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Behaviour Characteristics of Strength and Deformation of the Deposited Soft Clay Owing to Contamination

퇴적 연약점토의 오염에 따른 강도 및 변형 거동특성

  • 천병식 (한양대학교 공과대학 토목공학과) ;
  • 하광현 (한양대학교 대학원 토목공학과)
  • Published : 2005.08.01

Abstract

The chemical property analysis on the deposited clay using scanning electron microscope and energy dispersive x-ray spectrometer were performed. Also, the triaxial compression tests and consolidation tests using NaCl aqueous solution and leachate as substitute pore (or saturated) water in samples were carried out to find out the behaviour characteristics of strength and deformation of contaminated deposited clay. from the chemical composition analysis results of clay samples, the magnitudes of composition ratio were revealed in the order of O, C, Si, Al, and Fe. Of these, why the ratio of carbon appeared to be large is estimated as due to the increase of the phyto-planktons after the construction of tide embankment. In the triaxial compression test and consolidation test results, the shear strength and compression properties have increased with the increase in concentration of contaminant (NaCl). This phenomenon is considered as to be caused by the changes of soil structure to flocculent structure owing to the decrease in the thickness of diffuse double layer in proportion to increase in the concentration of electrolyte.

채취된 퇴적 점토시료의 화학적 특성을 규명하기 위하여 주사전자현미경(SEM) 관찰과 에너지분산분광(EDX) 분석을 수행하였다. 또한 생활하수 및 산업폐수의 유입으로 오염된 퇴적점토의 강도 및 변형특성 변화를 파악하기 위하여 NaCl 수용액과 매립장 침출수를 시료의 간극수 또는 포화수로 교체하여 삼축압축시험과 압밀시험을 실시하였다. 점토시료에 대한 화학성분 분석결과 구성비 크기는O, C, Si, Al, Fe순서를 보이고 있으며, 이 중에서 C의 비율이 높게 나타난 것은 방조제 축조로 인한 식물 플랑크톤의 증식에 기인된 것으로 추정된다. 삼축압축시험 및 압밀시험결과, NaCl의 농도가 증가할수록 전단강도는 증가하고 압축성이 커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전해질의 농도가 증가할수록 확산이중층(DDL)의 두께가 감소되어 흙의 구조가 면모화되기 때문인 것으로 판단된다.

Keywords

References

  1. 민덕기, 황광모, 강문기 (2000), '울산 퇴적 점토의 화학적, 광물학적 특성', 한국지반공학회논문집, 제16권, 제6호, pp.51-58
  2. 박정기, 오재경 (1991), '한강하구 및 경기만에서의 점토광물에 대한 연구', 한국해양학회지, 제26권, pp.313-323
  3. 신동혁, 금병철, 박은영, 이희일, 오재경 (2004), '방조제 건설후 이원 대조차 조간대의 계절별 퇴적학적 특성 및 퇴적환경', 한국지구과학회지, 제25권, 제7호, pp.615-628
  4. 심무준, 김은수, 김경태, 이기복, 강화성, 이광우 (1998), '시화호 퇴적물의 유기탄소, 황 및 중금속 분포', 한국물환경학회지, 제14권, 제4호, pp.469-482
  5. 안태봉 (1997), '염분이 모래와 벤토나이트 혼합토의 응력변형에 미치는 영향', 한국지반공학회지, 제13권, 제2호, pp.17-27
  6. 이연규, 황진연, 정규귀, 최정민 (1996), '광양만 및 여수해만 퇴적환경 변화-퇴적물 특성과 점토 광물 분포를 중심으로', 한국지구과학회지, 제16권, pp.407-416
  7. 최만식, 천종화, 우한준, 이희일 (1999), '시화호 표층퇴적물의 중금속 및 퇴적상 변화', 한국환경과학회지, 제18권, 제5호, pp 593-600
  8. 최진용, 김석윤 (1998), '한반도 주변해역 점토광물의 함량과 분포', 한국지구과학회지, 제19권, 제5호, pp.524-532
  9. Grim, R. E. (1939), 'Relation of the composition to the properties of clay', J Amer. Ceram. Soc., Vol.22, pp.141-151 https://doi.org/10.1111/j.1151-2916.1939.tb19440.x
  10. Gruner, J. W. (1932), 'The crystal structure of kaolinite', Z. Kristallogr, Vol.83, pp.75-88
  11. Hofmann, U., Endell, K., and Wilm, D. (1933), 'Kristallstruktur und Quellung von Montmorillonit', Das Tonmineral der Bentonittone, Z. Kristallogr, Vol.86, pp.340-348
  12. Madsen, F. T. and Mitchell, J. K. (1987), 'Chemical Effects on Clay Hydraulic Conductivity and Their Determination', Geotechnical Practice for Waste Disposal, ASCE, ASTM, Geotechnical Special Publication
  13. Moum, J. and Rosenquist, I. (1961), 'The Mechanical Properties of Montmorillonite and lllitic Clays Related to the Electrolytes of the Pore Water', Proceeding, 5th Int. Conference on Soil Mechanics and Foundation Engineering, Vol.1, 263page
  14. Stawinnski, J., Wierzchos, J., and Garcia-Gonzalez, M. T. (1990), 'Influence of Calcium and Sodium Concentration on the Microstructure Bentonite and Kaolin', Clay Miner., Vol.38, No.6, pp. 617-622 https://doi.org/10.1346/CCMN.1990.03806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