彦, 榔啓, '再生コンクリートの諸物性に關する實驗的研究', セメント.コンクリート論文集 No.50, 1996, pp.802-807
  10. Frondistou Y.S., 'Waste concrete as aggregate for new concrete,' ACI Journal, 1977, pp.373-37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