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stract
Researches on the actual condition of the management of reading circles at 1991, 1999 and the third 2004 are analyzed and compared mutually in order to observe the process of development of reading circles because the management of reading circles in public libraries play an important role in activating reading activity. Public libraries increase twice in number than first research and take interest in the management of reading circles to activate reading activity, so public libraries are in full activity to organize and manage reading circles by themself, secure a budget for reading circles and supply spaces for reading activity constructively. However, development of the reading activity program and positioning of experts in management of reading circles have been remained as non solved problems.
공공도서관의 독서회 운영은 독서활동을 활성화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하기 때문에 독서회 발전과정을 살펴보기 위하여 그 동안 독서회 운영에 관한 실태조사를 1991년 1999년 2번 실시했었는데 2004년에 3번째 실시하여 그 결과를 서로 비교 분석했다. 공공도서관의 개관은 처음 실태를 조사할 때보다 배로 증가하였으며, 독서회운영에도 많은 관심을 보여 공공도서관의 독서활동을 활성화되고 있는데, 공공도서관 자체에서 독서회를 조직하여 운영하는 현상이 아주 적극적으로 나타났으며, 운영 예산도 많이 확보하고, 독서활동 장소도 적극적으로 제공해 주고 있다. 그러나 독서활동 프로그램의 개발과 독서회 운영 전담 전문가의 배치는 여전히 독서회 운영의 과제로 남아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