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전통 생활 용품에 나타난 '구복문양'의 브랜드 특성에 관한 고찰

Observation of brand Characters of 'Blessing Pattern' used in ancestral household utensils in Korea

  • 한지애 (국민대학교 테크노디자인 전문대학원 디자인학전공) ;
  • 신승택 (㈜크리에이티브하우스)
  • 발행 : 2005.05.31

초록

한 시대의 정서와 문화는 여러 매체들을 통해서 반영 투영되어지며, 특히 일상생활에서 사용되어지는 생활용품을 통해서 그 특성과 일반성을 발견할 수 있게 된다. 본 연구는 민족의 '정서적 유대감'을 가진 브랜드 개발을 위한 선행연구로서, 선조들의 일상 용품들 속의 전통문양과 그에 대한 상징성 이야기성에 대해 연구하였다. 이를 기반으로 상징성을 가진 전통문양이 갖는 브랜드 가치와 잠재적 발전 가능성에 대해 고찰하였다. 전통문양의 상징성 분석을 위해 본 연구는 구복사상이라는 기준점으로 한국의 전통문양을 재분류하고 문양이 가지고 있는 본연의 의미와 상징, 더 나아가 이야기성을 발췌하고 정리, 분류하였다. 구복 사상을 중심으로 분류한 전통문양을 8가지 구복문양으로 정의하고, 구복문양이 가지고 있는 브랜드로의 발전 가능성과 파생적 가치를 고찰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구복문양은 기본적으로 커뮤니케이션 기능을 수행하며, 그밖에도 브랜드 패러다임의 변화에 대응할 수 있는 4가지 기능과 브랜드 아이덴터티를 형성하는 6가지 구성요인을 가지고 있음을 발견하였다. 더 나아가 구복문양은 인지도 강화 기능, 표현 기능, 충성도 강화 기능, 차별화 기능, 상징 기능 5가지 측면에서 파생적 가치를 지니고 있음을 발견하였다. 본 연구는 한국의 '정서적 유대감'을 형성하는 브랜드 개발 연구의 기초가 되며, 슈퍼 브랜드 우산 브랜드로의 적용이 가능한 구복 브랜드 개발 연구의 기반이 될 것이다. 추후 연구로 '구복 브랜드 시리즈' 개발과 마케팅에 관한 연구를 추진함으로써 구복 브랜드 문화가 창출되며, 세계 시장으로 한국 브랜드 시장이 확대되어 지기를 기대한다.

The emotion and culture of an age are reflected through several mediums. The special quality and generality are discovered through household utensils used in everyday life specially. This paper was intended as proceeding study for brand development with national empathic relationship. In this article, we were here concerned with symbolism and features for stories of traditional pattern on ancestral common household utensils, and considered about development possibility by brand of tradition pattern. As analysis for symbolism of traditional pattern, re-sorting and classifying pattern, meaning, symbol and stories of pattern based on 'Blessing notion' were set. It was found from the analysis that meaning and symbol of traditional pattern were set up and stories for them were excerpted. This study defines tradition pattern classified based on 'Blessing notion' as '8 Blessing pattern', and investigated development possibility and derivative value of it. We discovered through this study that 'Blessing patterns' function as communicator, have 4 abilities in sympathy with brand paradigm, and have 6 elements of brand identity. Furthermore, 'Blessing Patierns' have some derivative functions; cognitive intension, expression, loyalty, differentiation and symbol. This research will become basis of study for brand development having 'Empathic relationship' and foundation of 'Blessing brand' that is available to be umbrella and super brand. A further direction of this study will be to make 'Blessing brand series' and to create culture of it. We hope Korean brand market goes a step further through our studies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