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Effect of Nitrogen Fertilizer Level and Mixture of Small Grain and Forage Rape on Productivity and Quality of Spring at South Region in Korea

남부지방 봄철 질소 시비수준 및 사료작물과의 혼파가 사료용 유채의 생산성 및 사료가치에 미치는 영향

  • Published : 2005.09.01

Abstract

These experiment was conducted to determine the effect of nitrogen fertilizer levels and mixture small grains on productivity and quality of spring forage rape at south region of Korea(Mokpo). The experiment was arranged in a split plot design with three replications. The main plots consisted of three different levels of nitrogen fertilizer(100, 150 and 200 kg/ha). The sub plots consisted of five kinds of mixed small grain species(Rye, Oat, Barley, Italian ryegrass, and Rape monoculture). The results obtained are summarized as follow. Dry matter(DM) content of Rye + Rape and Ba.ley + Rape mixtures were increased by $2\~3\%$ compared to Rape monoculture. The high level of nitrogen application increased the fresh matter yield, and yield of Rye + Rape and Rape monoculture were higher than that of others. Dry matter yield of Rye + Rape mixture and Rape monoculture with 200kg/ha of nitrogen application were higher by 9,449 and 9,227 kg/ha, respectively. The crude protein(CP) content of rape was high as $18.6\%$ while average CP content was $16\%$. The average total digestible nutrient(TDN) content showed high as $70\%$. It is suggested the Rye + Rape mixture or Rape monoculture would recommendable for spring usage of rape at south region of Korea.

본 시험은 국내에서 육성된 사료용 유채의 이용성을 증진시키기 위하여 질소 시비수준과 화본과 사료작물과의 혼파를 통하여 품질 및 생산성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포장시험은 농촌진흥청 작물과학원 호남농업연구소 목포시험장 시험포장에서 수행되었고 혼파된 화본과 사료작물은 호밀, 귀리, 보리 및 이탈리안 라이그라스이었으며 질소시비 수준은 100, 150 및 200kg/ha이었다. 남부지방 봄 이용시 혼파로 인한 건물 함량 증가는 $2\~3\%$로 큰 효과는 없먼으며 유채+호밀, 유채+보리 혼파구에서 높게 나타났다. 수량에 있어서는 질소 시비량이 증가함에 따라 생초수량은 증가되었으며 초종별로는 유채+호밀 혼파구와 유채 단파구에서 높게 나타났다. 건물수량은 질소 200kg/ha 시용시 유채+호밀 및 유채단파구에서 각각 9,449 및 9,227kg/ha로 높은 수준의 수량을 보였다. 사료가치에 있어서는 조단백질 함량이 평균 $16\%$ 내외로 나타났으며 유채는 $18.6\%$로 높았다. TDN 함량에 있어서도 $70\%$ 내외로 매우 높게 나타나 봄철 남부지방에서는 유채를 이용할 때 유채 단파 또는 유채+호밀을 혼파하여 이용하는 것이 유리한 것으로 판단되었다.

Keywords

References

  1. 김동암, 신정남, 최기춘, 권찬호, 금종성, 민두홍. 1997. 목초 및 사료작물 정부장려품종의 지역 적응성 평가, II. 유채품종의 사료수량 및 사료가치. 한초지 17(3):231-238
  2. 김병호, 김태환, 김기원, 정우진, 전해열. 1995. 저장탄수화물과 질소의 월동성과 재생황력에 대한 이용성 I. 저온처리가 유채의 생육, 질소 및 비구조성 탄수화물의 총 함량에 미치는 영향. 한초지 15(3):157-163
  3. 김태환, 김기원, 정우진, 전해열, 김병호 1995. 저장탄수화물과 질소의 월동성과 재생활력에 대한 이용성. II. 추파유채의 파종밀도가 월동중 저장 유기물 함량 및 수량에 미치는 영향. 한초지 15(4):231-237
  4. 농촌진흥청. 2005. 조사료. 제13장 가축 유해성 물질의 종류 및 경감기술. 농촌진흥청
  5. 안계수, 권병선, 이치로고토. 1989a. 사초용 유채 (Brassica napus Subsp. oleifera)의 생산성과 사료 가치에 관한 연구. IV. 파종기가 사초용유채의 생육특성, 수량 몇 영양가치에 미치는 영향. 한초지 9(2): 103-107
  6. 안계수, 권병선, 이치로고토. 1989b. 사초용 유채 (Brassica napus Subsp. oleifera)의 생산성과 사료 가치에 관한 연구. IV. 재식밀도 차이가 사초용 유채의 생육특성, 수량 및 영양가치에 미치는 영향. 한초지 9(2): 108-112
  7. 이효신, 손대영, 조진기.1997. Acid Phosphatase 유전자 도입에 의한 유채의 형질전환. 한초지 17(3):285-292
  8. 이효신, 정민섭, 조진기. 1998. Glutathione reductase 유전자 도입에 의한 유채의 형질전환. 한초지 18(1):69-76
  9. 조무환, 김동암. 1988. 질소 시비수준과 첨가제가 사료용 유채의 사료가치 및 사일리지의 품질에 미치는 영향. I. 예취시기 및 질소 시비수준이 수량 및 사료가치에 미치는 영향. 한초지 8(1): 33-39
  10. 조무환, 김동암, 서 성. 1988. 질소 시비수준과 첨가제가 사료용 유채의 사료가치 및 사일리지의 품질에 미치는 영향. II. 질소 시비수준과 포름알데히드 처리가 유채 사일리지의 품질에 미치는 영향. 한초지 8(1):40-46
  11. Anderson, R. 1983. The effect of extended moist wilting and formic acid additive on the conservation as silage of two grasses differing in total nitrogen content. J. Sci. Food Agric. 34:808-818 https://doi.org/10.1002/jsfa.2740340808
  12. Association of Official Analytical Chemists. 1995. Official Methods of Analysis. (16th ed.). AOAC, Arlington, Virginia
  13. Barnes, R.F., D.A. Miller and C.J. Nelson. 1995. Forages. 5th ed. Iowa State University Press, Ames, Iowa
  14. Goering, H.K. and P.J. Van Soest. 1970. Forage fiber analysis. Agric. Handb. 379, U. S. Gov. Print. Office, Washington, DC
  15. Harlan, J.R. 1971. Agricultural origins: Centers and non-centers. Sci. 174:468-474 https://doi.org/10.1126/science.174.4008.468
  16. Jacobson, W.C. and H.G. Wiseman. 1963. Nitrate disappearance in silage. J. Dairy Sci. 46:617-618
  17. Jung, G.A., R.E. Kocher and A. Glica. 1984. Minimum-tillage forage turnip and rape production on hill and as influenced by sod suppression and fertilizer. Agron. J. 76:404-408 https://doi.org/10.2134/agronj1984.00021962007600030011x
  18. Kalmbacher, R.S., P.H. Everett, F.C. Martin and G. A. Jung. 1982. The management of Brassica for winter forage in the subtropics. Grass & Forage Sci. 37:219-225 https://doi.org/10.1111/j.1365-2494.1982.tb01599.x
  19. Moore, J.E. 1970. Procedure for the two-stage in vitro digestion of forage. University of Florida, Department of Animal Science
  20. Ohshima, M., K. Oouchi and N. Kukino. 1978. The relation between the silage quality and the reduction of nitrate during ensilage. Tech. Bull. Fac. Agric. Kagawa Univ. 30: 19-24
  21. Patras, J. and D. Pinzariu. 1983. Doubling cropping, ensures a very economical forage conserve. Herb. Abst. 53(2):714
  22. SAS Institute, Inc. 1999. SAS user's guide : Statistics. SAS Inst., Inc., Cary, NC
  23. Tilley, J.M.A. and R.A. Terry. 1963. A two-stage technique for in vitro digestion of forage crops. J. Bri. Grassl. Soc. 18:119-128 https://doi.org/10.1111/j.1365-2494.1963.tb00337.x
  24. Toosey, R.D. 1972. Profitable fodder cropping. London: Ipswich Farming Press

Cited by

  1. Effect of Italian Ryegrass Mixtures on Forage Production and Soil Characteristics in Dry Riverbed of Ansancheon vol.34, pp.1, 2014, https://doi.org/10.5333/KGFS.2014.34.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