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mparison both Physicochemical Environment and Distribution of Hydrophytes in Rivers of Downtown Gwangju Metropolitan City

광주광역시 도심 하천의 이화학적 환경과 수생식물 분포 비교연구

  • Lim Dong Ok (Department of Life Sciences, College of Environmental Science and Engineering, Honam University) ;
  • Ryu Youn Mi (Department of Biology, Graduated School, Honam University) ;
  • Hwang In-Chun (Department of Biology, Graduated School, Honam University)
  • 임동욱 (호남대학교 환경이공대학 생명과학과) ;
  • 유윤미 (호남대학교 대학원 생물학과) ;
  • 황인천 (호남대학교 대학원 생물학과)
  • Published : 2005.06.01

Abstract

This study was compared the flora and distribution of hydrophytes with physicochemical environment in the 14 sites selected in Yeongsan River through Gwangju Metropolitan city from March to October, 2003. In this survey, hydrophytes were classified 94 taxa; 35 families, 68 genera, 85 species and 9 varieties. It was compared the physicochemical characters with the hydrophytes distribution in each stream according to the index of contamination. Persicaria japonica and Rumex crispus were dominated at Youduk-Dong, the most contaminated area. Aquatic contamination sensitive floating-leaved plants and submerged plants were not identified. Hwangroung River and Yeongsan River area were a little contaminated area, appeared to good vegetation such as Phragmites japonica, Persicaria thunbergii and Miscanthus sacchariflorus. The stream of Youduk-Dong, the lower reaches of Gwangju-cheon was not grown with hydrophytes because of contamination by inflow of life sewage; therefore it is required to persevere in the townsmen's efforts for improvement of water environment.

2003년 3월부터 10월까지 영산강 수계 중 광주시 권역에서 선택한 총 14개 조사지역에서 수질의 이화학적 환경과 수생식물의 분포를 분석하였다. 전체 수생식물은 35과 68속 85종 9변종으로 총 94분류군이 확인되었다. 수계별로 수질의 이화학적 환경에 따라 오염지역과 비 오염지역을 구분하고 수생식물 분포양상을 확인하였다. 그 결과 가장 오염이 심한 것으로 여겨지는 광주천의 하류인 유덕동 일대에서 오염된 곳에 주로 분포하는 흰 꽃여뀌와 소리쟁이 등이 우점하였으며, 침수식물과 부엽 식물은 전혀 확인되지 않았다. 황룡강 일대와 영산강 상부지역 일대는 비교적 수질이 양호하여 비오염지역으로 판단되며, 이 지역에서 생육하는 달뿌리풀, 고마리, 물억새 등이 분포하였다. 광주시를 통과하는 동안 생활하수가 많이 유입되는 광주천 하류는 수생식물이 생육하기 힘든 수질환경인 것으로 판단되므로. 수질환경 개선을 위한 노력이 절실히 필요 할 것으로 판단된다.

Keywords

References

  1. 강영식, 김병환. 1992. 영산호의 수질오염에 관한 조사연구. 광주보건대학 논문집. 17:317-343
  2. 강영식. 1983. 광주천 본천상의 ABS오염에 관한 조사연구. 광주보건전문대학 논문집. 8:11-18
  3. 강영식. 1989. 광주호의 수질변화에 관한 조사연구. 광주보건전문대학 논문집. 14:9-14
  4. 김철수, 박경양, 송태곤. 1987. 영산호 수질의 이화학적 특성. 연안생물연구. 4:109-117
  5. 김철수, 송태곤. 1984. 영산호 수질의 이화적 특성. 연안생물 연구. 1:1-15
  6. 김철수, 송태곤. 1986. 영상강유역 식물군락에 대한 생태학적연구. 자연보존연구보고서. 8:99-127
  7. 김하송. 1994. 영산강 집수역에서 산림과 수생식물의 분포 및 하천 수질과의 관계. 목포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65pp
  8. 나영희. 1994. 황룡강 하천 생태계의 식물상. 조선대학교대학원. 석사학위. 37pp
  9. 류일광, 이치영, 강영식. 1983. 광주천의 환경오염에 관한 조사연구. 광주보건전문대학 논문집. 8:1-9
  10. 류일광, 이치영, 김병환, 강영식. 1981. 영상강의 수질오염에 관한 연구. 광주보건전문대학논문집. 6:21-35
  11. 신현철, 김영식, 조강현, 최홍근. 1997. 아산시 일대 수생식물 분포와 수환경의 관계-침수식물을 중심으로. 한국육수학회지. 30:423-429
  12. 이영노, 오용자, 이남숙, 서성희. 1986. 영상강유역 연안의 식물상. 자연보존연구보고서. 8:75-98
  13. 이창복. 1980. 대한식물도감. 향문사. 서울. 990pp
  14. 임병선, 김하송, 이점숙, 임현빈, 김명화, 1994. 영산강 유역의 수생식물상과 분포에 관한 연구. 목포대학교 연안생물연구. 11:1-14
  15. 임병선, 이점숙, 서계홍, 김하송. 1996. 영산강 유역으로부터 유입되는 오염부하량에 따른 수생식물의 분포, 질산환원효소 활성 및 그 정화능. 한국생태학회지. 19(5):487-496
  16. 주홍규. 1971. 영산호수질의 이화학적 조사. 한국육수학회지. 4:63-67
  17. 최홍근. 1986. 한국산 수생관속식물지. 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72pp
  18. 광주지방기상청 (2003년 11월) http://www.gwangju.kma.go.kr
  19. 영산강유역환경청 (1999년 12월) http://www.yeongsan.me.go.kr
  20. Boyd CEo 1968. Fresh water plants : A potential source of protein. Econ. Bot. 22:68-359
  21. De Knecht JA, MV Dillen, PLM Koevoets, H Sochat, JAC Verkleij and WHO Ernst. 1994. Phytochelatins in cadmium sensitive and cadmium tolerant silene vulgaris. Plant Physiol. 104:225-261
  22. Day Jr. JW, CAS Hall and WM Kemp. 1989. Yanez-Arancibia, Estuarine Ecology, (New York, John Wiley & Sons, 1989). 558pp
  23. Hardman RT, B Jacoby and A Banin. 1984. Factors affecting the distribution of cadmium, copper and lead and their effect upon yield and zinc content in bush beans (PhaseoIus vulgaris L.). Plant Physiol. 81: 17 -27 https://doi.org/10.1104/pp.81.1.17
  24. Keneta M, H Hikicht, S Endo and N. Sugiyama. 1983. Isolation of a cadmium-binding protein from cadmium-treated rice plants (Oryza sativa L.). Agric. BioI. Chem. 47:417-418 https://doi.org/10.1271/bbb1961.47.417
  25. Maitani T, H Kubota and T Yamada. 1996. The composition of metals bound to class III. metallthionein (phytochelatin and it's desglycyl peptide) induced by various metals in root cultures of Rubia tibctorum. Plant Physiol. 110:1145-1150
  26. Muenscher WC. 1944. Aquatic plants of the United States. Comstock Publishihg Company, Inc., Ithaca. 347pp
  27. Reddy KR, DL Sutton and GE Bowes. 1983. Biomass production of fresh water aquatic plants in Florida. Proc. Soil. Crop. Sci. Soc. 42:28-40
  28. Sculthorpe CD. 1967. The biology of aquatic vascular plants. Edward Arnold Publishers Ltd., London. 670pp
  29. Tripathi BD, J Srivastava and K Misra. 1991. Nitrogen and phosphorus removal capacity of four chosen aquatic macrophytes in tropical freshwater ponds. Environment Conservation.14:3-7
  30. Wetzel RG. 1983. Limnology, Saunders College Publishing. Philadelphia, 767pp
  31. Wolverton BC and RC McDonald. 1979. Water-hyacinth (Eichhornia crassipes (Mart.) Solms) studies. Econ. Bot. 33:1-10 https://doi.org/10.1007/BF028582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