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Effects of Traditional Recipes and Saenghwatang on Postpartume Care

전통 산후 회복식과 한방 생화탕이 산모의 회복 정도에 미치는 효과

  • Park, Sung-Hye (Dept. of Herbal Resources, Professional Graduate School of Oriental Medicine, Wonkwang University)
  • 박성혜 (원광대학교 한의학전문대학원 한약자원개발학과)
  • Published : 2005.06.01

Abstract

This experimental was carried out to evaluate the clinical effects of Ophicephalus argus and Crubita moschate which have been traditionally applied to postpartum care in Korea, and compare them with the effect of Saenghwtang. Fifty Sprague-Dawley female rats weighing $250\~280$ g were divided into five groups: a normal saline-treated group (NSG), a Saenghuatang-treated group (STG), an Ophicephlus argus-treated group (OTG), and a Crubita moschate-treated group (CTG), also non-pregnant group (NPG). Except for the NPG, each extract was administered for one week to each group after delivery. We measured the WBC, RBC, serum levels of hemoglobin and hematocrit, the platelet count, serum levels of fibrinogen, albumin, thyroxine and urine levels of sodium and potassium. STG showed a significant (p<0.05) decrease of WBC count, fibrinogen content and urine levels of sodium and potassium and a significant (p<0.05) increase of RBC, hemoglobin, albumin and thyroxine in comparison with those of the NSG. OTG showed a significant (p<0.05) decrease of WBC count, fibrinogen and the significant (p<0.05) increase of albumin and thyroxine in comparison with those of the NSG. CTG showed a significant (p<0.05) increase of albumin and thyroxine in comparison with that of NSG. These results suggest that Saenghwatang is more effective than Ophicephalus argus and Crubita moschate for postpartum recuperation although they also have some effects on recuperation of deteriorative blood components after delivery. Therefore, these findings indicate that futher investigation for the other effects of Ophicephalus argus and Crubita moschate is necessary.

우리나라의 한방영역에서 분만 후 빠른 회복을 위해 사용해오던 처방 중 생화탕과 관습적으로 산후 회복식으로 민간에서 널리 사용해오던 가물치와 호박 전탕액을 대상으로 분만 후 산모의 회복에 미치는 효과를 과학적으로 규명 해 보고자 연구를 계획${\cdot}$수행하였다. 이에 따라 분만 후의 흰쥐에게 생화탕, 가물치 전탕액 및 호박 전탕액을 각각 7일간 투여한 후 적혈구, 백혈구, 헤모글로빈, 헤마토크릿트치, 혈소판 수, 피브리노겐과 혈청의 알부민과 타이록신 농도를 구하였고 소변 중의 나트륨과 칼륨의 함량을 측정하여 비교${\cdot}$고찰하였다. 생화탕을 섭취한 군에서는 혈액의 적혈구 농도, 헤모글로빈 농도, 헤마토크릿트치, 알부민 및 타이록신 농도가 대조군(생리식염수 투여군)보다 유의적(p<0.05)으로 높았던 반면 백혈구 수와 피브리노겐 농도 및 소변의 나트륨과 칼륨 농도는 유의적 (p<0.05)으로 낮게 나타났다. 가물치 투여군에서는 대조군에 비해 백혈구 수, 피브리노겐 농도가 유의적 (p<0.05)으로 낮았고 혈 중 알부민과 타이록신의 농도는 유의적(p<0.05)으로 높았으며 소변의 칼륨 함량은 대조군보다 유의적 (p<0.05)으로 낮았다. 호박 전탕액을 섭취한 군에서는 대조군에 비해 혈청 알부민과 타이록신 농도가 유의적(p<0.05)으로 높게 나타났고 소변의 칼륨 함량이 대조군의 농도보다 유의적(p<0.05)으로 낮게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에서 생화탕은 산후회복에 뚜렷한 효과를 나타낸 반면 전통 산후 회복식은 분만 후 저하된 상태를 다소 개선시키는 효능은 있으나 그 정도가 생화탕에는 미치지 못한 것으로 나타났다. 일반적인 산후회복의 방법으로 적절한 효능은 인정되지 못하여 산후 조리법으로 권장하기에는 신중을 기할 필요가 있으며, 전통적으로 인정되어온 가물치와 호박의 이수소종(利水消腫) 효과에 대하여는 향후 연구가 필요한 것으로 사료된다. 한편 합리적이고 과학적인 식생활 정착을 위해 우리 식생활에서 약식동원의 목적으로 많이 쓰이는 전통 음식의 재료 및 사용분량에 대한 효능 평가에 관한 연구가 시도된다면 우리나라 전통 식생활의 우수성을 입증할 수 있으며 우리 음식을 소개하는데 있어 좋은 자료가 되리라 생각된다.

Keywords

References

  1. Schoknecht PA, Pond WG, Mersmann HJ, Maurer RR. Protein restiction during pregnancy affects postnatal growth in swine pregnancy. J Nutr 123: 1818-1825
  2. 송병기 1990 한방부인과학. 고림출판, 서울. p 98-108
  3. 傳山. 1984. 傳靑主男女科. 대성문화사, 서울. p 142-167
  4. Lee TK, Oh SS, Kim DI. 1999. A study of SaengHwa-Tang in Bucheungjueukwa. J Oriental Gynecology 12: 327-348
  5. Jin CS. 1997. The experimental study of Saengwhoatang and Boheotang on the analgesic and movement of isolated uterine muscle. J Oriental Gynecology 10: 121-131
  6. 박령준, 서종훈, 박용기. 1999 산후에 쓰이는 보허탕, 실소산, 생화탕에 관한 문헌적 고찰. 한국기공학회지 3: 139-161
  7. 강구향, 백승희. 2000 출산전 여성의 한방산후조리에 대한 인식과 선호도조사. 한방부인과학회지 13: 375-401
  8. 박선민, 황종욱. 1999. 산후조리의 한.양방적 고찰. 한국기공학회지 3: 172-185
  9. Lee YH, Lee TK. 2000. Postnatal management in western and oriental medicine. J Oriental Gynecology 13: 500-517
  10. Lee TK. 2001. A literary study of the postpartum care. J Oriental Gynecology 14: 209-228
  11. 이세열, 정윤섭. 1993. 임상병리검사법. 연세대학교 출판부, 서울 p 1-65
  12. 허준 1996. 동의보감. 풍년사, 서울 p 351
  13.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소. 1980. 한국민속대관. 고려대학교 출판부, 서울, Vol 1, p 539
  14.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소. 1982 한국민속대관. 고려대학교 출판부, 서울, Vol 3, p 382-386
  15. 임동권 1984. 서울의 풍속. 집문당, 서울. p 168-169
  16. Jung H. 1999. A study on the nursing needs and service satisfactory of users in the post-partum care center. Korean J Women Health Nurs 5: 194-199
  17. Yoo EK. 1995. An ethanographic study of sanhubyung experienced by women in Korea postpartal culture. J Korean Acad Nurs 26: 77-95
  18. Bhanot S, McNeill JR, Bryer-Ash M. 1994. Vanadyl sulfate prevents fructose-induced hyperinsulinemia and hypertension in rats. Hypertension 23: 308-312 https://doi.org/10.1161/01.HYP.23.3.308
  19. 박영준 2000. 한방동물보감, 푸른물결, 서울. p 171-174
  20. Park EK, Shin JW, Park KH, Yang ST. 1987. Seasonal variation in gel forming ability of wild common carp and conger eel. Korean J Food Sci Technol 19: 1-6
  21. Koo MR, Sung CJ, 1986. Changes of amino acid and fatty acid contents in raw flesh and cooked broth of carp during boiling time. J Korean Soc Food Nutr 15: 222-228
  22. 이상인. 1981 본초학. 수서원, 서울. p 15-32
  23. 진수원 1982. 女科要旨. 복건과학기술출판사, 복건성. p 77
  24. 오견매, 정유순. 1995. 生化湯藥理及臨床應用, 실용중서의결합잡지 8: 592-593
  25. 이상중 主編. 1992. 中藥方劑的藥理及臨床應用. 인민위생출판사, 북경 p 109-115
  26. 한종현, 김기영. 2003. 한방약리학. 의성당, 서울. p 258
  27. Kim K. 1986. Effects of the Saengwhatang ethanol extract on the uterus activity and blood change in rat. MS thesis. Wonkwang University
  28. 육창주. 1990. 원색한국약용식물도감. 아카데미서적, 서울. p584
  29. 황도연. 2000. 證脈.方藥合編. 남산당, 서울 p 260, 296, 300
  30. 이시진. 1975. 본초강목. 인민위생출판사, 북경. p 1700, 2451
  31. 최태섭 1990 한국의 보약. 열린책들, 서울. p 376
  32. 중약대사전 편찬위원회. 2002. 중약대사전. 정담출판사, 서울. p 952
  33. 이귀녕, 이종순. 1996. 임상병리파일. 의학문화사, 서울. p 101, 171, 312, 315
  34. 대한산부인과학회 교과서편찬위원회. 1991. 산과학. 도서출판 칼빈서적, 서울. p 329-337
  35. Kim JH. 1992. The effects of Saenghwatang & Kamisaenghwatang on intravascular coagulation induced by endotoxin in rats. MS thesis. Daejeon University
  36. 정영태. 1991. 인체생리학. 청구문화사, 서울. p 263

Cited by

  1. A Study on the Effect of Omibaekchul-san on Postpartum Edema - Comparison with Saenghwa-tang vol.28, pp.2, 2015, https://doi.org/10.15204/jkobgy.2015.28.2.091
  2. 산모의 열감(熱感), 한출(汗出), 갈증(渴症)에 자하거 약침이 미치는 효과 vol.23, pp.3, 2005, https://doi.org/10.15204/jkobgy.2010.23.3.13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