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ubspace Method Based Precoding for MIMO Spatial Multiplexing

공간 다중화를 위한 부 공간 방식 Precoding 기법

  • 문철 (충주대학교 정보통신공학과) ;
  • 정창규 (충주대학교 정보통신공학과) ;
  • 박동희 (충주대학교 정보통신공학과) ;
  • 곽윤식 (충주대학교 컴퓨터공학과)
  • Published : 2005.10.01

Abstract

In this paper, for spatial multiplexing with limited feedback, we propose subspace based precoding in which the active bases are selected at the receiver from a finite number of basis sets known at both receiving and transmitting ends, conveyed to the transmitter using limited feedback, and assembled into a preceding matrix at the transmitter. The selected bases are conveyed to the transmitter using feedback information on both the index of a basis set, which indicates the most appropriate set of coordinates for describing a MIMO channel, and the active bases having the significant amounts of energy in the selected basis set. We show that the proposed subspace based precoding provides capacity similar to that of the closed-loop MIMO even with limited feedback.

본 논문에서는 제한된 피드백 정보를 사용하는 공간 다중화 기법에 사용될 수 있는 부 공간 방식 기반 preceding 기법을 제안한다. 제안된 preceding 기법은 수신기에서 다수의 공통 기저 집합(common basis sets)으로부터 용량을 최대로 하는 기저들을 선택하고, 선택된 기저들은 feedback 정보를 통해 송신기에 전달되고, 송신기에서는 선택된 기저들로 이루어진 precoding 행렬을 구성한다. 선택된 기저들은 해당 기저들이 속한 기저 집합의 index에 대한 feedback 정의와 선택된 기저 집합에서 각 기저들의 선택 여부에 대한 feedback 정보를 통해 송신기로 feedback된다. 선택된 기저 집합 index는 송수신기가 약속한 공통 기저 집합중에서 해당 MIMO 채널의 부 공간의 좌표(coordinate)에 가장 적합한 좌표를 나타내고, 해당 좌표에서 상당한 양의 에너지를 포함하는 기저들을 선택함으로써 적은 feedback 정보량으로 MIMO 채널을 묘사하다. 시뮬레이션을 통해 제안된 부 공간 방식 기반 precoding 기법이 적은 feedback 정보량을 사용하면서 폐루프 MIMO 용량 (closed-loop MIMO capacity)에 근접하는 용량을 제공함을 보인다.

Keywords

References

  1. D. J. Love and R. W. Heath Jr., 'Multi-mode precoding using linear receivers for Limited Feedback MIMO Systems,' in Proc. of ICC 2004, pp.448-452
  2. D. J. Love and R. W. Heath Jr., 'Grassmannian beamforming on correlated MIMO channels,' in proc. of globecomm 2004, pp .106-110
  3. W. Santipach and M. L. Honig 'Asymptotic performance of MIMO wireless channels with limited feedback,' in proc. military commun. conf. (MILCOM), pp. 411-146, Oct. 2003
  4. B. M. Hochwald, T. L. Marzetta, T. J. Richardson, W. Sweldens, and R. Urbanke, 'Systematic design of uruitary space-time constellations,' IEEE Trans. Info. Th., vol.46, pp.1962-1973, Sept.2000 https://doi.org/10.1109/18.868472
  5. J. Salz, and J.H. Winters, 'Efefct of fading correlation on adaptive arrays in digital mobile radio,' IEEE Trans. Veh. Technol., vol.43, no.4, pp.1049-1057, Nov. 1994
  6. D. J. Love and R. W. Heath, Jr., 'Multi-mode antenna selection for spatial multiplexing with linear receivers,' accepted to IEEE Trans. Signal Pocessi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