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velopment of the Multi-Path Finding Model Using Kalman Filter and Space Syntax based on GIS

Kalman Filter와 Space Syntax를 이용한 GIS 기반 다중경로제공 시스템 개발

  • Published : 2005.12.31

Abstract

The object of this paper is to develop the shortest path algorithm. The existing shortest path algorithm models are developed while considering travel time and travel distance. A few problems occur in these shortest path algorithm models, which have paid no regard to cognition of users, such as when user who doesn't have complete information about the trip meets a strange road or when the route searched from the shortest path algorithm model is not commonly used by users in real network. This paper develops a shortest path algorithm model to provide ideal route that many people actually prefer. In order to provide the ideal shortest path with the consideration of travel time, travel distance and road cognition, travel time is predicted by using Kalman filtering and travel distance is predicted by using GIS attributions. The road cognition is considered by using space data of GIS. Optimal routes provided from this paper are shortest distance path, shortest time path, shortest path considering distance and cognition and shortest path considering time and cognition.

기존의 최적경로 알고리즘은 통행거리 통행시간, 통행량 등의 통행값을 통하여 최적경로를 제공하였다. 하지만 이렇게 제시된 최적경로는 사용자의 도로에 대한 인지도를 고려하지 않음으로써 자신이 인지하거나 다수의 사용자가 선호하는 경로를 고려하지 못하는 단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통행거리와 통행시간을 고려하면서 사용자의 인지도를 고려한 최적경로를 개발하는 것이 본 연구의 목적이다. 기존의 통행시간 예측방법에는 ARIMA모형, Kalman Filter모형, 확률과정모형, 신경망모형, 회귀모형 등 여러 가지 방법이 있으나 본 연구에서는 단기 통행시간 예측에 적합한 Kalman Filter 모형을 적용하였다. 인지도를 고려한 최적 경로를 제공하기 위한 기존의 방법은 회전에 대한 가중치를 부여하여 최적경로 탐색시 최소한의 회전을 유도하고 있다. 하지만 회전에 대한 가중치를 주는 방법은 경험적인 방법으로서 만약 신설된 길에 대한 경로 제공, 또는 개량된 길에 대한 경로를 제공할 때 문제점이 나타난다. 본 연구에서는 이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공간구조의 속성을 정량적으로 분석하고 평가하는 기법인 Space Syntax 이론을 적용하였다. 운전자들을 대상으로 실시한 설문조사 결과 본 연구에 의한 알고리즘이 기존의 최적 경로보다 더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Keywords

References

  1. 김익기(1998), ATIS를 위한 수정형 덩굴망 최단경로 탐색 알고리즘의 개발, 대한교통학회지, 제16권 제2호, 대한교통학회, pp.157-167
  2. 김영욱 . 한상진 . 신행우(2005), '보행네트워크 분석을 통한 보행량 예측 방법 연구-Space Syntax 기법을 활용하여-', 제48회 학술발표회, 대한교통학회, pp.365-374
  3. 김범일(2004), '도로 위계구조를 고려한 동적 최적경로탐색 기법 개발', 석사논문
  4. 이경로(2005), 'GIS적용을 위한 Axial Map 자동생성 알고리즘 개발', 국토학회
  5. 이승재 . 이영인(2004), 'Development of Dynamic Route Guidance Alogrithm Usign Multi-Step ahead Link Travel Time Prediction', BiNs, 서울시립대학교
  6. 임강원 . 임용택(2003), '교통망분석론', 서울대학교출판부
  7. 전철민(2005), 'Assessing Public Transportation Accessibility Based on Topological Structure ', CUPUM 05, UCL
  8. 최기주 . 신치현(1998), 'GPS와 GIS를 이용한 링크통행시간 예측기법', 대한교통학회지, 제16권 제2호, 대한교통학회, pp.197-207
  9. 최찬영(1999), 'Kalman Filter를 이용한 도시고속도로의 구간속도 예측에 관한 연구', 석사논문
  10. Ahmed. M, Cook. A(1979), 'Analvsis of Freeway Traffic Time Series Data by Using Box-Jenkins Techniques', Transportation Research Board, No. 722. pp.1-9
  11. Batty M. and Rana S.(2004). 'The automatic definition and generation of axial lines and axial maps'. Environment and Planning B:Planning and Design. Vol 31. pp.615-640 https://doi.org/10.1068/b2985
  12. Carlos F. Daganzo(1998), 'Reversitv of the time-dependent shortest path problem'
  13. Dalton N.(2003), 'Storing directionality in axial lines using complex node depths'. 4th International Space Syntax Symposium London 2003
  14. Fu. L(2005), 'Heuristic shortest path algorithms for transportation applications: State of the art'. Computers & Operations research
  15. Hiller, B. and Hansom, J.(1984). 'The Social Logic of Space', Cambridge University Press
  16. Roy Thomas(1991), 'Traffic Assignment Techniques', Avebury Technical
  17. Steven I-Jy Chien(2003), 'ynarnic Travel Time Prediction with Real-Time and Historic Data', Journal of Transportation Engineering
  18. Van Arem. B(1997), 'Recent Advances in the Field of Short-term Traffic Forecasting', International Journal of Forecasting Vol, 12, pp.1-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