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urvey of Manager's Perception of Slaughter and Further Processed House for the Determination of Grading of Poultry Meat Cuts

닭고기 부분육 품질 등급 설정을 위한 도계 및 추가가공장 관리자 의식 조사

  • Chae H. S. (National Livestock Research Institute, RDA) ;
  • Yoo Y. M. (National Livestock Research Institute, RDA) ;
  • Ahn C. N. (National Livestock Research Institute, RDA) ;
  • Ham J. S. (National Livestock Research Institute, RDA) ;
  • Jeong S. G. (National Livestock Research Institute, RDA) ;
  • Lee J. M. (National Livestock Research Institute, RDA) ;
  • Choi Y. I. (Dept. of Animal Science, Chungbuk National University)
  • Published : 2005.09.01

Abstract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stablish a comprehensive guideline for grading system of poultry meat cuts. Slaughter and further processed houses were divided into large(>70,000 heads/day), middle($50,000\~25,000$ heads/day), and small scale(<25,000 heads/day), and the production managers were asked by the Questionnaire. Most poultry meat cuts produced by larger- and middle-slaughter house were consumed by dealers, franchisee and department store in increasing order, whereas further processed poultry meat cuts(small scale) provided meals for the students in the high amount. The packaging step was best f3r the determination of grading in the large slaughter house. This survey indicated that two or more grades were proper to determine the grading in the middle slaughter house, however only two grades were proper for the others. Freshness, bruise, wound, trimming and the inclusion of foreign materials affected to the grading. Poultry meat cuts were accepted for the grading in large-slaughter house, but whole poultry carcass was accepted for the grading in the others. Most managers agreed with that the grading system was only applied for the amounts requested. They also suggested that the grading system of poultry meat cuts were necessary in near future, even though it was not urgent to apply.

본 실험은 닭고기 부분육의 품질 등급을 설정하기 위한 기초 자료를 얻고자 시중 도계장을 대, 중, 소로 구분하여 생산 관리 책임자들을 대상으로 설문지에 의한 방문 조사를 실시하였다. 부분육의 주요 거래처는 대규모 및 중규모 도계장은 중간 상인, 프랜차이즈, 백화점 순이었으나 추가가공장은 단체 급식에 공급하는 비율이 높았다. 도계 과정에서 닭고기 부분육 등급 판정을 수행하기 적당한 곳은 대규모 도계장의 경우 마지막 포장 단계를 선호하였다. 닭고기 부분육 등급은 몇 단계를 선호하는지에 대한 응답은 대규모 도계장 및 추가 가공장은 2단계를 선호하였고 중규모 도계장은 $2\~3$단계를 선호하였다 추가 가공육에 대해서는 도계장 규모와 관계없이 1단계를 선호하였다. 등급 판정 요인으로는 신선도 멍, 외상, 트리밍(손질) 이물질 순으로 중요도를 표현하였다. 절단육에 대한 등급 판정은 중규모 도계장 및 추가 가공장에서는 통닭 상태에서 판정하는 것을 선호하였고 대규모 도계장에서는 절단육 상태에서 판정하자는 의견이 많았다. 닭고기 부분육의 등급 판정 물량에 대해서는 도계장 규모와 관계없이 신청한 물량에 대해서만 판정하자는 의견이 많았다. 부분육등급 판정 도입 시기는 도계장규모와 관계없이 지금 당장은 아니어도 도입되는 것이 좋다는 의견이 다수를 차지하여 닭고기 부분육에 대한 품질 등급제를 선호하였다.

Keywords

References

  1. UK MAFF 1999 Enforcement guide to EC poultry meat marketing standards regulations
  2. USDA 1998 United States Classes,Standards, and Grades for Poultry
  3. 日本 農林水産省 1993 食鷄 取引規格 第3章 生鮮品
  4. 농림부고시 1998 HACCP(Hazard Analysis Critical Control Point). 축산물가공처리법 제9조 축산물가공처리법시행규칙 제7조
  5. 농촌진흥청 농촌생활연구소 1996 식품성분표 제5개정판
  6. 이경택 안덕균 신민교 김창문 1997 완역 중약대사전. 도서출판정담
  7. 한국산업규격(KS 규격) 1994 통닭 및 부분육 1-6
  8. 한국육류유통수출입협회 2004 통계자료실 수입현황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