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mechanism of black core formation

블랙코어 형성 메커니즘

  • Park Jiyun (Department of Materials Engineering, Kyonggi University) ;
  • Kim Yootaek (Department of Materials Engineering, Kyonggi University) ;
  • Lee Ki-Gang (Department of Materials Engineering, Kyonggi University) ;
  • Kang Seunggu (Department of Materials Engineering, Kyonggi University) ;
  • Kim Jung-Hwan (Department of Materials Engineering, Kyonggi University)
  • Published : 2005.10.01

Abstract

The 10mm diameter aggregates made of clay, carbon and $Fe_2O_3$ were prepared to investigate the mechanism of black core formation. The specific gravity, absorption rate, percent of black core area, fracture strength, total Fe analysis, and XRF were measured at various compositions, sintering temperatures, sintering times, sintering atmospheres, and sintering methods. Small addition of $Fe_2O_3$ did not affect physical properties of the aggregates; however, the percent of black core area increased with increasing carbon contents and increasing sintering temperature. Specific gravity of the aggregates decreased and the water absorption ratio increased with increasing percent of black core area. The aggregates sintered at oxidation atmosphere showed clear border between shell and black core area. Hence, the aggregates sintered at reduction atmosphere showed only black core area in the cross-section of the aggregates. The specific gravity of the aggregates sintered at reduction atmosphere increased with increasing carbon contents and that was the lowest of all comparing other aggregates sintered at different atmospheres. Adsorption rate increased with increasing carbon contents at all atmospheres. The fast sintered aggregates showed lower specific gravity, higher absorption rate, and more black core area than the normally sintered aggregates. It was turned out that the aggregates having more black core area showed higher fracture strength than that of aggregates with no black core area. From the total Fe analysis, the concentration of Fe and FeO was higher at black core area than at shell. Because the concentration of $Fe_2O_3$ in the shell was higher than other area, the color of the shell appeared red. It was also turned out from the XRF analysis that carbon was exist only at black core area.

골재를 제조할 때 골재의 중앙에 만들어지는 블랙코어(black core)의 형성 메커니즘을 살펴보기 위해 적점토, 탄소(carbon), 산화철$(Fe_2O_3)$이 혼합된 직경 10mm 구형골재의 조성, 소성온도, 소성시간, 소성분위기, 소성방법을 변화시키면서 각각의 비중, 흡수율, 블랙코어 면적비$(\%)$, 파괴강도, Fe 총량분석, XRF를 측정하고 비교하였다. 소량의 산화철 첨가는 골재의 물성에 큰 영향을 미치지 않는 반면 탄소는 많이 첨가될수록, 소성온도가 증가할수록 블랙코어가 더 많이 형성되었고, 블랙코어의 비율이 증가하면 그만큼 비중은 감소하고 흡수율은 증가하였다 산화분위기에서 소성시킨 골재는 껍질 (shell)과 블랙코어가 뚜렷하게 구분되는 반면 환원분위기에서 소성한 시편에서는 시편의 단면전체에 블랙코어가 형성되었고, 산화분위기와 중성분위기와는 달리 환원분위기에서 소성된 시편에서는 탄소첨가량이 증가할수록 비중이 증가했으며, 전반적인 비중은 가장 낮았다. 흡수율은 모든 분위기에서 탄소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증가했다. 소성방법을 달리하여 실험한 결과 직화소성한 시편에서는 블랙코어가 잘 형성되었고, 승온소성한 시편에 비해 비중은 작고 흡수율은 높았다. 또한 파괴강도의 측정결과를 통해 블랙코어가 형성되지 않은 골재시편의 강도가 블랙코어가 형성된 시편보다 다소 크다는 사실을 알 수 있었다. Fe총량분석결과 블랙코어에서 껍질보다 많은 Fe와 FeO가 분포하였고, 껍질에는 적색을 띠는 $Fe_2O_3$가 많이 분포되어 있었다. XRF 분석 결과를 통해 탄소는 블랙코어 형성부위에서만 존재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사 결과 외형은 YF04 $1.0\%$ 처리구가 3.64으로 높게 나타났으며 YM03 $0.1\%$ 처리구가 3.00으로 가장 낮았다(P>0.05). 색은 YF04 $1.0\%$ 처리구가 4.00으로 높았으며 YF04 $0.1\%$ 처리구는 2.93으로 가장 낮았다(P<0.05). 다즙성은 YF04 $1.0\%$ 처리구가 3.50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YM03 $0.1\%$와 YM03 $1.0\%$ 처리구가 각각 3.07로 낮았다 (P>0.05).구보다 약간 증가하였으나 큰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다리살의 콜레스테롤 함량도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으나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다.적으로 작용하였다.있다.>16$\%$>0$\%$ 순으로 좋게 평가되었다. 결론적으로 감농축액의 첨가는 당과 탄닌성분을 함유함으로써 인절미의 노화를 지연시키고 저장성을 높이는데 효과가 있는 것으로 생각된다. 또한 인절미를 제조할 때 찹쌀가루에 8$\%$의 감농축액을 첨가하는 것이 감인절미의 색, 향, 단맛, 씹힘성이 적당하고 쓴맛과 떫은맛은 약하게 느끼면서 촉촉한 정도와 부드러운 정도는 강하게 느낄수 있어서 전반적인 기호도에서 가장 적절한 방법으로 사료된다.비위생 점수가 유의적으로 높은 점수를 나타내었다. 조리종사자의 위생지식 점수와 위생관리 수행수준의 상관관계를 조사한 결과, 위생지식의 기기설비위생은 위생관리 수행수준의 합계(p<0.01)에서 유의적인 상관관계(p<0.01)를 나타내었으며, 위생지식의 식중독 및 미생물은

Keywords

References

  1. F. Negre, A. Barba, J.L. Amoros and A. Escarkino, 'Oxidation of black core during the firing of ceramic ware-2. process kinetics', Br. Ceram. Trans. J. 91 (1992) 5
  2. A. Escardino, A. Barba, A. Blasco and F. Negre, 'Oxidation of black core during firing of ceramic ware: 4 Relationship between effective diffusity of oxygen through oxidised layer and properties characterising its porous structure', British Ceramic Transactions 94(3) (1995)
  3. Y.J. Joo and M.S. Oh, 'Unburnt carbon combustion in the production of light weight sintered fly ash', Proceeding of Ksee Conference (2002) 91
  4. A. Barba, F. Negre, M.J. Orts and A. Escardino, 'Oxidation of black core during the firing of ceramic ware-3. influedce of the thickness of the piece ane the composition of the black core', Br. Ceram. Trans. J. 91 (1992) 36
  5. Jon Pacini, 'Bloating and black coring', Laguna Clay Co, January (1999)
  6. S.S. Cava, J.A. Cerri, C.A. Paskocimas, E. Longo, J.A. Varela, T. Mendoca and C.G. Herter, 'Supressing blackcoring in single-fire ceramic tiles by controlling klin atmosphere', Ceramic tile quality (1998) 15
  7. Alexader Karamanov, Paola Pisciella, Carlo Cantalini and Mario Pelino, 'Influence of $Fe^{3+}/Fe^{2+}$ ration on the crystallization of iron-rich classes made with industrial wastes', J. Am. Ceram. Soc. 83(12) (2000) 5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