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dentifying the scientifically giftedness through brain's cognitive function characteristics

뇌의 인지기능 특성을 통한 과학 영재성 판별

  • Published : 2005.06.30

Abstract

This study attempted a new approach to the methods of identifying the scientifically giftedness in relation to the recent emphasis on the education for the scientifically gifted. This study focused on the processes of the cognition achievements, while only the results have been studied until now. Theoretical backgrounds about the ways of identifying the gifted, the research procedures about brain functions, and the information procedures about brain data were reviewed. Eleven scientifically gifted and 10 normal children from the 4th to the 6th grades were selected to analyze the characteristics of their brain waves with brain wave measuring instrument for PCs. The results showed that the scientifically gifted, while studying scientific and creative problems, used their right brain more than their left. When solving these problems, they utilized more of their theta and alpha brain waves than those normal children. In addition, theta brain waves of the scientifically gifted were rather active during these activities and this phenomenon was more distinctive in their right brain rather than their left. Thereby, this study implies that the characteristics of brain waves during the moments of solving certain problems can be used as a method to identify the scientifically gifted.

본 연구는 과학영재교육의 중요성이 증대되고 있는 현 시점에서 그 동안 실시 되어온 과학영재성 판별방법과는 다른 접근을 시도하고자 수행되었다. 즉 그 동안의 판별은 주로 인지수행의 결과적인 측면을 다루었다고 본다면, 본 연구는 인지수행의 과정적인 측면을 다루었다고 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우선 영재성 판별 및 뇌기능 연구방법과 뇌의 정보처리과정에 대한 이론적인 문헌고찰을 하였고, 이를 바탕으로 초등학교 4-6학년 아동 중 과학영재아 11명, 일반아 10명을 연구대상으로 선정하여 PC용 뇌파측정기를 통해 과학영재아와 일반아들의 뇌파특성을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과학영재아들은 과학적이고 창의적인 문제해결과제를 수행 중에 좌뇌 보다는 우뇌의 활성도가 높았고, 평소와는 달리 과학적이고 창의적인 문제해결 과제를 수행 중에는 좌.우뇌의 뇌파 특성이 모두 일반아들에 비해 세타파와 알파파의 활성도가 높았다. 또한 과학영재아들은 평소 특정한 과제를 수행하고 있지 않은 상태에서 보다 과학적이고 창의적인 문제해결력과 같은 특정 과제를 수행하는 중에서 세타파의 활성도가 높고, 그 차이는 좌뇌에서 보다는 우뇌에서 더 큰 차이를 나타내고 있었다. 따라서 특정과제 수행 하에서의 뇌파특성은 과학영재 판별의 한 방법으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Keywords

References

  1. 고영희 역(1986). 인간의 뇌와 교육. 서울: 중앙적성출판사
  2. 고영희 역(1991). 당신의 양쪽 뇌를 사용하라. 서울: 양서원
  3. 고영희.하종덕(1992). 엠씨스퀘어 이완 시스템이 긴장이완 및 학습능력에 미치는 효과. 과학영재연구,1(1). 한국과학영재학회. 47-59
  4. 고영희.하종덕(1995). 나도 천재가 될 수 있다. 서울: 도서출판 새남
  5. 김대식.최장욱 편저(2001). 뇌파 검사학. 서울: 고려의학
  6. 김용운.김용국(1992). 엄마의 산수II. 서울: 김영사
  7. 김용진(2000). 학습활동의 뇌파 분석에 기초한 두뇌순환 학습 모형의 개발과 과학 학습에의 적용.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8. 김용진.박재근.채희경.강경미.조선희.장남기(2000). 문제풀이의 사고활동 중 Q-jump에 의한 두뇌기능 평가. Q-jump연구, 1(1). 한국정신과학연구소. 65-94
  9. 송경애(2005). 중학생 영재의 비지적특성과 가정의 과정변인이 수학적 창의성에 미치는 영향. 건국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0. 심재영(2003). 암묵적 이론을 통한 영재성 요인 타당화 연구. 충남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11. 윤중수 편저(1999). 뇌파학 개론. 서울: 고려의학
  12. 이창섭, 노재영 편역(1997). 뇌파학 입문. 서울: 하나의학사
  13. 하종덕(1986). 두뇌기능특성 및 인지양식과 학업성적과의 관계. 중앙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14. 하종덕(1993). 우뇌기능 훈련이 뇌의 인지특성 및 수학적 문제해결력에 미치는 효 과. 원광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15. 하종덕.박정옥(1995). 우뇌기능이 창의력에 미치는 영향. 교육심리연구, 9(1). 61-73
  16. 하종덕.문정화(1999). 또 하나의 교육 창의성. 서울: 학지사. 67-130
  17. 한선호(1992). 임상뇌파. 서울: 일조각. 55-81
  18. 大木幸介: 김수용.하종덕 역(1996). 뇌로부터 마음을 읽는다: 어떤 뇌 이야기. 서울: 전파과학사. 42-125
  19. Blakeslee, J. R.(1980). The right brain. New York: Anchor Press
  20. Fox, L. H.(1976). Identification and program planning : models and method. In P. Keating (Ed.), Intellectual talent: Research and development. The Joh ns Hopkins Univ. Press
  21. Fuster, J. M.(1981). The Prefrontal cortex; Anatomy, Physiology and Neuropsychology of the Frontal lobe. New York: Raven press
  22. Galin, K., & Orstein, R.(1972). Lateral specialization of cognitive mode; an EEG study. Psychophysiology, 9, 412-418 https://doi.org/10.1111/j.1469-8986.1972.tb01788.x
  23. Grady, Michael P.: 임선하 역(1991). 우측 뇌를 자극하는 교육방법. 서울: 자유 출판사. 11-52
  24. Grillon, C., & Buchsbaum, M. (1986) Computed EEG topography of response to visual and auditory stimuli. EEG and Clinical Neurophysiology, 63, 42-53 https://doi.org/10.1016/0013-4694(86)90061-1
  25. Renzulli, J. S. (1978). What makes giftedness?: Reexamining a definition. Phi Delta Kappan, 60, 180-184
  26. Restak, Richard M.(1995). Brainscapes. 서유헌 역 (1997). 너의 뇌를 알라. 서울: 사이언스북스. 12-38
  27. Russel, Peter: 김유미 역(1998). 마법의 베틀인: 인간의 두뇌, 어떻게 이용할 것인 가. 서울: 교육과학사
  28. Sperry, R. W.(1968). Hemisphere diconnection and unity in concious awarenes s. American psychologist, 23, 723-733 https://doi.org/10.1037/h0026839
  29. Sperry, R. W., & Myers, R. E.(1958). Interhemispheric communication through the corpu-s callosum. Mnemonic Carry-Over Between the Hemispheres. Archives of Neurology and Psychiatry, 80, 298-303 https://doi.org/10.1001/archneurpsyc.1958.02340090034004
  30. Springer, Sally P. & Deutch, G.: 곽형식 역(1998). 인간심리의 비밀 뇌기능의 이해. 서울: 학문사
  31. Torrance, E. P .(1966). Creative positives of disadvantaged youths. Gifted Child Quarterly, 13(2), 71-81
  32. Torrance, E. P. (1982). Hemisphericity and creative functioning. Journal of Research and Development in Education, 15, 29-37
  33. Williams, L. V .(1983). Teaching for the two-sided mind. New york: Simon and Schuster. 고영희.조주연 공역 (1995). 오른쪽, 왼쪽 뇌기능을 활용 한 수업기술(II). 서울: 교육과학사. 25-47
  34. Zdenek, M. (1985). The right-brain experience: An intimate program to free th e powers of your imagination. New York: McGraw-Hil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