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실시간 디지털 정보서비스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Real Time Digital Information Service

  • 발행 : 2005.03.01

초록

본 연구에서는 미국 도서관에서 행해지고 있는 실시간 정보서비스를 소개하고 13개 도서관을 대상으로 현황 조사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도서관에서 사용된 소프트웨어로는 AOL Instant Messenger, Conference Room from WebMaster, LivePerson 등의 순이었으며 이용시간대는 주로 일반 참고봉사 업무시간과 비슷한 곳이 많았고 이용자는 주로 해당대학 및 회원기관의 학생 및 교직원, 졸업생들로 제한하고 있으며 일부 도서관에서는 특별한 제한 없이 사용가능하였다. 또한 이 연구에서는 미국 의회도서관 실시간 참고서비스를 실제로 이용한 결과 즉각적인 해답을 얻을 수 있고, 사서와 인터액티브 방식으로 서비스를 하기 때문에 참고서비스를 효율적으로 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This paper outlines the concept of real time reference service(RTRS). Then, it analyzes real time reference service in the 13 libraries for effective reference service. As a result, the most used software was AOL instant Messenger, followed by Conference Room from WebMaster, and LivePerson. Hours of service was generally same as reference desk hours. The users were Students. faculty, staff, and alumni, This study also demonstrated how the RTRS in LC works. The results showed that real time reference was able to response to patrons quickly for reference questions with interactive method.

키워드

참고문헌

  1. 김석영. 2003. 디지털참고정보서비스의 최근 개발동향. '정보관리학회지', 19(4): 213-232
  2. 김선미, 이나니. 2003. 온라인참고정보원 서가구축 과정에 관한 연구. '국회도서관보', 40(1): 29-46
  3. 김지현. 2000. '대학도서관 전자참고서비스 운영방안에 관한 연구'. 석사학위논문,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4. 김현희, 최지연. 1996. 전자우편을 이용한 전자참고서비스에 관한 연구. '국회도서관보', 33(5): 55-65
  5. 김형규. 1999. '대학도서관의 전자게시판 활용에 관한 연구', 석사학위논문, 연세대학교대학원
  6. 김휘출. 2001. 디지털참고봉사의 개념적 구조에 관한 연구. '국회도서관보', 38(1) : 65-81
  7. .1999. 웹기반 참고정보원 사이트의 구축에 관한 연구.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30(4): 229-254
  8. 박준식. 2000. 인터넷기반 참고질의 시스템개발에 관한 연구. '한국사립대학교 도서관협의회 제20차 세미나 자료집'
  9. 서용규, 김성희. 2003. 공공도서관 전자참고서비스 활성화 방안에 관한 연구. '인문학연구'. 중앙대학교 인문학연구소, 36 : 111-138
  10. 정동열, 김지현. 2000. 대학도서관 전자참고서비스 운영방안에 관한 연구. '국회도서관보'. 37(5): 30-57
  11. 정동열, 1997. 전자정보 관리시스템 분석 및 적용모형 개발에 관한 연구. '한국정보관리학회지', 14: 85-104
  12. Abels, Eilen G. & Liebscher, Peter. 1994 'A New Challenge for Intermediary-Client Communication : The Electronic Network.' The Reference Librarian, 41: 185-196
  13. A. R. McElroy and J. L. Bate. 1982 'User Education for Life?.' Library Review, (31) : 8
  14. Chowdhury, Gobinda G. 2002 'Digital Library and Reference Services : Present and Reference.' Journal of Documentation, 58(3): 258-283 https://doi.org/10.1108/00220410210425809
  15. Curtis, Susan and Barbara Mann and Cooperative Reference Services Committee. 2002 'Cooperative Reference : Is There a Consortium Model?.' Reference & User Services Quarterly, 41(4): 344-349
  16. Gray, Suzanne M. 2000 'Virtual Reference Services.' Reference & User Information Science and Technology, 52(13): 1106-1121
  17. Janes, Joseph. 2002 'What is Reference for?.' RUSA Forum on the Future of Reference Services, ALA, 2002
  18. Koyama, Janice T. 1998 'http://digiref.scenarios.issues.' Reference and User Services Quarterly, 38(1) : 51-53
  19. Moore. Amanda. 1998 'As I Sit Studying: WWW-Based Reference Services.' Internet Reference Services Quarterly, 3(1): 29-36 https://doi.org/10.1300/J136v03n01_06
  20. Moyo, Lesley M. 2002 'Reference Anytime Anywhere : Towards Virtual Reference Services at Penn State.' The Electronic Library, 20(1) : 22-28 https://doi.org/10.1108/02640470210418236
  21. Schilling-Eccles. Katherine and Joseph J. Harzbecker, Jr. 1998 'The Use of Electronic Mail at the Reference Desk : Impact of a Computer-mediated Computer-mediated Communication Technolgy Librarianclient Interactions.' Medical Reference Services Quarterly, 17(4) : 17-28 https://doi.org/10.1300/J115v17n04_02
  22. Sloan, Bernie. 1998 'Service Perspective for the Digital Library Remote Reference Services.' Library Trends, 47(1): 117-143
  23. Tyckoson, David A. 2001 'What is the Best Model of Reference Service?.' Library Trenda, 50(2): 183-196

피인용 문헌

  1. A Case Study of the CDRS for Effective Operation of Collaborative Digital Reference Service in Korea vol.45, pp.1, 2011, https://doi.org/10.4275/KSLIS.2011.45.1.011
  2. A Study on the Implementation of an SDI Profiler System for Enhancing the SDI Services in University Libraries vol.43, pp.3, 2009, https://doi.org/10.4275/KSLIS.2009.43.3.313
  3. The Modeling of Scholarly Information Services in Order to Support Lecture and Research Activities for Faculties-Based Web 2.0 in Korea University Libraries vol.44, pp.1, 2010, https://doi.org/10.4275/KSLIS.2010.44.1.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