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한국의 출산율 현황에 관한 고찰

A STUDY ON THE CURRENT TRENDS OF BIRTH RATE IN KOREA

  • 이문영 (부산대학교 치과대학 소아치과학교실) ;
  • 김재문 (부산대학교 치과대학 소아치과학교실) ;
  • 박수진 (부산대학교 치과대학 소아치과학교실) ;
  • 정태성 (부산대학교 치과대학 소아치과학교실) ;
  • 김신 (부산대학교 치과대학 소아치과학교실)
  • Lee, Moon-Young (Department of Pediatric Dentistry, College of Dentistry, Pusan National University) ;
  • Kim, Jae-Moon (Department of Pediatric Dentistry, College of Dentistry, Pusan National University) ;
  • Park, Soo-Jin (Department of Pediatric Dentistry, College of Dentistry, Pusan National University) ;
  • Jeong, Tae-Sung (Department of Pediatric Dentistry, College of Dentistry, Pusan National University) ;
  • Kim, Shin (Department of Pediatric Dentistry, College of Dentistry, Pusan National University)
  • 발행 : 2005.05.31

초록

최근 한국은 역사상 유례없는 저출산 현상으로 머지않은 장래에 소자녀, 고령화 사회가 도래할 것으로 보인다. 어린이 환자를 대상으로 하는 소아치과도 이에 따른 영향을 받을 것은 자명하다. 따라서 본 조사는 일차적으로 최근 우리나라의 출산율 저하가 과연 어느 수준인지에 대하여 실체적인 파악을 해보고, 저출산에 대한 선행 연구를 고찰해 보고자 시도되었다. 연도별 출산율 추이를 통계청의 인구동태통계로부터 1992년부터 2003년까지의 총 출생아수(number of live births), 조출생률(粗出生率, Crude Birth Rate : CBR) 및 합계출산율(合計出産率, Total Fertility Rate : TFR)을 통하여 살펴보고, $1990{\sim}2002$년 세계 주요국과 합계출산율을 비교하였으며, 국내 지역별 차이는 2003년 광역자치단체별 및 서울시 구별 조출생률을 비교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최근 우리나라의 출산율은 지속적인 감소추세를 보여, 2003년 총 출생아수는 49만명, 조출생률이 10.2명 합계출산율이 1.19명이었다. 2. 주요국과의 비교에서도 우리나라는 2002년 합계출산율이 1.17명으로 세계 최저 수준이었다. 3. 국내 지역별 비교에서는, 광역자치단체 및 대도시 행정구역별로 출생아수와 조출생률에 있어 심한 차이를 보였다. 2003년 광역자치단체별 조출생률 비교에서는 경기도가 11.9명으로 최고, 부산이 8.0명으로 최저치를 보였다. 서울시 구별 비교에서는 성동구가 11.1명으로 종로구 7.7명의 약 1.5배의 수준이었다. 저출산에 의한 어린이 수의 감소가 실제 소아치과 수요의 감소로 이어질지와 이에 따른 소아치과 전문인력의 공급에 관한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되었다.

As the current level of birth rate of Korea has dramatically declined, it is obvious that pediatric dentistry will also be affected by this change. This study was performed for the purpose of understanding on the current fertility levels of Korea. The formal data on the number of live births(NLB), crude birth rate(CBR), and total fertility rate(TFR) published annually from the National Statistical Office of Korea from 1992 to 2000 were used as materials for this study. The TFR values from 1990 to 2002 of Korea were compared with those of some western countries with similar history of decreased birth and the CBR values of the metropolitan cities and the capital city Seoul in 2003 were compared domestically, yielding to results as follows. 1. Recent birth rate of Korea was decreased continuously. NLB was about 490,000 CBR was 10.2 and TFR was 1.19. 2. TFR of Korea in 2002 was 1.17, the lowest in the world. 3. There was a large difference in the NLB and CBR between local prefectures and towns of Seoul domestically. Additional population studies and medico-economical studies to exactly predict the demands of pediatric dentistry and proper supplies of manpower in the future was thought urgently required.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