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ffect of Pollination Method on Fruit Setting and Quality of Oriental Melon(Cucumis melo L. var, makuwa Makino)

착과방법이 참외의 착과 및 품질에 미치는 영향

  • Shin Yong Seub (Seongju Fruit Vegetable Experiment Station, Gyongbuk A.R.E.S.) ;
  • Park So Deuk (Seongju Fruit Vegetable Experiment Station, Gyongbuk A.R.E.S.) ;
  • Kim Jwoo Hwan (Seongju Fruit Vegetable Experiment Station, Gyongbuk A.R.E.S.) ;
  • Kim Byung Soo (Department of Horticulture,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 신용습 (경북농업기술원 성주과채류시험장) ;
  • 박소득 (경북농업기술원 성주과채류시험장) ;
  • 김주환 (경북농업기술원 성주과채류시험장) ;
  • 김병수 (경북대학교)
  • Published : 2005.06.01

Abstract

A study was conducted on three pollination methods on oriental melon(sageageol-ggul) grafting with pumpkin(seongjutozoa) for the labor-saving and to improve fruit set. Fruit weight, flesh thickness and fruit setting rate of oriental melon were greater in growth regulators treatment than those of pollinated by bees. Sugar content and hardness of fruits pollinated by bees were higher than those of by growth regulators. From the last ten days of the February to the first ten days of the March, fruit setting rate was $95\%$ in fruit setting growth regulators, whereas it was $46\%$ and $45\%$ in pollinated by honey and bumble bee, respectively. After the middle of March, the percentage of fruit setting was >$98\%$ in all the pollination methods. The cultivation under plastic houses of oriental melon, suitable fruiting time far the pollination by bees was decided after middle days of the March. Chromaticity and especially the value of 'a' of fruit of oriental melon pollinated by bees were higher than those of growth regulators. The percentage of fermented fruits of bee pollinated and growth regulators treated was $6.7\~9.1\%\;and\;28.1\%$, respectively. The weight of 100 seeds of bees pollinated were higher than that of growth regulators. The more increased the weight of 100 seeds the less appeared the rate of fermented fruits. The percentage of marketable fruits of the honey and bumble bee pollinated and that of growth regulators treated was $82\%,\;80.3\%\;and\;62.5\%$, respectively. The decreasing rate of fruit weight during storage of bees pollinated was less than those of growth regulators. In these results, the introduction of honey bee and bumble bee for the pollination of oriental melon was able to labor-saving of fruit set and increase of fruit quality.

참외 착과 생력화 및 품질향상을 위하여 사계절꿀참외에 성주토좌호박을 합접하여 꿀벌 및 호박벌 방사구와 착과제 처리구를 비교하였다 꿀벌 및 호박벌 방사구에 비하여 착과제 처리구에서 과중이 무겁고 과육두께가 두꺼운 경향이었으나 당도 및 경도는 꿀벌 및 호박벌 방사구에서 높은 경향이었다. 2월 하순부터 3월 상순까지의 착과율은 착과제 처리구의 $95\%$에 비하여 꿀벌은 $46\%$, 호박벌은 $45\%$로 착과율이 낮았으나, 3월 중순부터는 꿀벌, 호박벌 방사구 및 착과제 처리구 공히 착과율이 $98\%$이상으로 높아 참외 시설재배시 벌을 이용한 착과 시기는 3월 중순이후가 적당한 것으로 판단되었다. 과실의 색도는 착과제 처리구에 비하여 꿀벌 및 호박벌 방사구에서 우수한 경향이었으며 특히 a값이 높았다. 발효과율은 착과제 처리구의 $28.1\%$에 비하여 꿀벌 및 호박벌 방사구에서 각각 $95\%,\;9.1\%$천 매우 낮았으며, 백립중은 착과제 처리구의 0.08g에 비하여 꿀벌 및 호박벌 방사구에서 각각 0.17g, 0.15g으로 무거워 백립중이 무거우면 무거울수록 발효과율이 감소하였다. 기형과율은 착과제 처리구에 비하여 꿀벌 및 호박벌 방사구에서 다소 높았으나 상품과율은 착과제 처리구의 $62.5\%$에 비하여 꿀벌 및 호박벌 방사구에서 각각 $82\%$$80.3\%$로 높았다. 과실의 감모율을 조사한 결과, 착과제 처리구에 비하여 꿀벌 및 호박벌 방사구에서 수확한 과실의 감모율이 적었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 볼 때 꿀벌 및 호박벌의 도입으로 참외 착과 생력화가 가능하고 품질향상이 가능함을 알 수 있었다. 포장재 종류별로 포장재가 두꺼울수록 greening의 진행이 지연되는 경향을 보였다. Greening을 수치화 할 수 있는 엽록소 함량은 역시 저장온도가 낮은 $1^{\circ}C$$10^{\circ}C$보다 낮았고, 역시 이산화탄소 농도가 가장 높았던 50um LDPE필름에서 가장 낮은 함량을 보였는데 포장재 내부의 이산화탄소 함량과 총 엽록소 함량과의 상관관계를 조사한 결과 상관계수(r)가 $1^{\circ}C$에서 0.926 $10^{\circ}C$에서는 0.997로 고도의 상관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Greening을 제외한 외관상 품질은 저온인 $1^{\circ}C$에서 높게 유지되었고 포장재별로는 $1^{\circ}C$에서는 50um LDPE 필름이 $10^{\circ}C$에서는 25um LDPE필름에서 가장 높은 점수를 나타내었다. 비타민 C 함량도 저온에서 높게 유지되었으며 필름종류별로는 25um와 50um LDPE 필름에서 가장 높았다. 이상의 결과로 보아 치콘의 저장 및 유통시 $1^{\circ}C$에서는 50um LDPE 필름이 $10^{\circ}C$에서는 25um LDPE 필름이 포장재로 적합한 것으로 사료된다. 또한 약간의 빛으로 greening이 급격히 진행되므로 판매과정에서 암조건을 유지하는 것이 필요하리라 생각된다.따라서 우리나라 집단급식소의 위생관리 실태를 완전하게 파악하기 위해서는 더 많은 연구자들이 급식소의 위생관리 실태조사에 참여하고, 이를 데이터베이스화하여 객관적으로 평가하는 작업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Keywords

References

  1. Ahn, C.K., J.S. Choe, Y.C. Um, I.W. Cho, I.C. Yu and J.C. Park. 1988. Effects of bee pollination and growth regulators treatment on preventing the malformation and accelerating the growth of strawberry fruit. Res. Rept. RDA(H) 30(3):22-30 (in Korean)
  2. Bewley, W.F. 1963. Commercial glasshouse crops London: country life. p. 523. Revised edition
  3. Chilgok, Agriculture Technology Center. 1998. The analysis of the results of questionnaire in honeybee melon. p. 1-3 (in Korean)
  4. Cho, J.L., Y.B. Park, J.C. Park and S.M. Kang. 1985. Effects of plant growth regulators on the fruit set, growth and development of oriental melon. J. Inst. Agr. Res. Util. Gyeongsang Natl. Univ. 19:19-20 (in Korean)
  5. Choi, S.K. 1998. Effects of fruit setting and cultural practices on the growth, fruit composition, and fermented fruits of oriental melon(Cucumis mela L. var. makuwa Mak.). PhD Thesis. Youngnam University (in Korean)
  6. Sanders, T.W. and J. Lansdell. 1924. Grapes, peaches and melons and how to grow them. London. Collingridge. p. 130-142
  7. Shin, Y.S., S.K. Choi, I.K. Yeon, H.W. Do and B.S. Choi. 1998. Cultivation survey of oriental melon (Cucumis mela L. var. makuwa) in Songju region. RDA. J. Hort. Sci. 40(2):72-77 (in Korean)
  8. Tanabe, K. 1998. Culture technique and physiology of a pear tree. p.143-148. II. New Agricultu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