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operty Changes of Vertical Soil Layers Planted with Zelkova serrata(Thunberg) Makino on the Reclaimed Land from the Sea in the Gwangyang Bay, Korea

광양만 임해 매립지 느티나무 식재지 토양의 수직적 특성 변화

  • Kim Do-Gyun (Department of Landscape Architecture, Honam University) ;
  • Kim Yong-Shik (Faculty of Natural Resources, College of Natural Resources, Yeungnam University)
  • Published : 2005.06.01

Abstract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elucidate the vertical characteristics of soil properties at six planted sites of land reclaimed from the sea, in Gwangyang Bay, Jeollanam-do Province, Korea. Based on the types of planting site, the chemical properties of the vertical soil layers varied. The vertical variation was great in the planting sites $Z_1\;and\;Z_2$, but less varied in the mounded planting sites $Z_3,\;Z_5,\;and\;Z_6$. Major reasons for the vertical variation in soil chemical properties included differences in the accumulation of organic matter, soil disturbance by heavy construction equipment, and heterogeneity of soil properties between soil horizons. As soil depths increased, soil salts varied. The electrical conductivity (ECe) increased in the lower areas of planting sites $Z_1\;and\;Z_2$, and the disturbed, saline planting site $Z_3$, but decreased in the lower areas of $Z_3,\;Z_5,\;and\;Z_6$. These tendencies did not coincided with exchange cation concentrations $(Na^+,\;K^+,\;Mg^{++},\;Ca^{++})$. Both total carbon (T-C) and total nitrogen (T-N) accumulated more in the lower areas of planting sites than in the higher areas, and levels were higher closer to the surface than in the soil depths. It is supposed that these tendencies are related to the accumulation of fallen leaves or other organic matter at the soil surface, and the soil chemicals then slowly move downward from the surface. Impediments to tree growth included soil hardiness, high soil salinity and exchangeable cation concentration, low soil moisture content, acidic or alkaline soil, low organic matter, heterogeneity of soil texture and establishment of soil stratification.

Keywords

References

  1. 강보구(1997) 시설재배 토양의 화학적 특성과 염류의 이동. 충북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 고대식, 김계환, 위흡, 한광수(1984) 간척지의 농업개발을 위한 종합연구 III. 계화간척지에 있어서 내염성 적수의 선발에 관하여, 전북대학교 농대농문집 15: 41-47
  3. 구본학, 강재선, 김정욱(2000) 서해안 임해매립지 녹지공간 토양성분들의 상관성 및 경시적 변화 특성. 한국조경학회지 27 (5): 161-169
  4. 구본학, 강재선, 장관순(1999) 임해매립지에서 식재기반 조성을 위한 토양특성에 관한 연구. 한국환경생태학회지 13(1): 89-95
  5. 김도균(2000) 임해매립지의 조경수목 생장특성-광양만의 곰솔과 느티나무를 중심으로. 영남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6. 김도균, 김용식, 김민수, 오구균(2001) 광양만 임해매립지 곰솔 식재지역 토양환경의 수직적 특성. 한국환경생태학회지 15(2): 186-192
  7. 김도균, 박종민(2004) 광양만 바다 준설 매립지의 느티나무 생장특성(I)-식재지반별 토양 물리.화학적 특성을 중심으로. 한국조경학회지 31(6): 85-94
  8. 김성채(1987) 간척년수에 따른 토성 및 작토층위별 수종 화학성분 변화 차이에 관한 연구. 한국토양비료학회지 20(1) : 23-28
  9. 김용식, 오구균, 김도균, 신현탁(1999) 수목의 가뭄극복을 위한 식재지 관리방안-광양지역을 중심으로. 자원문제연구 18(1): 8-13
  10. 김필주(1998) 시설재배지 염류집적 토양에서의 토양수분과 음이온의 이동특성. 충남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1. 농어촌진흥청(1988) 토양화학분석법. 농어촌진흥청 농업기술 연구소
  12. 대한주택공사(1995) 생육환경 특성을 고려한 아파트 단지내 조경수목 선정 및 식재방안 연구
  13. 박현수(2002) 임해매립지에 있어서 조경수 적합성 연구-광양 제철소 낙엽교목을 대상으로 순천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4. 배준환(2001) 인천시 임해매립지 식재 개선방안 연구. 서울 사립대학교 도시과학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5. 변재경, 김영걸, 성주환, 김춘식, 유정환, 이충화, 최경, 류택규, 김기환, 임채철(2000) 임해매립지에서 복토 높이가 수목의 고사율 및 생장에 미치는 영향. 한국임학회 2000년도 정기총회 및 학술발표지, pp. 55-58
  16. 서종철(1994) 간척지 퇴적물의 물리화학적 변화에 대한 연구-김포지구 간척지를 사례로.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7. 안열(1990) 우리나라 간척지 특성과 간척 후 토양의 특성에 대한 연구. 전북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8. 엄대철, 김동한, 엄기태, 채종한, 윤관희, 이협성(1986) 간척연대별 토양의 이화학성 변화 연구. 농업시험장 논문집 28(1) 20-27
  19. 오재섭, 임정남(1967) 토양입자의 크기가 보수력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농가연 농시연보 10(3): 1-8
  20. 이상은, 박준규, 윤정희, 김만수(1987) 비닐하우스 토양의 화학적 특성에 관한 연구, 농시연구집 29(1): 166-171
  21. 장관순, 김형복(1999) 임해매립지의 생태계 복구를 위한 토양 중 염류의 활성도 분석. 한국토양비료학회지 32(2): 147-154
  22. 장봉수(1977) 해성간척지 토양층위별 성분분석 연구-습답과 건답을 중심으로 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3. 조백현, 조성진, 박천서, 엄대익(1998) 삼정 토양학. 서울: 향문사
  24. 조우(2000) 인천시 해안매립지 녹지조성기법개발 연구. 인천시 발전연구원 보고서
  25. 포항종합제철주식회사(1993) 영일만에서 광양만까지-포항제철 25년사
  26. 한국조경학회(1999) 조경설계기준, 서울: 문운당
  27. 本間啓(1973) 綠地學 硏究 No. 4, 東京大學農學部園藝第二(綠地學)硏究室
  28. 新田伸三ら(1976) 土木工事ののり面保護工, 鹿島出版社. In N. Karizumi, ed., Illustrations of Tree Roots. 誠文堂新光社
  29. Min, B. M and J. H. Kim(1997) Desalinization characteristics after declamation tidal flat on the west coast of Korea. Korean J. Ecology 20(4): 275-283
  30. Richards, L. A.. W. R. Gardne, and G. Ogate(1956) Physical process determining water loss from soil. Soil Sci. Soc. Am. Proc. 20: 310-314
  31. Singh, N. T.. G. S. Brar. and B. Singh (1980) The composition of soluble salt-affected soils of the Panjap State. International Symposium on Salt-Affected Soils. pp. 18-21. pp, 7-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