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Spatial and Temporal Distribution Patterns of PM10 in Major Cities and Provinces in Korea

전국 주요 행정구역별 PM10 성분의 시·공간적 농도분포의 특성조사

  • Ahn Ji-Won (Atmospheric Environment Laboratory, Department of Earth & Environmental Sciences, Sejong University) ;
  • Kim Ki-Hyun (Atmospheric Environment Laboratory, Department of Earth & Environmental Sciences, Sejong University) ;
  • Kim Sung-Chun (School of CMI and Environmental Engineering, Kunsan National University)
  • 안지원 (세종대학교 지구환경과학과) ;
  • 김기현 (세종대학교 지구환경과학과) ;
  • 김성천 (군산대학교 토목환경공학부)
  • Published : 2005.10.01

Abstract

The distribution of PM10 was investigated using its measurement data collected from a total of 152 AQM stations located across South Korea from 1998 to 2003. It was found that PM10 concentration reaches its peak in the springtime due to massive wind-blown dusts during the Asian Dust (AD) period. Then the concentration level decreases in the summertime, after the rain shower season. When the PM10 data sets were compared across different cities, their patterns contrasted sharply. The highest PM10 concentration was measured in Seoul $(68.2{\mu}g/m^3)$, while the lowest PM10 concentration was measured in Jeju $(39.2{\mu}g/m^3)$. The results of our analysis indicate that PM10 concentrations exhibit a strong proportional relationship with respect to the size of the city. With respect to the correlation analysis of our results, it was evident that PM10 concentrations of nearby cities were found to affect each other.

본 연구에서는 전국에 산재한 총 152개 지점의 측정망으로부터, 6년 동안 월 단위로 요약 정리한 PM10 농도 자료를 이용하여 대한민국 주요 행정구역(7개시와 9개 도)에 대한 PM10 성분의 시공간적 분포 특성을 진단하였다. 16개 행정구역에 대한 PM10의 농도분포를 조사한 결과, PM10의 농도는 황사의 영향이 두드러지는 봄철에 가장 높은 농도를 나타내고 있었다. 그리고 강수의 양이 많은 여름철에 농도가 줄어드는 결과를 보이는데, 이는 배출원의 강도와 습식침적이 왕성하게 나타나는 기상환경 등의 영향을 반영한 결과라 할 수 있다. 지역적으로 PM10의 농도를 비교하면, 서울에서 $68.2{\mu}g/m^3$로 최고 농도를 보인데 반면, 제주도가 $39.2{\mu}g/m^3$로 최저 농도를 나타내었다. 전체 지역별로 보면, PM10의 농도는 대도시 지역으로 갈수록, 높은 농도를 나타내고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상관분석을 통하여 지역간 PM10 농도 분포의 공간적 상관성을 비교한 결과, 이를 통해 PM10 농도는 근접한 거리에서는 서로 영향을 주고 있다는 것도 확인하였다. 결과적으로 PM10 농도는 기상조건과 인위적인 배출원의 영향을 많이 받고 있다고 할 수가 있다.

Keywords

References

  1. 김상렬, 정장표, 이승묵, 2000, 부산지역 PM2.5와 PM10의 농도 특성. 대한환경공학회지, 22(6), 1159-1170
  2. 김우규, 전영신, 이원환, 김현미, 1995, 서울 부유분진 농도와 황사 특성에 관한 사례 연구. 한국대기보전학회지, 11(2), 199-209
  3. 남재철, B.C. Panther, L.Y. Zou, 정순화, 조하만, M.A.Hooper석사학위논문, 1994, 서울의 대기부유분진, 납 및 다환방향족 탄화수소의 농도 특성. 한국대기환경학회 학술대회 논문집 제 2권, 125-126
  4. 송은주, 이유진, 최지예, 이지이, 김용표, 2003, 서울지역에서 대기 중 분진 및 입자상 PAHs 농도의 시간적 분포 특성. 한국대기환경학회 추계학술대회논문집, 341-342
  5. 최재천, 조하만, 김지영, 김산, 박기준, 1999, 1998년 봄철 서울지역 에어러졸 중 TSP와 PM10의 화학적 특성 비교. 한국기상학회지, 35, 1, 1999
  6. 최진수, 백성옥, 1998, 대기 중 TSP와 PM10 농도의 관련성. 한국대기환경학회 한국대기보전학회지, 14(1), 1-10
  7. 김기현 외, 1999, 신제대기오염개론. 항문사, 서울, 75-81p
  8. 환경부, 2003, 환경백서. 환경부, 서울, 314p
  9. Kim, K.-H., Choi, G.-H., Kang, C.-H., Lee, J.-H., Kim, J.-Y. Youn, Y.-H. and Lee, S.-R.(2003) The chemical composition of fine and coarse particles in relation with the Asian Dust events. Atmospheric Environment 37(6), 753-765 https://doi.org/10.1016/S1352-2310(02)00954-8
  10. Mugica, V., Maubert, M., Torres, M., Munoz, J. and Rico, E., 2002, Temporal and spatial variation of metal content in TSP and PM10 in Mexico City during 1996-1998. Aerosol Science, 33, 91-102 https://doi.org/10.1016/S0021-8502(01)00151-3
  11. Saitoh, K., Sera, K., Hirano, K. and Shirai, T., 2002, Chemical characterization of particles in winter-night smog in Tokyo. Atmospheric Environment, 36, 435-440 https://doi.org/10.1016/S1352-2310(01)00485-X
  12. Querol, X., Alastuey, A., Ruiz, C.R., Artinano, B., Hansson, H.C., Harrison, R.M., Buringh, E, Brink, H.M., Lutz, M., Bruckmann, P., Straehl, P. and Schneider, J., 2004, Speciation and origin of PM10 and PM2.5 in selected European cities. Atmospheric Environment, 38, 6547-6555 https://doi.org/10.1016/j.atmosenv.2004.08.037
  13. Qin, Y., Tonnesen, G.S. and Wang, Z., 2004, Weekend/weelday differences of ozone, NOx, CO, VOCs, PM10 and the light scatter during ozone season in southern California. Atmospheric Environment, 38, 3069-3087 https://doi.org/10.1016/j.atmosenv.2004.01.035