독성가스 시설의 정량적 위험성 평가를 이용한 비상대응시스템 구축

Development of Emergency Response System for Toxic Gas Facilities Using Quantitative Risk Analysis

  • Yoo Jin Hwan (Department of Chemical Engineering, Kwangwoon University) ;
  • Kim Min Seop (Department of Chemical Engineering, Kwangwoon University) ;
  • Ko Jae Wook (Department of Chemical Engineering, Kwangwoon University)
  • 발행 : 2005.06.01

초록

현재 여러 가지 목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독성가스는 누출사고 발생시 확산되는 특성이 있어 피해 범위가 매우 넓고, 인체에 치명적이라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위험성이 높은 독성가스 이용시설은 누출사고에 대비한 사고 대응 시스템을 구축하여 비상상황 발생시 즉각 대응이 가능하도록 하여야 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FTA기법을 이용한 사고 시나리오 선정 및 빈도 분석과 DNV사의 PHAST(Ver 6.2)를 이용하여 독성가스 누출에 의한 확산 사고영향 분석을 실시하였다. 그리고, 정량적 위험성 평가 결과들을 이용하여 독성가스시설의 비상대응시스템을 구축하였다.

Today toxic gas has various uses. If there is a release accident, the gas rapidly disperse into the atmosphere. The extent of damage due to toxic gas accident is very wide and fatal to human being. So, it is necessary for toxic gas facilities which have high risk to construct an emergency response system that prepare to toxic release and make immediate response to be possible at accident appearance. In this study accident scenario were selected and frequency analysis was executed using FTA technique. Dispersion effect of toxic gas release was analyzed using DNV company's PHAST(Ver. 6.2). Finally, an emergency response system was developed using results of quantitative risk analysis.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