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stract
Yeonhaengrok is a document recorded by one member of the envoy sent to the China from 17 to 19 century. Ik-mo Lee, a member of the envoy, wrote a full explanation of the visit from Nov. 24 1796 to Mar. 7 1797 in his writing $\ulcorner$Byongjin Yeonhaengrok${\lrcorner}$. $\ulcorner$Byongjin Yeonhaengrok${\lrcorner}$, which is omitted in the complete collection of $\ulcorner$Yeonhaengrok${\lrcorner}$, has been newly found at the Family of Suwon Baek's house locating at the Sanggum Vil., Yongsan Town, Jangheung County of Chonnam Province. $\ulcorner$Byongjin Yeonhaengrok${\lrcorner}$ contains an historical meaning that it is an official record of the official envoy that was sent first after the Injong's enthronement in China. This study observed the bibliographical features of $\ulcorner$Byongjin Yeonhaengrok${\lrcorner}$, the time of the transcription, the progress of receiving by the Suwon Baek family. And certified the details of the Byongjin envoy, going and returning between Hanyang and Beijing, staying schedules of the envoy in Beijing.
연행록은 17세기부터 19세기에 이르기까지 중국의 연경을 사행하고 돌아 온 사행사의 일원에 의해 쓰여진 기록이다. 이익모가 저술한 병진연행록은 사은겸동지사 서상관인 이익모가 1796년 11월 24일부터 익년 3월 7일까지 매일 매일의 일정을 생생하게 기록한 연행록이다. 이 연행록은 임기중의 $\ulcorner$연행록전집${\lrcorner}$ 에도 누락된 새로 발견된 연행록이며, 전라남도 장흥군 용산면 상금리(금곡)에 위치한 수원 백씨 종가에서 새로 발견되었다. 특히 병진연행록은 청의 건륭황제(고종)가 옹염(인종)에게 선위 의식을 거행한 후 첫 번째에 해당하는 정규 사절단의 공식 기록이라는 역사적 의미를 담고 있는 중요한 문헌이다. 이 연구는 이익모의 연행록에 대하여 서지적 특징과 연행록의 필사시기 및 수원 백씨 종가에 입수된 과정, 그리고 연행록에 수록된 내용을 중심으로 병진 사행의 3사신, 북경까지의 왕복 노정 및 북경에서의 체류 일정 등에 대해 살펴보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