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enesis of the acidic metavolcanic rocks distributed around the Chungju iron deposit in the Gyemyeongsan Formation

계명산층 내의 충주 철광상 주변에 분포하는 산성 변성화산암의 성인

  • Park Maeng-Eon (Department of Environmental Geosciences, Pukyong National University) ;
  • Kim Gun-Soo (GNH Engineering Co., Ltd.) ;
  • Park Kye-Hun (Department of Environmental Geosciences, Pukyong National University)
  • 박맹언 (부경대학교 환경지질과학과) ;
  • 김근수 (경남한일개발주식회사) ;
  • 박계헌 (부경대학교 환경지질과학과)
  • Published : 2005.09.01

Abstract

Acidic metavolcanic rocks distributed around the Chungju iron deposit show significantly high abundances of rare earth elements and high field strength elements. Relatively high ${\epsilon}_{Nd}$(0) values and lack of negative Nb anomaly suggest that assimilation of crustal material is not involved in their generation. They are plotted within the within-plate environment according the tectonic discrimination diagrams. Such geochemical characteristics are very similar to the acidic metavolcanic rocks of Munjuri Formation. They also show geochemical characteristics of Al-type magma of Eby (1992). All such diagnostic characters indicate differentiation of mantle-derived magma produced from the rift environment, related to the breakup of continent. In contrast to the alkali granites and the rare metal deposit both having age of c. 330 Ma, Sm-Nd isotopic data of the acidic metavolcanic rocks do not form well defined isochron. However, the alkali granites reveal low ${\epsilon}_{Nd}$(0) values, while the acidic metavolcanic rocks and the rare metal deposit both have significantly higher ${\epsilon}_{Nd}$(0) values. Considering such differences, we propose following generation hypothesis: The acidic metavolcanic rocks around Chungju iron deposit was erupted at 750 Ma as rest of the acidic metavolcanic rocks of Gyemyeongsan and Munjuri Formations. About 330 Ma ago, partial melting of existing Al-type igneous materials and some old crustal materials produced alkali granite. The rare metal deposit was also produced by redistribution of related materials within the acidic volcanics due to hydrothermal activities occurred at the same time. Sm-Nd isotopic systematics of the acidic metavolcanic rocks were disturbed during the regional metamorphic event at ca. 280 Ma.

계명산층 내의 충주 철광상 부근에서 산출되는 산성 변성화산암들은 매우 높은 희토류 원소 및 고장력 원소 농도를 갖는다. 비교적 높은 ${\epsilon}_{Nd}$(0) 값과 결여된 Nb(-) 이상치는 이들의 형성에 지각물질에 의한 혼염이 수반되지 않았음을 시사한다. 또한 지구조 판별도에서 판내부 환경에 도시된다. 이러한 지구화학적 특징들은 750Ma의 연대를 보이는 문주리층의 산성변성화산암과 매우 비슷하다. 이들은 Al-형(Eby, 1992)에 분류되는 마그마의 지구화학적 특징을 나타내며, 대륙의 분열과 관련된 열곡환경에서 맨틀기원의 마그마가 분화되어 생성되었음을 지시한다. 약 330Ma의 연대를 보이는 충주 철광상 부근의 알칼리 화강암 및 희유금속광상과는 달리 동일지역에서 산출되는 산성 변성화산암들의 Sm-Nd 동위원소 자료는 명확한 동시선을 형성하지 않는다. 또한 낮은 ${\epsilon}_{Nd}$(0) 값을 갖는 알칼리 화강암과는 달리 산성 변성화산암과 희유금속광상은 비교적 높은 ${\epsilon}_{Nd}$(0) 값을 갖는다. 이러한 차이에 근거하여 다음과 같은 생성가설을 제시한다: 계명산층 내의 충주 철광상 부근에 분포하는 산성 변성화산암은 계명산층의 다른 지역과 문주리층 내의 산성 변성화산암들과 마찬가지로 신원생대인 750Ma에 생성되었다. 약 330Ma 경에 기존 Al-형 화성암과 일부 오래된 지각물질의 용융으로 알칼리 화강암이 생성되었다. 이와 동시에 열수작용으로 인한 산성 화산암 내의 물질 재배치로 희유금속광상이 형성되었으며, 뒤이은 약 280Ma경의 광역변성작용시 산성 변성화산암의 Nd-Sm 동위원소계가 교란되었다.

Keywords

References

  1. 강지훈, 류충렬, 1997, 충주 계명산지역 옥천변성대의 화성 활동과 지질구조. 암석학회지, 6, 151-165
  2. 고상모, 김종환, 박계헌, 2005, 옥천변성대 충주지역의 신 원생대 A-형 화성활동. 암석학회지, 14, 157-168
  3. 고정선, 윤성효, 이상원, 1996, 경주 남산일대의 A-형 화강암의 암석학 및 지화학적 특성. 암석학회지, 5, 142-160
  4. 김기완, 이홍규, 1965, 한국지질도, 1:50,000 충주도폭. 국립지질조사소
  5. 김용준, 조등룡, 이창신, 1998, 한반도 남서부 남원 일대에 분포하는 A형 대강 화강암의 암석학, 지화학 및 지구조적 의미. 자원환경지질, 31, 399-413
  6. 김종환, 박중권, 고상모, 1995, 옥천층군의 지질과 광상. 한국자원연구소 기본연구사업 보고서. KR-95(B)-4, 1-51
  7. 김진섭, 박맹언, 김근수, 1998, 충주지역 계명산층 내에 산출하는 알카리 화강암의 지구화학적 연구. 자원환경지질, 31, 349-360
  8. 나기창, 김형식, 이동진, 이상헌, 1982, 충주층군과 서산층군의 비교연구. 광산지질, 15, 177-188
  9. 박맹언, 김근수, 1995, 충주지역 희토류 광상의 성인: 산출 상태와 지화학적 특성. 자원환경지질, 28, 59-612
  10. 박맹언, 김근수, 1998, 계명산층 페그마타이트에 수반되는 우라늄.토륨 광상의 지구화학적 연구. 자원환경지질, 31, 365-374
  11. 박맹언, 김근수, 최인식, 1997, 계명산층내 알카리 화강암 기원의 Nb-Y 광화작용에 수반되는 퍼구소나이트의 지구 화학 및 산출특성 연구. 자원환경지질, 30, 395-406
  12. 박종길, 김성원, 오창한, 김형식, 2003, 옥천변성대 북서부 계명산층 내 변성화산암류의 지구화학 및 지구연대학적 연구와 그 지구조적 의의. 암석학회지, 12, 155-169
  13. 박종길, 김성원, 오창환, 2004, 옥천변성대 북동부 계명산층 변성화성암에 대한 시생대 연령의 해석의 문제점 및 재해석. 암석학회지, 13, 244-246
  14. 오민수, 1989, 어래산지역의 갈렴석광상. 광산지질, 22, 151-166
  15. 이대성, 장기홍, 이하영, 1972, 옥천계내 향산리돌로마이트 층에서의 Archaeocyatha의 발견과 그 의의. 지질학회지, 8, 191-197
  16. 임명혁, 김영엄, 장태우, 1991, 충주지역 대향산 규암층 주변일대의 변형량 분석 및 변형작용사. 지질학회지, 27, 191-199
  17. 조문섭, 김태훈, 김현철, 2004, 옥천변성대 규장질 변성응 회암의 SHRIMP U-Pb 저어콘 연대: 신원생대(약7.5억년 전) 화산활동. 암석학회지, 13, 119-125
  18. Cluzel, D., 1992, Ordovician bimodal magmatism in the Ogcheon belt (South Korea): intracontinental rift-related volcanic activity. J. Southeast Asian Earth Sci., 7, 195- 209 https://doi.org/10.1016/0743-9547(92)90054-F
  19. Cheong, C.-S., Jeong, G.Y., Kim, H., Choi, M.-S., Lee, S.- H. and Cho, M., 2003, Early Permian peak metamorphism recorded in U-Pb system of black slates from the Ogcheon metamorphic belt, South Korea, and its tectonic implication. Chem. Geol., 193, 81-92 https://doi.org/10.1016/S0009-2541(02)00227-9
  20. Eby, G.N., 1992, Chemical subdivision of the A-type granitoids: petrogenetic and tectonic implications. Geology, 20, 641-644 https://doi.org/10.1130/0091-7613(1992)020<0641:CSOTAT>2.3.CO;2
  21. Kim, G.-S., Park, M.-E., and Enjoji, M., 1994, Banded and massive iron mineralization in Chungju Mine(I): Geology and ore petrology of iron ore deposit, Econ. Environ. Geol., 27, 523-535
  22. Kim, H., Cheong, C.-S., Cho, M. and Jeong, G.Y., 2005, Late Paleozoic metamorphism in the Ogcheon metamorphic belt, South Korea: U-Pb stepwise leaching ages of garnet affected by allanite inclusions. Proceed. Annual Joint Conf., Mineral. Soc. Korea and Petrol. Soc. Korea, 63
  23. Lee, H.-Y., Yu, K.M., and Lee, S.J., 1989, Microfossils from the limestone pebbles of the Hwanggangri Formation and the Hyangsanri Dolomite in the Okcheon Zone, South Korea. J. Paleont. Soc. Korea, 5, 91-101
  24. Lee, K.-S., Chang, H.-W., and Park, K.-H., 1998, Neoproterozoic bimodal volcanism in the central Ogcheon belt, Korea: age and tectonic implication. Precam. Res., 89, 47-57 https://doi.org/10.1016/S0301-9268(97)00077-6
  25. Lee, M.J., Lee, J.I., and Lee, M.S., 1995, Mineralogy and major element geochemistry of A-type alkali granite in the Kyeongju area, Korea. Jour. Geol. Soc. Korea, 31, 583-607
  26. Pearce, J.A., Harris, N.B.W. and Tindle, A.G., 1984, Trace element discrimination diagrams for the tectonic interpretation of granitic rocks. J. Patrol., 25, 956-983 https://doi.org/10.1093/petrology/25.4.956
  27. Reedman, A.J., Fletcher, C.J.N., Evans, R.B., Workman, R.B., Yoon, K.S., Rhyu, H.S., Jeong, S.W. and Park, J.N., 1973, Geological, geophysical and geochemical investigations in the Hwanggangni area Chungchong Pukdo. Rept. Geol. Mineral. Explor., PartII, Geol. Min. Inst. Korea, 1, 1-1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